미 농무부 “2018-2019 북한 곡물 생산 12% 감소”

지난해 5월 북한 평안남도 삼봉협동농장에서 농민들이 모내기를 하고 있다.

북한의 2018-2019 곡물 생산량이 전년 대비 1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온건조한 날씨와 홍수 등 계속되는 기상 이변, 그리고 줄어든 농경지가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안소영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미국 농무부 산하 해외농업국은 28일 발표한 ‘2018-2019 북한 식량 작물 상황’(DPRK Food Grains Situations in MY 2018-19) 보고서에서 이 기간 북한의 곡물 생산량을 485만 2천t으로 추정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는 전년 대비12% 하락한 수치라고 밝혔습니다.

해외농업국은 보고서에서 북한의 옥수수 생산량은 전년의 220만t에서 187만 6천t으로, 쌀은 157만 3천t에서 137만 8천t, 콩은 22만 3천t에서 13만 5천t으로 크게 줄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런 현상은 고온건조한 날씨, 홍수와 가뭄 등 계속되는 기상이변, 그리고 줄어든 농경지 면적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2019년 강수량과 관개수 부족, 또 이후 발생한 홍수가 식량 생산 여건을 어렵게 했다는 설명입니다.

특히 2018년과 2019년 저수지 상황이 지난 5년 평균치를 크게 밑돌아 농민들이 농경지에 물을 대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지난해 북한 내 옥수수 재배지 면적이 50만 8천 헥타아르로 전년의 51만 2천 300 헥타아르보다 줄어드는 등 모든 곡물의 재배 면적이 전년보다 줄어들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밖에 농작물이 자라는 데 필요한 질소 비료 공급은 대체로 충분했지만, 인산염과 탈산칼륨 공급량은 평균 50%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습니다.

비료 원료인 인산염은 산도를 조절하고 미생물 발생과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일부 북한 농부들은 작물 잔해와 거름 등을 혼합한 자가 비료 생산에 의존했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서는 밝혔습니다.

보고서는 북한이 2019년 한 해 옥수수와 콩, 쌀, 밀가루 등 식량과 곡물 37만 4천t을 수입했고, 대부분 중국과 러시아에서 들여온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런 규모는 2018년의 27만 3천t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또 지난해 유엔 세계식량계획과 식량농업기구가 북한에 전년 보다 30% 증가한 27만 3천여t의 식량을 지원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지난해 12월 스위스에 본부를 둔 국제 농업 모니터링 그룹 ‘조기경보 작황 모니터’는 북한의 2019년 곡물 수확량이 평균 이하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또 식량농업기구도 같은 달 ‘작황 전망과 식량 상황’ 보고서에서 북한의 2019년 곡물 생산량이 지난 5년 평균에 못 미친다며, 북한을 다시 ‘식량 부족 국가’에 포함시켰습니다.

이보다 앞서 7월에 발표된 미 농무부의 식량 보고서는 2019년 북한의 쌀 생산량을 136만t으로 전망하면서, 지난 10년 기록 중 가장 낮은 수치라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지난 연말 북한 김정은 위원장은 당 중앙위 전원회의 보고에서, 2019년 농업 수확량이 대북 제재와 기상이변에도 불구하고 이전에 없던 풍년을 맞았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VOA 뉴스 안소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