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무부 "북한 관련 조속한 인선 기대"…전직 당국자 "인권특사 임명 시일 걸릴 것"

미국 워싱턴 국무부 건물에 걸린 국무부기 뒤로 워싱턴 기념탑이 보인다.

미국 국무부가 북한인권특사 임명 가능성을 거듭 시사한 가운데, 다른 북한 관련 인선도 최대한 빨리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국무부 전직 당국자들은 북한 관련 주요 인선이 어느 정도 마무리된 뒤 북한인권특사가 임명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미국 국무부가 북한인권특사 임명 여부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습니다.

국무부 대변인실 관계자는 1일 ‘북한인권특사를 임명할 계획이 있느냐’는 VOA의 질문에, “정책 재검토 절차의 일환으로 국무장관은 관계 부처와 함께 바이든-해리스 행정부의 외교정책 우선순위에 맞춰 자원을 가장 잘 조절하기 위해 특사 직책을 유지하고 채우는 문제를 살펴볼 것”이라며, “여기에는 ‘북한인권특사’ 직책이 포함된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현 시점에 해당 직책과 관련한 어떤 구체적인 사안도 공유할 게 없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습니다.

앞서 조시 로긴 외교안보 칼럼니스트는 최근 ‘워싱턴 포스트’ 신문 기고문에서 미 당국자를 인용해 “국무부가 북한인권특사 직책을 채울 계획을 갖고 있다”고 전한 바 있습니다.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바락 오바마 행정부 때까지만 해도 로버트 킹 특사가 임명돼 2009년부터 2017년까지 활동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이 직책을 공석으로 비워뒀습니다.

지난 2011년 5월 로버트 킹 당시 미 북한인권 특사가 평양을 방문했다.

로버트 킹 전 북한인권특사는 1일 VOA와의 전화통화에서 새 특사 임명과 관련해 들은 건 없지만 과거 자신이 임명됐던 사례를 토대로 본다면 최종 임명까진 다소 시일이 걸릴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킹 전 특사] “I haven't heard anything at all. I haven't been in touch with with people that are involved, but my own experience and when I was appointed, is that it took a while before they got around to appointing people at that level.”

킹 전 특사는 새 행정부 출범 후 국무부에는 차관과 차관보, 대사급 직책 등 채워야 할 자리가 많다면서, 자신도 (2009년 오바마 1기) 행정부 출범 5개월이 지나서야 북한인권특사 직책을 제안 받았고, 신원조회 등을 거쳐 최종 임명은 2009년 11월 말에 이뤄졌다고 설명했습니다.

킹 전 특사는 자신에 대한 지명이 일반에 알려진 것도 9월 말이었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번에도) 신속한 과정은 아닐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제임스 줌월트 전 국무부 동아태 담당 부차관보도 VOA에 다른 직책과 비교해 북한인권특사는 임명까지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줌월트 전 부차관보] “Obviously I can't speak to the order but, it's still an important bilateral ambassadorship like Ambassador to Seoul is obviously going to be a high priority for them.

국무부 직책별 임명 순서를 언급할 순 없지만 주한대사와 같은 양자 관계에서의 미 대사직이 더 우선순위에 있게 될 것이라는 겁니다.

특히 싱가포르 주재 미국대사가 4년간 공석으로 있고, 일본도 1년 넘게 대사직이 비어 있는 등 꽤 주목되는 빈자리들이 있는 상태이며, 이를 채워야 하는 시급성도 분명 있을 것이라고, 줌월트 전 부차관보는 지적했습니다.

다만 줌월트 전 부차관보는 “바이든 행정부의 주요 정책결정자들 대부분은 킹 전 특사의 역할에 감사하고 있는 만큼, 분명 같은 역할을 맡을 누군가를 원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줌월트 전 부차관보] “And many of the key decision makers in the Biden administration appreciate the role that Robert King played, and would like, I'm sure would want to find someone to fill that role.”

이런 가운데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와 대북특별대표와 같은 직책에 대한 인선이 언제 이뤄질지도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국무부는 이날 ‘대북특별대표와 같은 국무부 내 주요 북한 관련 인선이 언제쯤 마무리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최대한 빠른 시일 내 인력 배치에 대해 검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답했습니다.

또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계속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진 ‘대북정책 검토’ 작업에 대해선 “우리의 정책에 대한 철저한 검토에 구체적인 시간표를 설정하고 싶지 않다”면서도 “조율은 활발하고, 진행 중”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조시 로긴 칼럼니스트는 기고문에서 성 김 동아태 차관보 대행이 대북특별대표를 맡을 수 있고, 대행을 뗀 차관보로 활동하거나 두 직을 동시에 맡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웬디 셔먼 국무부 부장관 지명자가 대북특별대표직을 겸직할 가능성도 언급했습니다.

로긴 칼럼니스트는 행정부 관리를 인용해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 검토 작업이 여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면서, 아직까지 바이든 행정부와 김정은 정권의 공식적인 접촉은 없었다고 전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