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전문가들은 오바마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이번 정상회담에서 강력한 대북 공조를 과시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또 두 정상이 북한에 대화의 문을 열어 놓은 만큼, 앞으로 작은 문제들부터 풀어나갈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고 분석했습니다. 김연호 기자입니다.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와 한미경제연구소, 미국외교협회가 8일 미-한 정상회담의 성과를 평가하는 공동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오바마 대통령과 박근혜 한국 대통령이 북한의 도발에 강력하게 대응하면서도 대화의 문을 열어 놓는다는 입장을 확실히 보여줬고, 미-한 양국의 굳건한 대북 공조를 과시했다고 평가했습니다.
크리스토퍼 힐 전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일부 강경론자들이 북한과는 대화할 필요조차 없다고 주장하지만 그럴 경우 북한의 핵 보유를 사실상 인정하는 결과를 빚게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녹취: 크리스 힐 전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It’s going to be ...”
남북한 관계나 인도주의적 문제와 관련해 작은 조치들부터 시작해 북한과 대화를 모색해 나가는 게 바람직하다는 겁니다.
부시 행정부 시절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을 지낸 빅터 차 박사도 박근혜 대통령이 그동안 대북 인도적 지원에 대해서는 분명한 입장을 밝혀왔다고 분석했습니다.
[녹취: 빅터 차, 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을]“She clearly delinked...”
박 대통령이 미국 방문 기간 중 대북 인도적 지원과 북한 핵을 포함한 정치 문제를 연계하지 않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는 겁니다.
그러나 빅터 차 전 보좌관은 북한이 현재 도발의 수위를 낮추고 잠잠하지만 북한과 대화가 재개되기까지 시간이 꽤 걸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미국외교협회의 스콧 스나이더 선임연구원은 미국보다 한국이 북한과 유용한 논의를 할 수 있는 정치적 공간이 많다고 분석했습니다.
[녹취: 스콧 스나이더, 미국외교협회 선임연구원]“There is a window...”
박근혜 대통령이 자신의 대북정책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통해 북한 문제 해결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겁니다.
힐 전 차관보는 박 대통령이 이번 방문에서 미국과 한국의 양자관계 뿐만 아니라 동북아평화협력 구상이라는 다자관계까지 논의한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크리스 힐 전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What we need is...”
북한 문제를 포함해 동북아시아의 현안을 풀어 나가기 위해서는 중국과 일본, 러시아도 함께 모여 논의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는 겁니다.
빅터 차 전 보좌관도 박 대통령이 미 의회 상하원 합동연설에서 자신의 동북아평화협력 구상과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연계함으로써 미-한 양국의 정책방향을 효과적으로 묶어 냈다고 평가했습니다.
VOA 뉴스 김연호입니다.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와 한미경제연구소, 미국외교협회가 8일 미-한 정상회담의 성과를 평가하는 공동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오바마 대통령과 박근혜 한국 대통령이 북한의 도발에 강력하게 대응하면서도 대화의 문을 열어 놓는다는 입장을 확실히 보여줬고, 미-한 양국의 굳건한 대북 공조를 과시했다고 평가했습니다.
크리스토퍼 힐 전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일부 강경론자들이 북한과는 대화할 필요조차 없다고 주장하지만 그럴 경우 북한의 핵 보유를 사실상 인정하는 결과를 빚게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녹취: 크리스 힐 전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It’s going to be ...”
남북한 관계나 인도주의적 문제와 관련해 작은 조치들부터 시작해 북한과 대화를 모색해 나가는 게 바람직하다는 겁니다.
부시 행정부 시절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을 지낸 빅터 차 박사도 박근혜 대통령이 그동안 대북 인도적 지원에 대해서는 분명한 입장을 밝혀왔다고 분석했습니다.
[녹취: 빅터 차, 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을]“She clearly delinked...”
박 대통령이 미국 방문 기간 중 대북 인도적 지원과 북한 핵을 포함한 정치 문제를 연계하지 않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는 겁니다.
그러나 빅터 차 전 보좌관은 북한이 현재 도발의 수위를 낮추고 잠잠하지만 북한과 대화가 재개되기까지 시간이 꽤 걸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미국외교협회의 스콧 스나이더 선임연구원은 미국보다 한국이 북한과 유용한 논의를 할 수 있는 정치적 공간이 많다고 분석했습니다.
[녹취: 스콧 스나이더, 미국외교협회 선임연구원]“There is a window...”
박근혜 대통령이 자신의 대북정책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통해 북한 문제 해결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겁니다.
힐 전 차관보는 박 대통령이 이번 방문에서 미국과 한국의 양자관계 뿐만 아니라 동북아평화협력 구상이라는 다자관계까지 논의한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크리스 힐 전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What we need is...”
북한 문제를 포함해 동북아시아의 현안을 풀어 나가기 위해서는 중국과 일본, 러시아도 함께 모여 논의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는 겁니다.
빅터 차 전 보좌관도 박 대통령이 미 의회 상하원 합동연설에서 자신의 동북아평화협력 구상과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연계함으로써 미-한 양국의 정책방향을 효과적으로 묶어 냈다고 평가했습니다.
VOA 뉴스 김연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