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한국 대통령은 동북아시아가 북한 핵과 영토 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지만 군사적 수단을 동원해선 안 된다고 밝혔습니다. 또 이 문제를 푸는 데 자신이 제안한 동북아평화협력 구상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김환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14일 서울에서 열린 한국 외교부 산하 국립외교원 설립 5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 축사에서 동북아 지역에 군사적 충돌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한반도의 분단이 70년 가까이 지속되는 가운데 북한이 핵 개발로 긴장을 유발하고 있고, 한국과 중국 일본 사이의 역사관의 괴리에 따른 불신과 영토 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박 대통령은 이 같은 상황을 ‘아시아 패러독스’로 규정했습니다. 역내 국가간 경제적 의존도는 커지고 있지만 외교와 군사적 측면에선 거꾸로 관계가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 역설적이라는 진단입니다.
박 대통령은 이 같은 역내 갈등과 대립이 과거와 같이 무력충돌로 이어져선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박근혜 대통령] “동북아의 갈등과 대립은 어디까지나 평화적 방법으로 해결돼야 합니다, 20세기 중반까지 있었던 바와 같이 군사적 수단이 동원되는 일이 이 지역에서 다시는 있어서는 안될 것입니다.”
이 같은 잠재적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동북아에 지속적인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신의 ‘동북아평화협력 구상’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박 대통령은 핵 안전을 비롯해 자연재해나 사이버 협력 등 국가 간 협력이 비교적 쉬운 현안들부터 시작해 협력의 범위를 차츰 넓혀가자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중-일 세 나라가 갈등을 겪고 있는 역사관의 괴리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역사교과서를 공동으로 만들자고 제안했습니다.
박 대통령은 동북아 평화협력을 위해 먼저 역내 국가들이 동북아 미래에 대한 인식을 공유해야 한다며 유럽국가들이 그랬던 것처럼 역사교과서를 공동으로 만듬으로써 협력과 대화의 관행을 쌓아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동북아가 유럽연합과 같은 공동시장으로 발전하는 엄청난 기회가 주어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편 이 학술회의에 토론자로 참석한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미 국무장관은 미국은 동맹국 특히 한국, 일본과 3자간 대화의 중요성을 계속 견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북 핵 문제를 푸는 데도 대화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올브라이트 전 장관은 박 대통령이 균형 잡힌 정책으로 6자회담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며 하지만 한반도에 더 대화가 있으려면 북한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대변인인 푸잉 전 외교부 부부장은 박 대통령의 신뢰를 기반으로 한 동북아평화협력 구상에 대해 중국 정부는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푸잉 전 부부장은 6자회담이 결렬됐던 이유도 불신 때문이었다며 당사국들이 우선 공통분모를 찾고 합의를 도출해 이를 기반으로 궁극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김환용입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14일 서울에서 열린 한국 외교부 산하 국립외교원 설립 5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 축사에서 동북아 지역에 군사적 충돌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한반도의 분단이 70년 가까이 지속되는 가운데 북한이 핵 개발로 긴장을 유발하고 있고, 한국과 중국 일본 사이의 역사관의 괴리에 따른 불신과 영토 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박 대통령은 이 같은 상황을 ‘아시아 패러독스’로 규정했습니다. 역내 국가간 경제적 의존도는 커지고 있지만 외교와 군사적 측면에선 거꾸로 관계가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 역설적이라는 진단입니다.
박 대통령은 이 같은 역내 갈등과 대립이 과거와 같이 무력충돌로 이어져선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박근혜 대통령] “동북아의 갈등과 대립은 어디까지나 평화적 방법으로 해결돼야 합니다, 20세기 중반까지 있었던 바와 같이 군사적 수단이 동원되는 일이 이 지역에서 다시는 있어서는 안될 것입니다.”
이 같은 잠재적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동북아에 지속적인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신의 ‘동북아평화협력 구상’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박 대통령은 핵 안전을 비롯해 자연재해나 사이버 협력 등 국가 간 협력이 비교적 쉬운 현안들부터 시작해 협력의 범위를 차츰 넓혀가자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중-일 세 나라가 갈등을 겪고 있는 역사관의 괴리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역사교과서를 공동으로 만들자고 제안했습니다.
박 대통령은 동북아 평화협력을 위해 먼저 역내 국가들이 동북아 미래에 대한 인식을 공유해야 한다며 유럽국가들이 그랬던 것처럼 역사교과서를 공동으로 만듬으로써 협력과 대화의 관행을 쌓아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동북아가 유럽연합과 같은 공동시장으로 발전하는 엄청난 기회가 주어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편 이 학술회의에 토론자로 참석한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미 국무장관은 미국은 동맹국 특히 한국, 일본과 3자간 대화의 중요성을 계속 견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북 핵 문제를 푸는 데도 대화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올브라이트 전 장관은 박 대통령이 균형 잡힌 정책으로 6자회담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며 하지만 한반도에 더 대화가 있으려면 북한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대변인인 푸잉 전 외교부 부부장은 박 대통령의 신뢰를 기반으로 한 동북아평화협력 구상에 대해 중국 정부는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푸잉 전 부부장은 6자회담이 결렬됐던 이유도 불신 때문이었다며 당사국들이 우선 공통분모를 찾고 합의를 도출해 이를 기반으로 궁극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김환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