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중국과의 국경 경비를 강화하면서 탈북자들이 브로커들에게 지급하는 이른바 ‘도강 비용’이 크게 오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으로의 탈북자 수는 김정은 시대 들어 이전보다 절반 가까이 떨어졌습니다. 서울에서 김환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통일부에 따르면 지난 2009년 한국으로 들어온 탈북자 수는 2천9백여 명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또 2011년에도 2천7백여 명의 높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하지만 본격적인 김정은 체제 첫 해인 2012년 그 수가 1천5백 명대로 거의 절반 가량 떨어졌고 지난해와 올해도 비슷한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이 같은 현상은 김정은 체제 이후 북한 당국이 탈북자들을 막기 위해 국경 경비를 강화한 게 주요 원인이라는 진단입니다.
한국의 탈북자 지원단체들은 탈북자에 대한 국경경비대의 책임과 처벌이 엄중해졌고 특히 국경경비대와 탈북 브로커들과의 은밀한 거래에 대한 감찰 활동이 세졌다고 전했습니다.
또 이런 이유 때문에 압록강이나 두만강을 넘어 중국 땅으로 가기 위해 탈북자들이 브로커들에게 지급하는 비용도 김정일 시대에는 1천 달러 정도에서 지금은 많게는 9천 달러까지 오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 베드로 북한정의연대 대표입니다.
[녹취: 정 베드로 북한정의연대 대표] “북한 보위부가 그런 탈북자 브로커들과 국경수비대 사이의 커넥션을 색출하기 위해서 조사를 하고 감찰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 부분이 탈북자 브로커 비용을 올리는 계기가 됐고…”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자매지인 `환구시보'도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이 중국과의 국경지역 경비를 꾸준히 강화하고 있다고 20일 보도했습니다.
압록강변에 덮개가 있는 개인용 벙커를 비롯한 군사시설을 대거 신축하고 기존 시설을 보강하는 작업을 자주 벌이고 있다는 겁니다.
소식통들은 북한의 이런 움직임이 외부를 겨냥한 게 아니라 내부 단속이 주 목적이며 특히 탈북자를 막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 정부 소식통은 탈북자를 바라보는 북한 당국의 시각이 김정일 시대엔 싫은 사람은 떠나라는 식이었다면 김정은 시대엔 체제 위기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정은 체제 들어서 주민들에 대한 사상통제를 강화하고 지난해 5월 라오스에서 붙잡힌 탈북자 9 명을 보위부 직원이 직접 북한으로 데려 간 것, 탈북자들을 재입북시켜서 선전에 활용한 행동 등 김정일 시대와는 사뭇 다른 행태라는 겁니다.
이 소식통은 특히 탈북자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압력이 과거보다 크게 강해졌고 동남아시아 국가들도 한국의 요청에 동조하는 분위기가 퍼지면서 북한 당국은 탈북 자체를 미리 차단하는 데 주력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김환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