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 북한 고문 피해자 소개


지난 2012년 북한 수용소 감독원 출신 탈북자 김혜숙 씨가 그린 그림을 유엔 관계자가 설명하고 있다. (자료사진)
지난 2012년 북한 수용소 감독원 출신 탈북자 김혜숙 씨가 그린 그림을 유엔 관계자가 설명하고 있다. (자료사진)

유엔이 고문 피해자를 위한 자발적 기금을 만든 지 올해로 35주년을 맞습니다. 세계 각국의 고문 피해자와 가족들을 돕기 위한 이 기금의 혜택을 받은 사람들 가운데는 탈북자들도 있습니다. 이연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는 최근 ‘유엔 고문 피해자를 위한 자발적 기금’ 설립 35주년을 맞아 이 기금의 활동을 소개하는 홍보책자를 발표했습니다.

‘공포에서 치유로’라는 제목의 이 책자는 고문의 정의에서부터 고문 피해자와 그 가족들을 위한 치유가 중요한 이유, 그리고 실제 피해자들의 고문 사례와 치유 과정 등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북한과 관련해, 서울에 정착한 탈북자 김모 씨의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김 씨는 북한에 있을 때 경제난 때문에 김일성 주석이 하사한 텔레비전을 시장에 내다 판 혐의로 체포돼 고문을 받았습니다.

김 씨는 2005년에 5개월 반 동안 공안요원 4 명에게 모진 고문을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공안요원들이 머리와 다리를 발로 차고, 뜨겁게 달구어진 쇠막대로 다리를 지지는가 하면 15일 동안 잠을 재우지 않았다는 겁니다.

이후 감옥으로 이송된 김 씨는 하수도를 통해 가까스로 탈출할 수 있었지만, 하수도의 독성물질에 중독됐다고 말했습니다.

영양실조 상태였기 때문에 각종 병균에 오염될 수밖에 없었고, 그 때문에 몇 달 동안 앓아 누울 수밖에 없었다는 겁니다.

마침내 건강을 회복한 김 씨는 국경을 넘어 중국으로 탈출했고, 이어 태국을 거쳐 한국으로 갈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김 씨는 한국에 도착한 후에도 계속 악몽에 시달렸고, 수면제를 먹어야 겨우 잠을 이룰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또 북한에 갇혀 있을 때 많은 피를 흘린 탓에 빈혈증이 생겼고, 심장과 간에도 문제가 있었다고 덧붙였습니다.

김 씨는 한국에서 심문을 받는 과정에서 민간단체인 ‘북한인권정보센터’의 상담 전문가들을 소개받았고, 이들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이들은 김 씨가 북한에 있을 때 춤추는 것을 좋아했다는 말을 듣고 치료의 일환으로 춤을 이용했다고, 김 씨는 말했습니다. 김 씨가 분노를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말을 들은 전문가들은 김 씨에게 몸의 움직임을 통해 분노를 표현하라고 말했다는 겁니다.

김 씨는 이 같은 치료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습니다.

올해 53살인 김 씨는 마침내 한국에서 정상적인 삶을 살게 됐고, 한국사회에 통합될 수 있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유엔은 지난 1981년 총회 결의를 통해 고문 피해자를 위한 자발적 기금을 신설했습니다.

이 기금을 관리하고 있는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는 1981년부터 지금까지 고문 피해자들에게 의료 치료와 정신과 상담, 사회적, 법률적 지원을 제공하는 전세계 630개 기관에 1억6천800만 달러를 지원했다고 밝혔습니다.

VOA 뉴스 이연철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