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한국 국민 3명 중 1명 "남북통일 불필요"


지난 1월 한국 파주시 판문점 인근 임진각에서 관광객들이 남북 한계선을 그려놓은 한반도 지도를 바라보고 있다.
지난 1월 한국 파주시 판문점 인근 임진각에서 관광객들이 남북 한계선을 그려놓은 한반도 지도를 바라보고 있다.

한국 국민 3명 가운데 1명은 남북통일이 필요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절반 이상이 통일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 통일에 대한 부담감이 적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서울에서 김환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국민들 사이에 남북통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늘어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 문화체육관광부가 최근 여론조사기관 ‘월드 리서치’ 등에 의뢰해 한국의 성인 남녀 5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6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에서 통일 시기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0.8%가 ‘통일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답했습니다.

또 ‘굳이 통일할 필요가 없다’는 답변도 32.3%에 달했습니다. 이는 10년 전인 2006년 조사 때 응답률인 16.8%보다 두 배 가까이 높아진 수치입니다.

연령별로는 20대는 41.8%가, 30대는 38.3%가 통일이 불필요하다고 답해 젊은층일수록 통일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가급적 빨리 통일해야 한다’는 응답은 16.9%로 2006년 28.0%보다 크게 낮아졌습니다.

이 같은 추세는 김정은 정권 들어 북한의 핵 개발이 폭주 양상을 보이고 있는 데 영향을 받았다는 분석입니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최규빈 박사는 북한의 핵무기 개발이 지속되고 고도화하는 양상까지 띠면서 한국 국민들이 남북관계를 안보 중심으로 보는 경향이 강해졌다며 이 때문에 박근혜 한국 정부가 주창하고 있는 ‘통일대박론’이 국민들 사이에서 피부로 와 닿지 않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최규빈 박사 /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북한이 핵 개발을 지속함으로써북한체제가 쉽게 변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는 판단이 한국 국민들 간에 상당히 강하게 작용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통일 시기에 관해서도 상당히 보수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임을출 교수는 남북 간은 물론 한국 내부에서의 북한을 둘러싼 정치적, 이념적 갈등이 큰 것도 통일에 대한 거부감을 키우는 요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녹취: 임을출 교수 /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남북 경색이 장기화되다 보니까북한과 함께 사는 게 쉽지 않겠다는 인식을 갖게 되는 것 같고 이데올로기적인 갈등들 특히 북한을 둘러싼 정치적 갈등이 너무 심하니까 이렇게 갈 바엔따로 사는 게 낫겠다는 체념이 상당히 확산된 게 아닌가 판단됩니다.”

또 이번 조사에서 통일 후 예상되는 어려움에 대해선 ‘경제적 부담’이라는 응답이 28.2%로 가장 많았고 ‘가치관의 차이’, ‘생활방식 차이’, ‘정치적 혼란’,‘빈부격차 심화 등이 적시됐습니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최규빈 박사입니다.

[녹취: 최규빈 박사 /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실제 통일이 됐을 때 그 분들을 한국이 수용해야 한다는 경제적 능력, 경제적 지원 부분이 여전히 강하게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실제 통일이 이뤄졌을 때 이것이 바로 경제적 이익으로 바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겠다는 염려가 어느 부분에서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거든요.”

통일 효과를 묻는 질문엔 ‘전쟁 위험이 없어진다’가 35.5%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이어 ‘국제사회에서 영향력이 커진다’, ‘인도적 문제가 해결된다’, ‘경제적으로 더 잘 살 수 있다’의 순으로 꼽혔습니다.

통일 방식에 대한 선호도는 응답자의 47.7%가 ‘한국식 체제 통일’을 선택했고 ‘체제 공존’이라는 답변이 39.1%, ‘제3의 체제’가 10%로 나타났습니다.

이와 함께 국가별 친밀도는 미국이 67.6점으로 가장 높았고 중국은 58.2점으로 2위를 기록했지만 10년 후 한국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나라로는 응답자의 69.8%가 중국을 꼽았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김환용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