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남북한 이산가족의 조건 없는 상봉을 촉구했습니다. 북한은 지난해 한국에 집단망명한 해외 북한식당 종업원들을 송환하지 않으면 인도적 사업에 협력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연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토마스 퀸타나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오는 8월 이산가족 상봉을 재개하자는 한국 국회의 제안을 환영한다고 밝혔습니다.
퀸타나 특별보고관은 13일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2015년 10월 이산가족 상봉을 마지막으로 상봉 행사가 열리지 않았다며, 여전히 수많은 사람들이 가족과 연락이 닿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으며, 적어도 소식이라도 알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이산가족이 고령이라는 점과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고통을 겪고 있다는 점을 볼 때, 정치적 고려는 모두 배제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가족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아무 조건 없이 이산가족 상봉이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퀸타나 특별보고관은 남북 양측이 이산가족 문제를 다시 논의할 분위기가 무르익었다며, 한국이 대북 지원을 확대하는 계획의 일환으로 남북이 가족 상봉을 논의할 좋은 기회가 열렸다며, 결코 놓쳐서는 안 된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지난 5일 한국 국회의 정세균 국회의장과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바른정당 등 3당 원내대표는 ‘8·15 남북 이산가족 상봉 촉구결의안’ 채택을 추진하기로 합의했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지난해 집단 탈북해 한국에 입국한 식당 종업원들을 송환하기 전에는 인도주의 협력 사업에 협조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처음 이뤄진 것은 지난 1985년 9월이었습니다. 한국의 35가족과 북한의 30가족이 각각 서울과 평양을 방문해, 분단 이후 30여 년 만에 처음으로 헤어졌던 가족을 만났습니다.
하지만 이후 15년 동안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이뤄지지 않다가2000년 8월 15일 제1차 남북 이산가족 상봉을 시작으로 지난 2015년 10월까지 모두 20차례 성사됐습니다.
이후 북한의 핵실험 등 잇단 도발로 남북관계가 악화되면서 이산가족 상봉은 열리지 않고 있습니다.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이산가족 문제 보고서에서, 1953년 이후 한국에서 총12만9천 616명이 북한 내 가족과 만나기 위해 상봉 행사 참여 희망자로 등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인권최고대표사무소는 2000년 이후 현재까지 2천325명이 친인척과 적어도 한 번 만났지만, 상봉 희망자 중 절반 이상은 가족과 연락이 닿지도 못한 채 사망했다고 밝혔습니다.
보고서는 이처럼 이산가족 피해자들이 상상하기 어려운 고통을 안고 살아간다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상당수가 길게는 60년 넘게 가족과 만나지 못하는 상황에서 고령에 접어들고 있어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VOA뉴스 이연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