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은 오늘(12일) 기자회견에서 북한과 비핵화 협상을 하는 동안 미-한 연합군사훈련을 중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인권 문제도 제기했다고 확인했지만, 비핵화가 핵심 목표란 것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한 연합군사훈련에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냈습니다.
[녹취: 트럼프 대통령] “Under the circumstance that we’re negotiating a very comprehensive and complete deal. I think it’s inappropriate to be having wargames…”
북한과 매우 포괄적이고 완전한 합의를 위해 협상하는 환경에서 훈련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는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한 연합군사훈련을 “워게임”으로 호칭하면서 엄청나게 비싼 훈련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괌에서 한국까지 6시간 반이 걸리는 거리를 거대한 미 군용기들이 날아가 폭격 연습을 하고 돌아간다며, 훈련에 많은 군용기가 투입된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아주 많은 돈이 들어간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자신은 이런 상황을 좋아하지 않으며 매우 도발적 상황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미-한 연합군사훈련을 중단하는 것은 많은 돈을 절약할 수 있고 북한도 아주 감사할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한국에는 미군 2만 8천 500명이 주둔하고 있고 한국군과 봄에 키리졸브 연습과 독수리 훈련, 가을에 을지포커스프리덤훈련 등 크고 작은 연합훈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주한미군 감축 가능성에 관해서는 미-북 협상에서 풀어야 할 방정식의 일부는 아니라면서도 어느 시점에서 주한미군 철수가 이뤄지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트럼프 대통령] “I would like to be able to bring them back home, but that’s not part of the equation. At some point, I hope it would be."
트럼프 대통령은 미군 철수는 지난 미 대선 캠페인에서 자신이 언급했던 사안이라며 미군을 집으로 데려오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북한 정권이 합의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치르게 될 군사적 대가에 관해서는 말하고 싶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무력 대응에 관해 말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위협하고 싶지 않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북한도 이를 이해했다며 휴전선에서 가까운 서울 수도권 지역에 8백만 명에 달하는 뉴욕 인구보다 많은 2천 8백만 명이 살고 있음을 지적했습니다.
과거 ‘화염과 분노’를 언급한 이유에 대해서는 그 당시에는 그런 대응이 필요했다며, 그러나 미국의 입장에서 그런 능력(무력사용)을 허가할 수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일본도 그런 무력사용을 용인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대북 제재에 관해서는 지속하고 있다고 강조하면서도 어느 시점에서 제재를 해제하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트럼프 대통령] “As you know and as I have said, the sanctions right now remain. At a certain point I look forward to taking them off and they will come off…”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북한의 핵무기들이 더 이상 (위협)요소가 아니라고 확신할 때 제재를 해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미국은 제재를 계속할 능력을 유지하고 있고 지난주에 300건의 (새) 제재를 부과할 준비가 돼 있었다며, 그러나 미-북 정상회담 때문에 제재를 가할 수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북한과의 합의가 과거처럼 종이쪽지로 전락할 가능성에 관해서는 미국은 과거와 다른 행정부, 대통령, 국무장관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트럼프 대통령] “you have a different administration and different president and different secretary of state. You have people that are, you know, it is very important to them”
미국의 옛 행정부들은 핵 문제를 최우선 사안으로 다루지 않았지만, 자신은 그렇지 않다며 핵은 항상 트럼프 행정부에 최우선(number one)이란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김정은 위원장에게 적절한 시기에 백악관에 초청할 것이라고 말했고 김 위원장이 이를 받아들였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2차 미-북 정상회담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하면서도 일정은 잡지 않았다고 덧붙였습니다.
정상회담을 앞두고 국내에서 강하게 제기됐던 북한의 심각한 인권 문제에 대해서는 김정은 위원장과 논의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트럼프 대통령] “It was discussed. It was discussed relatively briefly compared to denuclearization.
비핵화와 비교해서는 짧게 다뤄졌지만, 인권 문제를 논의했다는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핵심 목표는 비핵화라고 거듭 강조하면서도 북한의 인권 상황이 험난하다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북한뿐 아니라 많은 곳이 험란하다고 말해 과거보다 목소리를 낮췄습니다.
하지만 인권 문제를 (회담에서) 어느 정도 강하게 논의했다며 앞으로도 이를 계속할 것이며 궁극적으로 뭔가를 합의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특히 최대 12만 명이 수감돼 있는 것으로 유엔이 추산한 정치범 수용소(관리소)와 관련해, 자신이 (회담을 통해) 정치범들을 도왔다고 믿는다며 상황이 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지금 당장은 자신이 할 수 있는 게 많지 않으며, 김정은 위원장이 어느 시점에서 이를 제기하길 희망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북한에 억류됐다 혼수상태로 풀려난 뒤 사망한 미 대학생 오토 웜비어에 관해서는 그의 죽음이 헛되지 않았다며, 웜비어의 죽음이 없었다면 미-북 정상회담도 열리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강하게 요청했던 일본인 납북자 문제도 제기했다고 말했지만, 북한의 반응에 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주목할 만한 인권 개선 없이 대북 제재를 해제할 수 있는지에 관해서는 의미 있는 인권 개선을 원하고 그런 과정을 시작하고 싶다면서도 자세한 견해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VOA 뉴스 김영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