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중순부터 복구 조짐을 보였던 동창리 서해 발사장 내 이동식 건물이 8개월 만에 원래 있던 자리로 되돌아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전문가들은 핵심 자재들이 그대로 보관돼 불과 2주만에 원래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고 분석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동창리 발사장 내 조립건물이 해체 이전에 머물던 지점으로 이동한 모습이 민간위성에 포착됐습니다.
VOA가 일일 단위 위성서비스인 ‘플래닛 랩스(Planet Labs)’의 6일자 위성사진을 살펴본 결과 이 조립건물은 지난해 7월 옮겨졌던 발사장 중심부에서 약 80~90m 동쪽으로 떨어진 지점에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조립건물이 해체되기 이전에 머물렀던 위치로, 바로 옆에는 이동이 불가능한 주 처리 건물이 있습니다.
동창리 일대를 뒤덮은 미세먼지로 인해 위성사진의 화질은 매우 열악했지만, 조립건물을 포함한 동창리 시설 내 건물 형태는 식별 가능해 건물들의 세부 위치 역시 파악됐습니다. 특히 위성사진의 색상 반전 등의 과정을 통해 조립건물이 주 처리 건물과 동일 선상에 놓여 있는 모습도 확인됐습니다.
로켓 등 발사체를 수직으로 세워 발사대로 옮기는 역할을 하는 이 조립건물은 지난해 7월 이후 줄곧 발사장 중심부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그러나 VOA는 지난달 초부터 이달 초까지 촬영된 위성사진을 근거로 조립건물 주변의 건물자재 등이 지난달 22일을 기점으로 이동된 흔적을 포착해 5일 보도한 바 있습니다.
다만 낮은 화질 때문에 당시 변화가 조립건물 해체 과정의 일환인지, 아니면 건물 재건으로 돌아간 것인지 파악할 수 없었는데, 이번 조립건물 이동 사실을 통해 조립건물의 복구 쪽에 무게가 실리게 된 겁니다.
기간으로 놓고 본다면 최초 해체 시도 이후 8개월, 복구 작업을 본격화한 지 약 2주 만입니다.
앞서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한반도 전문 웹사이트 ‘비욘드 패럴랠’과 북한 전문 매체인 ‘38노스’는 3월2일에 촬영된 고화질 위성사진을 토대로 해당 건물의 지붕을 제외한 외벽이 완성됐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이들 매체가 공개한 사진에는 조립건물이 발사장 중심부에 자리하고 있으며, 하얀색 외벽이 4개 면을 둘러싼 모습이 보입니다. 이들 외벽들은 지난해 7월 해체돼 텅 비어있는 건물 안쪽의 모습을 드러냈었습니다.
이와 더불어 엔진 시험장의 주요 시설들도 재건되는 움직임이 관측됐습니다.
한국 정보당국도 5일 북한이 동창리 발사장을 복구하기 시작한 것으로 파악했다며, 일부 시설에 지붕과 문짝이 다시 설치됐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그러나 조립건물이 원래 있던 자리로 이동한 모습이 포착된 건 ‘플래닛 랩스’의 6일자 위성사진이 처음입니다.
위성사진 분석가인 제임스 마틴스 비확산센터의 데이비드 슈멀러 연구원은 6일 VOA와의 전화통화에서 조립건물이 정상회담 이후가 아닌 회담 직전에 완성된 사실에 주목했습니다.
[녹취: 슈멀러] “So in between...”
지난달 18일에서 23일 사이 각종 재료들이 동창리 시설에 도착했으며, 26일 위성사진에선 조립건물이 재조립된 것으로 보인다는 겁니다.
슈멀러 연구원은 북한은 과거에도 폐기를 약속한 시설을 일부만 해체한 뒤, 협상에 진전이 없을 때 압박 수단으로 활용해 왔다고 지적했습니다.
따라서 이런 이유 때문에 동창리 시설도 일부만 해체됐고, 정상회담을 앞두고 압박을 가하기 위해 복구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슈멀러 연구원은 설명했습니다.
군사전문가이자 위성사진 분석가인 닉 한센 스탠포드대학 국제안보협력센터 객원연구원은 전체적인 복구가 매우 빨리 이뤄졌다는 데 큰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녹취: 한센 연구원] “That building is back...”
조립건물이 제자리로 돌아간 사실을 통해, 건물의 이동에 필요한 선로 등이 한 번도 해체된 적이 없다는 점 또한 확인됐다는 겁니다. 즉 해당 건물이 언제든 제자리로 돌아가 재가동될 수 있는 여지는 늘 남아있었다는 설명입니다.
한센 연구원은 지금까지 공개된 위성사진에서 동창리 발사장 내 해체된 자제들이 가지런히 땅에 놓여있는 모습을 상기시키면서, 이는 언제든 다시 조립할 것을 염두에 뒀기 때문이라며 아마도 개별 번호가 매겨져 관리됐을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녹취: 한센 연구원] “It wouldn’t take long...”
그러면서 이런 방식의 해체는 빠른 시일 내 조립을 할 수 있게 하고, 실제로 재조립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는 게 한센 연구원의 설명입니다.
한센 연구원은 따라서 “북한은 (동창리 발사장의) 어떤 것도 해체한 적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이 군사시설을 해체한 뒤 빠른 속도로 복구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북한은 지난 2017년 11월 평양 인근의 자동차 공장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이동식 발사차량에 탑재하는 약 30m 높이의 구조물을 설치한 바 있는데, 이 구조물의 완성까지 걸린 시간은 불과 3일이었습니다.
이후 이 시설은 지난해 3월 해체된 모습이 관측됐지만, 한 달 뒤인 같은 해 4월 다시 건립된 사실이 민간위성에 포착됐었습니다.
현재 이 시설은 지난해 7월 다시 해체돼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한센 연구원은 북한이 이 시설을 언제든 다시 지을 수 있도록 조립시설의 구조물을 어딘가에 보관해 놓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