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정확한 실태를 공개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잇따릅니다. 최악의 사태에 대비하려면 국제사회와 협력하고, 주민들에게도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겁니다. 안소영 기자입니다. (영상편집: 이상훈)
유엔은 2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긴급자금 1천 5백만 달러를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을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의료 체계가 취약한 나라를 우선 지원한다며, 기금은 세계보건기구와 유니세프가 운용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국제적십자연맹과 세계보건기구 WHO 등 국제기구는 북한에 개인보호 용품을 지원하고, 인력을 급파하는 등 북한 내 코로나바이러스 대응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국제사회의 도움이 효과적이려면, 북한의 투명한 정보 공개가 우선시 돼야 한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박기범 / 재미한인의사협회 북한담당 국장
“만약 한 나라가 보고의 의무를 다하지 않으면, 이는 국제적 차원의 대응 과정을 지연시킵니다”
국제기구가 각국의 보고를 토대로 전염병의 심각성을 파악하는 만큼, 모든 나라가 전염병 정보를 공유할 의무가 있다는 겁니다.
북한이 국제기구뿐 아니라 주민들과도 정확한 전염 실태를 공유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옵니다.
코틀랜드 로빈슨 /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교수
“의사 소통, 투명성이 무너지면 전염병은 확산될 수 밖에 없습니다. 전염병에 대한 대처는 상호 의사소통과 함께 개방적이고 투명한 시스템을 필요로 합니다.”
북중 접경지역에서 탈북자들을 면담하고 북한 내 보건 실태 등을 연구해 온 로빈슨 교수는 주민 절반이 영양결핍 상태인 보건 취약국 북한에 전염병은 치명적이라며, 소통을 기반으로 한 대응을 강조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은 여전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는 없다면서도, 북중 접경 지역 등에 ‘의학적 감시 대상’들 수천 명이 있다고 밝혀 의구심을 더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북한과 인접한 중국과 한국 내 감염자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의 ‘청정 지역’ 주장은 점점 신빙성이 떨어져 간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VOA 뉴스 안소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