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임명 위한 작업 중…북한 인권 문제 우선시"


지난 2015년 10월 미국 의회에서 열린 북한 인권 청문회에 로버트 킹 국무부 북한인권특사(왼쪽)와 성 김 대북특별대표가 참석했다.
지난 2015년 10월 미국 의회에서 열린 북한 인권 청문회에 로버트 킹 국무부 북한인권특사(왼쪽)와 성 김 대북특별대표가 참석했다.

미국 국무부가 북한인권특사 임명 의지를 거듭 확인했습니다. 북한 주민들의 인권 문제 해결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미 국무부 대변인실 관계자는 26일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임명과 관련한 진전 사항’을 묻는 VOA의 이메일 질의에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말한 것처럼 특사를 임명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대답했습니다.

[대변인실 관계자] “As the Secretary has said, we are working to appoint a North Korea human rights envoy. However, we don’t have any personnel announcements to make at this time.”

이 관계자는 그러나 “현 시점에 이와 관련해 발표할 내용은 없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지난 6월 하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서 “북한인권특사를 반드시 임명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다만 “인사검증 과정이 예전보다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고 힘들어졌다”며, 임명이 지연되는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미 의회는 지난 2004년 제정돼 지금까지 세 차례 재승인된 ‘북한인권법’을 통해 북한인권특사 임명을 법적으로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인권특사를 임명하지 않으면서 이 자리는 2017년부터 현재까지 공석으로 남아있습니다.

국무부 관계자는 “미국은 북한을 포함하는 외교정책의 중심에 인권을 놓는 것에 전념하고 있다”고 거듭 밝혔습니다.

[대변인실 관계자] “The United States is committed to placing human rights at the center of our foreign policy, including in the DPRK.We will continue to prioritize human rights in our overall approach towards the DPRK. Even where we disagree with a regime like the DPRK, we must work to the best of our ability to alleviate the suffering of its people.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that the DPRK regime is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humanitarian situation in the country.”

따라서 “우리는 전반적인 대북 접근법에서 인권을 계속 우선시할 것”이라며, “북한과 같은 정권에 동의하지 않는 상황 속에서도 우리는 북한 주민들의 고통을 줄이기 위해 우리의 역량에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북한 정권이 북한의 인도적 상황에 일차적 책임이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