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는 북한의 거듭된 미사일 발사에 대해 책임을 묻기 위한 다른 조치들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유엔에서도 관련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조은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31일 북한의 잇단 미사일 발사에 대한 추가 조치를 예고했습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중거리 탄도미사일발사를 비롯해 북한의 연이은 도발에 국무부가 같은 성명을 내놓고 있는데 우려 수준이 높아지고 있느냐는 질문에 “명백히 우려하고 있다”고 답하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녹취: 프라이스 대변인] “We’ve made no secret about our concern, the concern that we have for what we’ve seen emanate from the DPRK. It’s a concern we share with our allies in the Indo-Pacific, Japan and South Korea in addition to our allies and partners around the globe. Of course the DPRK’s ballistic missile and nuclear weapons program, this is a challenge that is long standing, it is a challenge that has vexed successive administrations, we have developed an approach that at its center seeks to find a diplomatic means by which to achieve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t’s a challenge and an approach that we continue to speak about with our allies, especially our allies in the region.”
프라이스 대변인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동맹인 일본과 한국을 비롯해 전 세계 미국의 동맹과 파트너들은 (북한에 대해) 같은 우려를 갖고 있다며, “북한의 탄도미사일과 핵 프로그램은 과거 미국 정부들을 괴롭힌 오래된 도전”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우리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한 외교적 수단을 찾는 것을 중심에 둔 접근법을 개발했다”며 “이는 우리 동맹, 특히 역내 동맹과 함께 계속 협의하고 있는 도전이자 접근법”이라고 말했습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그러면서 북한에 대응할 새로운 조치를 강구하고 있다는 점을 밝혔습니다.
[녹취: 프라이스 대변인] “But even as we seek to find ways to address this challenge diplomatically we’re moving forward with different steps to hold the DPRK responsible and accountable. And this month alone we imposed sanctions on 8 DPRK-linked individuals and entities, these are individuals and entities that supported the DPRK’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ballistic missile-related programs. We are continuing to discuss this challenge in the UN as well.”
프라이스 대변인은 “외교적 해법을 추구하면서도 북한에 책임을 묻기 위한 다른 조치들을 추진하고 있다”며 1월에만 해도 북한의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지원한 북한과 관련된 개인 7명과 단체 1곳에 제재를 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그러면서 “유엔에서도 이런 도전을 계속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유엔주재 미국 대사도 30일 북한의 중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해 ‘도발적’이라고 규탄하고 “한국, 일본과 대응할 다른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 미국은 최근 대북 독자 제재를 가했고 안보리 내에서 제재를 추진해 왔다며, “북한 미사일로 인해 위협을 받는 한국, 일본과 함께 대응할 다른 옵션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관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31일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에 대한 기존 입장을 확인했습니다.
북한의 미사일 도발, 타이완 해협 긴장 고조 등 외교 안보 현안들이 동시에 발생하는 가운데 우크라이나 사태를 어떻게 다룰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 사키 대변인은 우선 북한 문제를 언급했습니다.
[녹취: 사키 대변인] “I would say one N Korea has done missile tests, dozens of them in prior administrations and obviously we’ve spoken to it each time that has happened. Our door to diplomacy remains open and we have conveyed that clearly.”
사키 대변인은 “북한은 예전 행정부에도 수 십번 미사일 실험에 나섰다”며 “물론 우리는 미사일 발사가 있을 때마다 이에 대해 언급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외교에 대한 우리의 문은 여전히 열려 있고, 그 점을 우리는 분명히 전했다”고 말했습니다.
사키 대변인은 이어 동시 다발적인 국제 현안 발생에 대해서는 분리 대응 원칙을 밝혔습니다.
사키 대변인은 “이 모두 다른 상황이기에 하나로 통합하지 않기 위해 매우 유의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VOA 뉴스 조은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