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미 국무부, ‘북한 안보우려 해소 필요’ 중국 주장에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 목표…대북외교 전념”


미국 워싱턴의 국무부 건물.
미국 워싱턴의 국무부 건물.

미 국무부는 북한 핵 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이 북한의 안보 우려를 해소해야 한다는 중국의 주장과 관련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와 함께 대북 외교 원칙을 재확인했습니다. 또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이 패권 유지를 위한 것이라는 중국의 비판에 대해서도 역내에서 협력을 구축하기 위한 긍정적 전략이라고 반박했습니다. 박형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 국무부는 북한 핵 문제와 관련해 “우리는 계속 북한과 접촉하려 하고 있으며 외교적 접근을 추구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무부 대변인실 관계자는 7일 중국의 왕이 외교부장이 북한 핵 문제와 관련해 미국이 북한의 안보 우려를 해소해야 한다고 밝힌 것에 대한 VOA의 논평 요청에 “우리의 목표는 여전히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국무부 대변인실 관계자] “Our goal remains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we have said previously, we continue to reach out to the DPRK and are committed to pursuing a diplomatic approach. We have no hostile intent toward the DPRK and are prepared to meet without preconditions. We call on the DPRK to engage in serious and sustained diplomacy.”

앞서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7일 진행된 중국의 대외정책 관련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북한 핵 문제 해결 방안을 묻는 질문에 “한반도 문제의 뿌리는 북한이 직면한 외부의 안보 위협이 장기간 해소되지 않고 북한의 합리적 안보 우려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고 있다는 데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이 북한의 합리적 안보 우려를 해결하는 실질적 조치를 취하고 북한과 기본적 상호 신뢰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국무부 대변인실 관계자는 “우리는 북한을 향한 적대 의도가 없으며 전제조건 없이 만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북한에 진지하고 지속적인 외교에 관여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그동안 ‘조율되고 실용적인 접근법으로 대북 외교를 모색한다’면서 북한에 전제조건 없는 대화를 제안했지만 북한은 호응하지 않고 있습니다.

대신 북한은 중거리미사일(IRBM)을 포함해 올해 들어서만 9차례에 걸쳐 무력시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편 국무부는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이 ‘인도태평양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구상’이라는 중국의 주장도 반박했습니다.

국무부 대변인실 관계자는 “인도태평양 전략은 역내에 대한 우리의 긍정적인 전략”이라며 인도태평양 전략은 “앞으로 미국에 이 지역보다 더욱 중요한 곳은 없을 것이며, 미국의 안보와 번영이 근본적으로 인도태평양에 달렸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밝혔습니다.

또 이런 비전은 미국 내에서 초당적으로 공유되고 역내와 유럽 전역에서도 공유된다는 말했습니다.

[국무부 대변인실 관계자] “The Indo-Pacific Strategy is our affirmative strategy for the region. This Indo-Pacific Strategy argues that no region will be more vital to the United States in the future – and that American security and prosperity fundamentally depend on the Indo-Pacific’s. This vision is shared in a bipartisan fashion at home, in the region, and across Europe.”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을 인도·태평양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구상’이라고 주장하며 “미국 주도의 패권 체제를 수호하고 아세안 중심의 역내 협력 구도를 훼손해 역내 국가의 전체적이고 장기적인 이익을 해치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또 ‘파이브아이즈’와 ‘쿼드’, ‘오커스’ 등 미국과 동맹의 협의체를 거론하며 “소그룹을 만들어 중국을 압박하는 것은 양국 관계의 큰 국면을 해치고 세계 평화와 안정에도 충격을 주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국무부 대변인실 관계자는 인도태평양 전략에는 2가지 핵심 요소가 있다며, 하나는 “역내에서 미국 자체의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중국의 행동이든 기후위기 혹은 다음의 전염병이든 21세기 도전에 맞서고 기회를 붙잡기 위한 집단적 역량 구축을 모색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인도태평양 전략은 우리의 대중국 전략이 아니다”면서, 이 전략이 “범위 면에서 세계적이지만 인도태평양을 특히 치열한 경쟁 지역으로 인식한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바이든 정부는 지난달 11일 출범 1년만에 종합적인 인도태평양 전략을 공개했습니다.

그러면서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 ‘역내와 그 너머의 연결 강화’, ‘역내 번영 도모’, ‘안보 강화’, ‘다국적 위협에 대한 회복력 증진’ 등 인도태평양 전략의 5가지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VOA 뉴스 박형주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