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물이 풍부한 북한 검덕지구 개발 계획이 공허한 약속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미국 국가지리정보국이 밝혔습니다. 북한 당국이 필수 인프라에 대한 투자 대신 ‘보여주기’식 건설에만 집중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박승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규)
미국 국방부 산하 국가지리정보국은 15일 발행한 ‘북한 검덕 광산: 공허한 약속’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북한 함경남도 검덕의 광산지구가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함경남도 북부에 위치한 이 광산지구는 검덕과 룡양, 대흥 등 50여 개 광산이 밀집해 있는 북한 최대의 광산 지역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 일대는 납과 은, 마그네사이트 등이 풍부하며 특히 아연의 경우 매장량이 동아시아 최대 규모인 2억 6천 600만 톤으로 추정됩니다.
또 아연은 다양한 제품에 활용될 수 있어 가치 있는 원자재이며 북한은 세계 최대 아연 생산국 중 하나가 될 역량을 갖춘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실제로 지난 2020년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태풍 마이삭으로 수해를 입은 검덕지구를 시찰하면서 이곳을 삼지연시 다음가는 국가적 본보기 산간 도시로 훌륭히 변화시키겠다며 복구 사업을 지시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2년에 걸친 검덕지구 복구사업은 주택 건설 등에 초점이 맞춰졌을 뿐, 검덕지구를 실질적으로 발전시킬 광산과 도로, 철길 같은 광산 인프라에 대한 투자는 눈에 띄지 않는다고 보고서는 지적했습니다.
또 해당 지역의 위성사진을 토대로 김 위원장이 지시한 산간 도시 완성을 위해 북한 당국이 아파트 등 주택시설을 빠른 속도로 지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오랜 난개발로 홍수에 취약한 이 지역에 반드시 필요한 수해 대비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태풍 마이삭이 휩쓸고 지나간 지 불과 1년도 안 된 2021년 봄에는 벌써 도로에 물이 넘치는 모습이 포착됐고, 이는 강한 태풍이 또 올 경우 수해를 입을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진단입니다.
또 해당 지역에 에너지 공급 인프라의 변화가 생긴다면 검덕의 운영 역량 증가와 함께 광부 가족들 삶의 질 개선 등에 북한이 정말 전념한다는 지표로 볼 수 있지만 지난 10년간 촬영한 위성사진을 분석했을 때 이 분야에서는 거의 발전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보고서는 그러면서 이 일대 광산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려면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지만 현재 북한은 대규모 국가 개발 사업을 꼼꼼히 추진할 상황이 안 될 뿐만 아니라, 고질적인 전력 부족으로 공사를 제대로 하기조차 어렵다면서 결국 검덕지구 개발은 공허한 약속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고 결론지었습니다.
VOA뉴스 박승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