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백악관 “북한, 러시아에 비밀리 포탄 공급…유엔 차원 책임 조치 강구”


존 커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
존 커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

북한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비밀리에 포탄을 공급한다는 정보를 확보했다고 백악관 고위관리가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유엔 차원에서 북한에 책임을 묻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박형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의 존 커비 전략소통조정관은 2일 온라인 브리핑에서 북한이 비밀리에 러시아에 포탄을 공급하고 있다며 유엔 차원에서 책임을 묻는 조치를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녹취: 커비 NSC 조정관]"North Korea publicly denied that it intended to provide ammunition to Russia. There used to be, however, our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DPRK is covertly supplying Russian war on Ukraine with a significant number of artillery shells while obfuscating the real destination of the arms shipments by trying to make it appear as though they're being sent to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We're going to continue to monitor whether these shipments are received and the efficacy of international sanctions on Russia has to continue to look to actors like the DPRK and Iran..."

커비 조정관은 “북한이 러시아에 탄약을 제공할 계획이 없다며 공개적으로 부인했지만 미국의 정보는 북한이 상당량의 포탄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에 공급하고 있음을 시사한다"며 “이것들이 중동이나 북아프리카 국가들로 보내지는 것처럼 꾸며 포탄의 실제 목적지를 숨기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 포탄들이 실제 러시아로 전달되는지 계속 주시할 것"이라며, 국제 제재가 러시아의 전쟁을 지원하는 이란과 북한과 같은 행위자들도 계속 주시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국은 앞서 지난 9월 러시아가 북한을 대상으로 로켓과 포탄 구매 의사를 타진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 국방성 장비총국 부총국장은 당시 "우리는 지난 시기 러시아에 무기나 탄약을 수출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그럴 계획이 없다"고 주장하며 이를 전면 부인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 CNN 방송은 이날 북한이 러시아에 우크라이나에서 사용할 상당수의 포탄을 비밀리에 공급 중인 것으로 미국 정보당국이 판단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커비 조정관은 '북한 포탄이 실제로 또 얼마나 러시아에 전달됐느냐'는 질문에 대해선 "포탄 규모를 특정하지 않을 것"이라며 즉답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우리가 말하는 것은 수십 발 정도가 아니라 상당량”이라며 “실제 전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우리는 계속 주시하고 있다”고 거듭 밝혔습니다.

커비 조정관은 북한의 포탄 공급과 관련해 유엔 차원에서 책임을 묻는 조치를 모색할 것이라는 점도 분명히 했습니다.

특히 ‘미국이나 국제기구 등이 북한의 포탄 선적을 차단할 방안이 있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분명히 추가적인 책임 조치에 대해서 유엔 등에서 동맹, 파트너들과 협의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다만 차단 조치 등과 관련해선 "결정하지 않았으며 현재로선 덧붙일 것이 없다"고 언급했습니다.

[녹취: 커비 조정관] "we will obviously consult allies and partners particularly at the U.N., on additional accountability measures. We've made no decisions about that. So I have nothing to add with respect to interdiction or accountability measures…we're going to will certainly explore options inside the U.N. framework, but I don't have any other accountability measures.”

그러면서 “우리는 분명히 유엔의 틀 안에서 선택방안들을 모색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지금 관련 정보를 공개한 이유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이전에는 러시아가 포탄 구매를 위해 북한을 접촉하고 있다는 '포탄 구매 가능성'에 대해 공개했으며, 지금은 북한이 실제로 공급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정보가 있다"며 "이것을 공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답했습니다.

커비 조정관은 북한의 전날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이번 발사들이 미국 본토와 우리 국민들에게 직접적인 위협을 제기하지 않았다"면서도 미 정부의 규탄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녹취: 커비 조정관] “we of course condemn these missile launches and the DPRK's reckless decision to fire a missile below the de facto maritime boundary with the Republic of Korea. These launches did not pose an immediate threat to the homeland to our homeland or the US personnel. And we are of course coordinating closely with our allies and partners. As we have said, we remain committed to the defense of Republic of Korea and to Japan as a treaty alliances continue to seek serious and sustained dialogue with the DPRK but the DPRK continues to refuse to engage with us."

“우리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한국과의 실질적인 해상 경계선 이남으로 미사일을 발사한 무모한 결정을 규탄한다”는 것입니다.

이어 “우리는 동맹, 파트너들과 긴밀하게 조율하고 있으며 조약동맹인 한국과 일본 방위에 여전히 전념하면서 북한과의 진지하고 지속적인 대화를 계속 모색하지만 북한은 관여를 계속 거부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역내 안정을 위협하는 불법 무기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북한의 능력을 제한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계속 협력할 것”이라고 커비 조정관은 강조했습니다.

[녹취: 커비 조정관] "we're going to work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limit North Korea's ability to advance its unlawful weapons program that threaten regional stability. We're also sure from a military perspective that we have the capabilities in place to defend ourselves and defend our treaty allies. And there's an annual exercise ongoing right now of bilateral exercises with South Korea...and it's just these launches just underscore the need to make sure that we have the appropriate military readiness in and around the region"

또한 “군사적으로는 우리와 우리의 조약 동맹들을 방어하기 위한 역량을 갖추도록 분명히 할 것”이라며 미한연합 훈련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거론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의 이런 발사들은 우리가 역내와 주변에서 적절한 준비태세를 확실히 갖춰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커비 조정관은 '최근 한반도 상황이 악화하고 가운데 바이든 행정부의 추가 대북 접촉 노력이 있느냐'는 질문에 바이든 정부의 대북 외교 원칙을 거듭 상기했습니다.

미국은 한반도 비핵화를 논의하기 위해 전제조건 없이 북한과 마주 앉을 의향이 있다는 점을 외교 채널을 통해서는 물론 공개적으로 밝혀왔으며, 이런 입장은 변하지 않았다는 겁니다.

이어 ‘북한 문제와 관련해 중국 측에 역할을 요구하고 있느냐’ 질문에는 “우리는 중국 정부가 절대적이지는 않더라도 북한에 대해 영향력을 갖고 있다는 점을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커비 조정관] "And we've said many times that we would welcome Beijing to use the influence that they have in trying to a positive effect when it comes to the democratization of the peninsula, but we're not seeing that sort of influence being exerted by the Beijing"

커비 조정관은 그러면서 “우리는 한반도 비핵화와 관련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베이징의 영향력 활용을 환영할 것이라고 여러 차례 밝혀왔다”며 “하지만 베이징이 그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을 사실상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방안을 고려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선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우리의 정책은 바뀌지 않았다”며 “우리는 여전히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보길 원한다”고 답했습니다.

커비 조정관은 이달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리는 세계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각국 정상들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중국의 강압 행위 등과 함께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도 논의할 것이라는 점도 밝혔습니다.

또 북한의 탄도미사일 위협을 거론하면서 이란과 전 세계 테러리스트들을 지원한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VOA 뉴스 박형주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