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풍계리 핵실험장의 잔류 방사능이 지하수로 유입됐을 가능성에 핵 전문가들이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북한의 거부로 관련 정보가 전혀 없는 현실을 지적하며 국제사회 검증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차장을 지낸 올리 하이노넨 스팀슨센터 특별연구원은 16일 VOA에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에 누적된 방사능이 상당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녹취: 하이노넨 연구원] “Certainly it will. First of all when you have a nuclear test for example, most of the plutonium doesn't actually explode. So you will have the plutonium left and then you will have the fission products left. And they stay in the tunnels. And the same happens with the uranium. It will be the uranium with perhaps less toxic than plutonium but the fission products are there.”
하이노넨 특별연구원은 한국 정부가 풍계리 인근 지역 출신 탈북민에 대한 피폭 조사를 시작하는 것과 관련해 북한이 지난 10년 동안 풍계리 핵실험장 한 곳에서만 6번의 핵실험을 했기 때문에 방사능이 계속 누적됐을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핵실험 시 대부분의 플루토늄은 실제로 폭발하지 않고 남는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핵분열 생성 물질도 갱도 안에 그대로 남으며, 플루토늄보다 독성은 다소 덜하지만 우라늄도 마찬가지로 잔류하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이노넨 특별연구원이 북한이 과거 방사성 물질, 이른바 핵종을 숨기려고 노력한 전력이 있기 때문에 대기 방출을 제한하는 데는 어느 정도 성공했을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다만 문제는 잔류 방사능이 지하수로 흘러 들어갈 가능성이라며, 그럴 경우 “실질적인 위험”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녹취: 하이노넨 연구원] “I think that these are the practical risks which are there. Melting snow, monsoon season with a heavy raining and the cracking of the mountain after this detonations and particularly the last one was a very very strong. So one could expect that it has had a damage. And then there has been some events also after 2018 and 2019 from time to time there are small earthquakes. I think that all those have an impact on the safety.”
눈이 녹는 것, 폭우가 내리는 장마철, 핵폭발 이후 암반에 균열이 생기는 현상 등을 통해 잔류 방사능이 지하수로 흘러 들어갈 가능성이 크다는 것입니다.
또한 지난 2018년과 2019년 풍계리 일대에서 있었던 소규모 자연 지진도 암반 균열에 영향을 줬을 수 있다면서, 이 모든 현상들이 풍계리 주변 지역의 방사능 오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미국의 핵 과학자인 데이비드 올브라이트 과학국제안보연구소(ISIS) 소장도 이날 VOA와의 전화통화에서 지하 핵실험으로 인한 풍계리 인근 지역의 방사능 노출에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특히 핵실험 후 환경 영향 평가와 방사능 노출에 따른 인체 유해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야 하지만, 이 같은 검증에 매우 비협조적인 북한의 태도 때문에 방사능 유출 경로 등 관련 정보를 거의 알 수 없다는 것이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녹취: 올브라이트 소장] “That would be the simplest thing that you just have people test the ground water the surface water the air for any traces of radiation that can be associated with the nuclear test. And that's what other countries have done. I think the United States still does it even though our testing stopped decades ago. They still will monitor just to see the fate of radioactive materials that could be could have come from nuclear atmospheric nuclear tests or underground tests. So I think but North Korea blocks all ways of testing the local area for radioactive materials from the tests.”
올브라이트 소장은 핵실험과 관련된 방사능 유출 검증을 위해서는 검증단을 파견해 지하수와 지표수, 대기 오염 정도를 검사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간단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대다수 핵실험 국가들에서 그런 절차를 거치고 있으며, 특히 미국은 수십 년 전에 핵실험을 중단했음에도 여전히 그 같은 영향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올브라이트 소장은 가장 우려되는 것이 식수나 농업용수로 사용되는 지하수를 통한 방사능 노출이라며, 하지만 현재로서는 이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고 우려했습니다.
북한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금까지 풍계리 인근 지역에서 방사능 노출로 인한 질병이 보고된 적이 단 한 건도 없었는데, 이를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현재로서는 해당 지역에 살았던 탈북민을 통해 방사능 오염 물질을 확인하는 것만이 유일한 방법이며, 그런 측면에서 한국 정부가 취하고 있는 탈북민 피폭 전수조사 방침은 타당한 접근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녹취: 올브라이트 소장] “You could look at things like cesium 137 strontium 90. You certainly if they did thermonuclear tests you're going to look for tritium and those things are going to cause cancer. And so what you're going to try to see if any of the defectors have cancer that can be attributed to a radioactive exposure.”
북한이 핵실험을 했다면 핵분열시 발생하는 주요 방사성 동위 원소인 세슘, 스트론튬이나 방사능을 일으키는 삼중수소가 인근 주민들의 체내에 남아 있을 것이며, 그것들은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 정부가 탈북민 중 방사능 노출로 인해 암에 걸린 사람이 있는지 알아보려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전문가들은 현재 핵 실험장의 안전과 보안을 통제하는 관련 국제 법 규정은 없다면서도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감시와 안전 역량 구축을 돕는 역할을 한다며 북한이 이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하이노넨 연구원] “IAEA has been is the monitoring of the contamination in air after the tests with the help of the member States and help them to build their capabilities. But there is no international legislation which controls the nuclear test sites and safety and security of those.”
하이노넨 특별연구원은 풍계리 핵실험장과 영변 핵시설의 상황은 다르지만, IAEA가 영변 핵시설을 사찰했을 당시에는 북한의 관련 안전 기준이 분명 개선됐었다면서, 국제사회는 북한이 검증을 받아들이도록 계속 요구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올브라이트 소장도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방사능 노출 관련 국제 안전 규정을 준수하고 이에 따른 사후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매우 의문이라면서 사실상 그럴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수질 오염 등을 확인하기 위해 방사능 전문가들을 파견할 수 있지만 북한 정부가 이를 허용할 가능성도 거의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현재 상황에서 최선은 한국 정부가 핵 실험장 인근 출신 탈북민들을 정기적으로 검사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한국 통일부 당국자는 16일 VOA와의 전화통화에서 “한국 원자력의학원에서 15일부터 탈북민들에 대한 방사선 피폭검사를 시작했다”면서 검사는 11월 말까지 진행되고 결과는 연말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통일부는 풍계리 핵실험장이 위치한 함경북도 길주군과 인근 지역 출신으로 2006년 1차 핵실험 뒤 탈북한 796명을 전수조사 대상자로 설정했고, 올해 조사에서는 희망자 89명을 검사한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내 북한인권단체인 ‘전환기정의워킹그룹’은 핵실험장에서 발생한 방사성 물질이 지하수를 통해 주민에게 확산될 우려를 4년간 추적·조사했고 그 결과가 담긴 특별보고서를 지난 2월 공개한 바 있습니다.
이에 윤석열 정부는 지하수를 통한 피폭 경로는 북한 주민은 물론 주변국가까지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일자 전수조사 방침을 발표했었습니다.
VOA 뉴스 조상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