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북한, 개성공단에서도 옥수수 건조…2km 도로 노랗게 물들어


개성공단을 촬영한 10월 5일 자 위성사진. 남쪽 부분 도로와 중심 부분 도로가 곡식으로 추정되는 물체로 인해 노랗게 물들어 있다. 사진=Planet Labs
개성공단을 촬영한 10월 5일 자 위성사진. 남쪽 부분 도로와 중심 부분 도로가 곡식으로 추정되는 물체로 인해 노랗게 물들어 있다. 사진=Planet Labs

북한이 개성공단에서 옥수수를 말리는 장면이 포착됐습니다. 금강산 골프장에 이어 또 다른 한국 측 시설이 같은 용도로 활용되고 있어 주목됩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5일 개성공단을 촬영한 ‘플래닛 랩스(Planet Labs)’의 위성사진에 노란색으로 물든 도로가 보입니다.

노란색 지대는 개성공단에서 알파벳 U자 모양으로 형성된 남쪽 도로 약 1.4km 구간과 중간 지점 도로 약 500m에 걸쳐 조성돼 있습니다.

또 개성공단관리위원회 건물 앞 가로 30m, 세로 75m의 공터도 노란색 물체로 가득합니다.

노란색 지대를 길이로만 놓고 본다면 무려 2km에 이른다는 의미입니다.

북한에선 10월을 전후해 평평한 길 위에 옥수수를 말리는 광경이 종종 포착됐습니다. 이 광경은 위성사진 상에선 노란색 지대로 나타나곤 했는데, 이에 따라 이번에 개성공단을 노랗게 물들인 물체 역시 옥수수 등 농작물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개성공단 도로에서 농작물이 처음 포착된 건 지난달 22일입니다. 이날 남쪽 도로의 동쪽 끝부분 약 70m 구간과 개성공단관리위원회 공터에 노란색 지대가 형성됐습니다.

이어 이틀 뒤인 24일엔 남쪽 도로의 노란색 지대가 500m로 늘어났고, 이후 서쪽과 북쪽으로 연결된 도로로 이어지면서 노란색으로 물든 도로의 길이도 더 길어졌습니다.

이후 이달 5일 절정을 이룬 노란색 지대는 10일과 11일 사이 어느 시점부턴 자취를 감췄습니다.

개성공단에서 포착된 변화. 9월 22일 일부 지대에서 포착된 노란색 물체(원 안)는 시간이 흐를 수록 그 면적이 넓어진다. 사진=Planet Labs
개성공단에서 포착된 변화. 9월 22일 일부 지대에서 포착된 노란색 물체(원 안)는 시간이 흐를 수록 그 면적이 넓어진다. 사진=Planet Labs

25일 현재 개성공단 도로에선 노란색으로 된 구간은 더 이상 없습니다.

앞서 VOA는 지난달 금강산 관광지구의 골프장을 촬영한 위성사진을 통해 북한이 이 일대를 옥수수를 말리는 장소로 활용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금강산 골프장은 한국의 리조트 기업인 아난티가 현대아산으로부터 임대한 대지에 세운 시설로, 북한은 지난해 골프장 내 숙박 단지를 무단 철거한 바 있습니다.

그런데 8월 중순부터 이곳 골프장의 클럽하우스 건물 바로 앞 공터에서 노란색 물체가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이 지속적으로 포착된 것입니다.

위성사진 분석가인 데이비드 슈멀러 제임스마틴 비확산센터 선임연구원은 당시 VOA에 “그간 북한이 평평한 콘크리트 지대에서 옥수수와 곡물을 말리는 장면을 봐 왔다”며 금강산 골프장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포착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종합하면 북한은 금강산 관광지구는 물론 또 다른 한국 측 자산이 몰려 있는 개성공단마저 곡식 건조 장소로 활용하고 있는 사실이 확인된 것입니다.

지난 2012년 9월 북한 개성 외곽에서 수확한 옥수수를 말리고 있다.
지난 2012년 9월 북한 개성 외곽에서 수확한 옥수수를 말리고 있다.

다만 사실상 방치된 금강산 관광지구와 달리 개성공단에선 무단 가동 정황이 지속적으로 포착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앞서 VOA는 이달 초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이 촬영한 야간 위성사진을 분석해 개성공단에서 올해 중순부터 밝은 빛이 새어 나오고 있다고 전한 바 있습니다.

낮에 촬영된 위성사진에서 버스와 인파, 자재가 포착된 데 이어 야간에 불빛까지 관측되면서 북한이 밤에도 공장을 불법 가동하는 듯한 정황을 노출한 것입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 통일부 관계자는 VOA에 “최근에도 공단 내 차량과 인원의 출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야간 점등 상황도 확인된다”며 북한이 개성공단 내 공장 일부를 가동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개성공단은 남북 교류 활성화를 목적으로 지난 2005년 가동을 시작했으며, 이후120여 개 한국 기업체가 입주해 최대 5만 명에 이르는 북한 근로자를 고용해 운영돼 왔습니다.

그러나 2016년 2월 한국 정부는 북한의 핵과 장거리 미사일 시험 등을 이유로 공단 가동 중단을 결정했고, 북한은 한국 측 자산에 대한 전면 동결을 선언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

Forum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