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수재민용 텐트촌이 추가로 위성에 포착됐습니다. 의주군 수해 지역에서 10km나 떨어진 곳에도 ‘천막 단지’가 줄줄이 들어서 막대한 피해를 짐작게 합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평안북도 의주군 중심부에서 최대 10km나 떨어진 지역에서도 수재민용 대규모 텐트촌이 들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VOA가 평안북도 신의주시와 의주군 일대를 촬영한 ‘플래닛 랩스(Planet Labs)’의 최근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기존에 평안북도 의주군 중심부가 아닌 다른 지역에서도 대형 텐트촌이 포착됐습니다.
앞서 VOA는 평안북도 의주군 일대를 촬영한 ‘플래닛 랩스’의 위성사진을 분석해 총 4개 지점, 약 1만7천 ㎡에 달하는 지대에 주황색과 노란색 천막 단지가 만들어졌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최근 이 일대엔 수해로 많은 사망자와 이재민이 발생해 북한이 이들 지대에 수백 혹은 수천 개의 이재민용 천막을 설치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었습니다.
그런데 VOA가 의주군 주변 도시를 살펴본 결과 추가로 5개 지점에 천막 단지가 조성된 사실이 확인된 것입니다.
해당 지역은 의주군 중심부에서 남쪽으로 약 10km 떨어진 신의주시 선상동과 약 7km 떨어진 고성동으로, 각각 1개와 3개씩의 단지가 만들어졌습니다.
또 의주군 중심부에서 북쪽으로 약 7km 떨어진 의주군 룡계리의 한 지점에도 주황색 물체, 즉 천막으로 뒤덮인 장면이 포착됐습니다.
이들 면적의 총합은 대략 1만7천 ㎡로, 전날 의주군 중심부에서 발견된 단지를 더하면 수해 이후 이 일대에 약 3만4천 ㎡에 달하는 천막촌이 형성됐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국제 규격 축구장 6개 규모입니다.
또 가장 가장자리에 있는 천막단지 2곳의 거리는 약 18km에 이릅니다. 수해 지역이 매우 넓다는 것을 유추해 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앞서 한국 언론은 북한 수해로 인한 사망∙실종자 규모를 1천에서 1천 500명으로 추산했었습니다.
다만 김정은 위원장은 이 같은 한국측 언론 보도를 강하게 비난했는데, 북한의 이재민 천막단지 규모로 볼 때 북한의 수해 피해가 적지 않은 것만큼은 사실로 보입니다.
앞서 구병삼 한국 통일부 대변인은 당시 김 위원장의 발언에 대해 이번 수해가 그만큼 심각하고 이로 인한 흉흉한 민심을 외부의 탓으로 돌리려는 의도로 분석한 바 있습니다.
[녹취: 구병삼 대변인] “북한이 대규모 수해 피해로 전 사회적 역량을 동원해야 하는 비상 상황에서 비난의 대상을 외부로 돌림으로써 민심 이반을 최소화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봅니다.”
이처럼 수해로 인해 많은 피해를 입은 것으로 분석되지만 북한 정권이 이를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지도 주목되는 부분입니다.
현재 VOA가 포착한 총 9개의 천막 단지 중 최소 5개가 여전히 철거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여전히 이재민이 보름 넘게 이곳에 머물고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그만큼 피해 복구 역시 늦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제롬 소바쥬 전 유엔개발계획(UNDP) 평양사무소장은 15일 북한 당국이 수년째 국경을 봉쇄한 채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거부하고 있는 사실을 지적하며, 이는 당국의 우선순위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소바쥬 전 소장] “Until 2020 there were some programs by the Red Cross and by NGOs by the United Nations to strengthen,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of communities to prepare themselves to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the impact of natural disasters. There was a technique of early warning systems. There were training in every community with the North Korean Red Cross to prepare them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North Korea has different priorities and this has come as a second priority”
이어 “북한이 신종 코로나 방역을 이유로 국경을 봉쇄한 2020년 이전까지는 적어도 북한은 적십자사와 비정부기구, 유엔 등과 기후 변화 및 자연재해에 대비하기 위한 지역 사회의 회복력 강화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조기 경보 시스템 기술, 기후 변화 적응 준비 교육 프로그램 등이 있었지만 이제는 이런 것들이 북한의 우선 순위에서 밀려났다”고 소바쥬 전 소장은 지적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
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