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유엔 안보리 의장국을 맡은 미국이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내 상황을 최우선 의제로 삼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선 안보리 의장국 활동 기간 중에는 북한 문제도 주요 의제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조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유엔주재 미국대사는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이 두 번째로 안보리 순회 의장국을 맡았던 2022년 5월 중점을 뒀던 의제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문제를 꼽았습니다.
[녹취:토머스-그린필드 대사] "Perhaps the biggest item on our agenda was addressing Russia's unprovoked, unjustified war against Ukraine aggression that began when Russia itself was president of the council. We also introduced a resolution to hold the DPRK accountable for its continued unlawful ballistic missile launches…We once again addressed the situation in Ukraine, as well as the state of human rights around the world, including the DPRK.”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 2일 미국이 이달 안보리 순회 의장국으로서 중점을 둘 의제를 발표하는 기자회견에서 자신이 유엔 주재 대사로 취임한 이후 미국이 두 번째로 의장국을 맡았을 당시 “아마도 우리 의제 중 가장 큰 안건은 러시아가 안보리 의장국이었을 때 시작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에 대한 이유 없고 정당화되지 않은 전쟁을 다루는 것이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우리는 북한에 지속적인 불법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결의안을 발의했었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이 세 번째로 안보리 순회 의장국을 맡았던 지난해 8월에는 “우리는 다시 한 번 우크라이나의 상황과 북한을 포함한 전 세계 인권 상황을 다뤘다”고 덧붙였습니다.
실제로 미국은 지난 2022년 5월 26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에 대응한 회의에서 새 대북제재 결의안 채택을 제안했지만, 중국과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로 해당 결의안은 최종 무산됐었습니다.
안보리가 새 결의안을 채택하려면 15개 이사국 중 9개국의 찬성표 외에 중국과 러시아가 포함된 상임이사국 5개국의 만장일치 찬성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반대표를 던진 중국과 러시아는 여전히 제재를 통한 한반도 문제 해결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당시 장쥔 중국 대사는 “안보리의 행동은 상황을 악화시키고 통제 불능이 되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이 돼야 한다”며 안보리의 추가 대북 제재가 한반도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강조했습니다.
또 러시아의 바실리 네벤쟈 대사는 “우리는 새로운 대북제재 채택이 막다른 골목으로 가는 길이라고 자주 언급해 왔다”면서 북한에 대한 제재 압박은 비효율적이고, 비인도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미국은 또 한국, 일본 등과 함께 지난해 8월 북한 인권 문제를 논의할 것을 요청했고, 이에 따라 2017년 이후 약 6년 만에 안보리에서 북한 인권 문제가 공개적으로 논의됐습니다.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 인권 문제를 안보리에서 논의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또 북한은 미국 등이 북한의 인권 상황을 비판하는 것에 대해 "인권 문제를 내정간섭과 체제전복을 위한 정치적 도구로 이용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한편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 이날 회견에서 미국이 순회 의장국을 맡은 이달 안보리에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아이티의 안보 위기, 수단의 인도주의적 문제 등 여러 종류의 현안이 다뤄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상황이 최우선적으로 논의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VOA 뉴스 이조은입니다.
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