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유엔의 대북 인도적 지원 활동을 위한 모금액이 전체 목표 금액의 27% 수준에 그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북한이 3중고로 경제난과 식량난을 겪으면서 주민들의 피해가 지속돼고 있지만, 북한 당국의 문제 등으로 지원에 대한 국제사회의 피로감이 반영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안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김선명 / 영상편집: 안소영)
유엔 인도주의 업무조정국 OCHA가 30일 공개한 대북 지원 현황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1월부터 9월까지 유엔의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을 위한 모금액은 2천 860만 달러로 올해 목표치 1억 7백만 달러의 절반도 되지 않는 26.8%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지원 규모로는 스위스가 520만 달러로 가장 많았고, 5백만 달러를 지원한 유엔긴급구호기금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또 한국이 4백만 달러를 지원했으며 러시아와 스웨덴이 각각 300만 달러와 250만 달러, 이어 노르웨이와 캐나다, 독일 등이 지원 국가 명단에 올랐습니다.
9월까지 모금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 17%보다는 조금 높지만, 여전히 연간 목표에는 크게 못 미치는 저조한 수준입니다.
대북 지원단체들은 북한 지원을 위한 모금이 저조한 원인으로 대북 지원에 대한 국제사회의 피로감이 반영됐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북한 당국의 비협조로 인한 이동제한과 제재에 따른 북한 내 송금 어려움 등의 이유로 국제사회는 오래전부터 북한을 인도적 지원 수혜국으로 선호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대니엘 워츠 / 전미북한위원회 국장
“북한의 인도적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공여국들 사이에 북한에 대한 지원 피로감이 있습니다. 대규모 대북 지원이 있어도 현장에서 활동하는 유엔 직원들의 상황이 아주 어렵습니다.”
대니엘 재스퍼 미국친우봉사회 워싱턴 사무소장은 올해 대북 지원 상황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와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또 매년 연간 목표의 절반도 못 미치는 모금 상황은 복합적이며 때로는 정치적 상황에 따라 변했었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미북 남북 정상회담이 이어진 지난 2018년 4월과 6월 사이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의 모금액은 두 달 만에 1.5배 증가한 바 있습니다.
국제사회의 활발한 대북 지원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북한의 책임 있는 역할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북한이 인권유린 행위를 지속적으로 벌이는 상황에서는 국제사회의 지원도 어렵다는 것입니다.
프랭클린 그레이엄 / 사마리탄 퍼스 대표 (지난 5월)
“북한 당국의 미국인 관광객을 억류하거나 미국인 선교사를 감옥에 가두는 행동 등은 국제사회의 대북 지원을 상당히 어렵게 만들고 지원 단체들 마저 곤란한 처지에 놓이게 합니다.”
이런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응을 위한 대북 지원 모금도 저조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유엔이 별도로 모금하고 있는 코로나 대응 북한 지원 모금액도 목표치인 약 4천만 달러의 9% 약 350만 달러밖에 확보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국제사회의 관심이 크지 않은 것으로 해석됐습니다.
VOA 뉴스 안소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