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국가들이 지난해 4분기부터 코로나로 침체된 세계 무역의 회복을 주도하고 있지만, 북한의 지난 4분기 교역은 훨씬 더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중국과 교역하는 유엔 회원국 중 국경을 전면 봉쇄하고 대중 교역액이 전년보다 80% 이상 감소한 국가는 북한이 유일했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는 10일 갱신한 세계 무역자료에서 동아시아의 제조업이 침체된 세계 무역의 회복을 주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전 세계 무역 규모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여파로 전년보다 9%, 특히 상반기는 15% 감소했지만, 4분기 들어 동아시아 무역의 약진으로 상품 무역이 8% 반등했다는 겁니다.
동아시아의 지난해 4분기 상품 무역은 수출 12%, 수입 5% 증가하면서 완연한 회복세로 돌아섰습니다.
특히 중국은 상품 수출과 수입이 각각 17%, 5% 증가했고, 한국과 일본도 수출이 각각 4%와 3% 증가했습니다.
중 무역량 전년 대비 80.7%가 감소
유엔 보고서에 북한은 빠졌지만, VOA가 중국의 해관총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북중 무역량은 전년 대비 80.7%가 감소했고, 특히 4분기는 훨씬 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한의 지난해 대중 무역 총액은 5억 3천 905만 달러, 이 가운데 수출액은 4천 800만 달러로 전년보다 77.7%가 줄었고, 수입도 4억 9천만 달러에 그쳐 전년 대비 80.9% 감소했습니다.
특히 4분기 교역량은 지난 10월 165만 9천 달러, 11월 127만 3천 달러, 12월 499만 달러로 총 792만 7천 달러에 그쳤습니다.
북중 4분기 교역액, 1~3분기 대비 15~28배 감소
이는 지난해 1분기 교역량 2억 2천 655만 달러, 2분기 1억 8천 412만 달러, 3분기 1억 2천만 달러와 비교해 최소 15배~28배가 감소한 겁니다.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과 교역한 유엔 회원국들 가운데 무역 총액이 전년 대비 80% 이상 감소한 국가는 북한이 유일했습니다.
이에 대해 윌리엄 브라운 조지타운대 교수는 앞서 VOA에, 대부분의 나라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여파로 국경 통제를 강화했지만, 하늘과 땅, 바다를 모두 봉쇄한 채 교역까지 제한한 국가는 북한이 세계에서 거의 유일하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지적은 중국과 국경을 접한 북한 등 14개국의 지난해 대중 무역 통계를 통해서 쉽게 비교할 수 있습니다.
중국 접경 14개국 중 북한 최악
14개 나라 중 지난해 전년 대비 무역액이 북한 다음으로 감소한 국가는 키르기스스탄 -54.3%, 타지키스탄 -36.5%, 네팔 -21.9%, 몽골 -18.8% 순이었습니다. 이어 아프가니스탄 -11.7%, 라오스 -9.2%, 인도 -5.6%, 러시아 -2.9%, 파키스탄 -2.7%, 카자흐스탄 -2.5%, 인도네시아 -1.7%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부탄 24.7%, 베트남 18.7%, 미얀마 1% 등 무역액이 전년보다 더 증가한 국가도 세 나라에 달했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 KDI는 지난해 ‘북한경제리뷰’에서 2017년 기준 북한의 대중 무역 의존도는 94.8%로 압도적인 1위라고 밝혔었습니다.
이는 대중 무역 세계 평균 11.6%, 아시아 국가 18.6%, 중국 접경국가 19.2%, 특히 북한 다음으로 대중 무역 의존도가 높은 몽골 63%, 미얀마 34.8%, 라오스 27%와 비교하기 힘들 정도로 높은 수준입니다.
따라서 대중 무역 의존도가 95%에 달하는 북한의 지난해 교역액이 80% 이상 감소했다는 것은 북한 경제에 상당한 타격이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진단하고 있습니다.
북한 경제 정책 문제 드러나
시드니 사일러 미 국가정보위원회 북한담당관은 최근 워싱턴의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주최한 화상토론회에서 이런 경제 상황에 우려를 나타내며 북한 정권의 경제 정책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녹취: 사일러 담당관] “it is the leadership whose policy decisions, lead to these food problems… this portrayal of a hostile external environment justifying the pursuit of national defense capabilities that come at great expense to the North Korean economy and ultimately the North Korean people… it's very sad and my heart goes out to the North Korean people who suffer under these conditions.”
사일러 담당관은 북한 수뇌부의 정책 결정이 식량난 등 경제 문제를 야기하고, 적대적 외부 환경 묘사로 북한 경제, 궁극적으로 북한 주민들에게 막대한 비용을 치르게 하는 군사력 추구를 정당화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런 상황에 대해 “매우 슬프다”며 “이런 (열악한) 환경으로 고통받는 북한 주민들에게 깊은 연민을 느낀다”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김영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