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이 전 세계 취약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응에 필요한 지원금을 모금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한의 경우 필요 예산의 3%를 확보하는데 그쳤습니다. 박형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던 지난 3월 말.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북한 등 54개 ‘코로나 취약국’ 지원을 위한 행동에 나설 때라며, 20억 달러 규모의 ‘국제 인도적 대응 계획’을 발표하고 국제사회의 동참을 호소했습니다.
[녹취: 구테흐스 사무총장/ 3월 25일] “Today, we are launching a 2 billion US dollars global humanitarian response plan to fund the fight against COVID 19 in the world's poorest countries.”
이어 유엔은 이달 초 발표한 개정안을 통해, 지원 대상국을 63개국으로 확대하고 지원 예산도 67억 1천만 달러로 크게 늘렸습니다.
지난 20일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이 해당 계획의 진행 상황을 소개한 최신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전반적으로 지원금 확보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유엔은 현재 코로나 대응을 위해 필요한 총예산 67억 1천만 달러의 15%에 해당하는 10억 1천만 달러를 모았습니다.
이번 보고서에는 42개 취약국의 지원금 확보 상황도 소개됐는데, 대북 지원금은 필요 예산의 3%에 불과한 130만 달러를 확보하는데 그쳤습니다.
앞서 유엔은 북한의 신종 코로나 대응을 돕기 위해 보건 분야에 1천 970만 달러, 기타 2천만 달러 등 모두 3천 970만 달러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전체 평균(15%) 이상의 지원금을 확보한 나라는 아프가니스탄(41%), 이란(25%), 미얀마(23%), 수단(22%)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반적으로 지원금 확보가 저조한 가운데 특히 북한의 모금액 비중은 각각 1%를 확보한 베네수엘라, 모잠비크, 짐바브웨, 또 2%를 확보한 예멘, 카메룬 등과 함께 최하위 수준입니다.
유엔은 지난 3월 북한을 코로나 우선 지원 대상국으로 분류하며 북한의 신종 코로나 검사 범위와 능력이 확실치 않은 상황이지만, 점증하는 코로나 검사가 이미 과부하가 걸린 북한 의료 체계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북한이 지난 1월 말 국경 봉쇄 이후 국제사회의 지원이나 물자를 받지 못하면서 수술과 모성 보호, 결핵과 다른 질병 등 국제적 지원 프로그램들이 물품 부족과 재고 소진의 위험에 직면해 있다고 경고한 바 있습니다.
북한 당국은 아직도 코로나 확진자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지만, 국제사회는 북한의 이런 주장에 의구심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VOA 뉴스 박형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