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요 언론들은 북한의 최근 홍수가 제재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여파로 경제가 악화된 상황에 발생한 점에 주목했습니다. 북한이 외부 지원을 거부한 것이 한국 정부의 남북 협력 구상에 부정적 신호라는 분석도 제기했습니다. 박형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 ‘AP’통신은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코로나바이러스 노출 우려를 이유로 개성시에 내렸던 봉쇄 조치를 3주만인 14일 해제하면서, 국경 봉쇄 조치는 유지하고 홍수 피해에 대한 외부 지원을 거부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통신은 한국은 관련 분야의 대북 지원을 통해 북한과의 관여를 재개하기를 바랐지만, 외부 지원에 대한 김 위원장의 공개적인 거부와 개성시에 대한 봉쇄 해제 결정은 ‘남북 협력의 부정적인 신호’라는 전문가의 분석을 소개했습니다.
한국 이화여대 레이프-에릭 이즐리 교수는 이 매체에 “북한 경제는 자력갱생을 내세우면서도 중국에 더욱 의존하게 될 것이며, 제재 돌파 노력과 코로나 예방 사이에 균형을 잡기 위해 고군분투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또 최근 임명된 신임 내각총리의 임무는 10월 노동당 창건 기념일까지 “북한이 홍수에서 회복하고 있고 공중보건 시설이 개선됐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이즐리 교수는 설명했습니다.
`뉴욕타임스’ 신문은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과 홍수라는 이중 재난이 김정은 정권의 경제적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특히 김정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과의 외교관계 교착으로 제재 해제를 얻어 내는데 실패한 상황에서 ‘글로벌 팬데믹’과 함께 홍수 피해를 맞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신문은 또 김 위원장이 외부 지원을 배제함으로써 미국과 한국이 인도주의 지원을 통해 북한과의 관계를 회복할 기회를 거부한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코로나 전파 차단을 명분으로 내세우기 있지만 대내외적으로 자신들의 취약함을 드러내길 바라지 않는 “김정은 정권에 의해 인도주의 지원이 매우 정치화됐다”는 전문가의 비판을 소개했습니다 .
또 홍수와 ‘코로나 공포’가 노동당 창건 75주년을 화려하게 치르려는 김정은 위원장의 계획을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워싱턴 포스트’ 신문은 북한에서 홍수로 적어도 22명이 사망했다는 국제적십자사연맹(IFRC)의 발표와 영변 핵시설에 인접한 구룡강이 최근 폭우로 범람하면서 시설 기능 일부가 손상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북한 전문매체 `38노스’의 보도, 또 홍수 관련 외부 지원을 거부한다는 김정은 위원장의 발표 등을 자세히 보도했습니다.
이 신문은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스팀슨센터 벤자민 실버스타인 객원연구원을 인용해, 북한은 해마다 홍수 대처에 익숙하지만 최근 재난이 어려운 시기에 닥쳤고,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북한 당국의 ‘편집증’이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실버스타인 연구원은 “북한이 상당한 경제적 압박에 놓여 있으며, 이번 홍수가 북한의 식량안보에 대해 이미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발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김 위원장이 외부의 홍수 지원을 거부한 것은 매우 걱정되는 일이라면서, 김 위원장의 결정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북한의 검사와 감시 역량이 얼마나 취약한지 고려할 때만 납득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폭스 뉴스’도 북한 관영매체가 전한 수해 피해 상황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차단을 이유로 외부 지원을 거부한다는 김정은 위원장의 발표를 자세히 소개했습니다.
그러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차단을 위해 경제적 생명선인 중국과의 국경을 차단하면서 김정은 위원장의 장기적 목표인 경제적 ‘자력갱생’ 확립이 좌절되고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또 북한이 겪고 있는 두 갈래 문제, 즉 코로나와 홍수 대응이 재정적 지원을 통해 북한과의 대화 재개를 바라는 한국 정부에도 중요한 쟁점을 시사한다고 분석했습니다.
VOA 뉴스 박형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