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미 전문가들, 북 사과 표명 “남북관계 추가 악화 막겠단 의지”...대화 재개 “회의적”


25일 한국 서울역에 설치된 TV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한국 공무원이 북한군 총격에 살해된 사건에 대해 한국 측에 공식 사과한 소식이 나오고 있다.
25일 한국 서울역에 설치된 TV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한국 공무원이 북한군 총격에 살해된 사건에 대해 한국 측에 공식 사과한 소식이 나오고 있다.

미국의 전문가들은 북한이 한국인 사살 사건에 사과한 데 대해, 남북관계를 추가로 악화시키지 않겠다는 의지로 분석했습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북한도 남북연락사무소의 필요성에 공감했을 것이라면서도, 한반도 문제에 중대한 진전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에는 회의적이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미국의 전문가들은 북한의 이번 ‘사과 표명’이 전반적인 상황 악화를 막으려는 시도라는 데 이견이 없었습니다.

켄 고스 미 해군분석센터 국제관계국장은 25일 VOA와의 전화통화에서 북한이 남북관계를 현 상태에서 유지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녹취: 고스 국장] “I think Kim now finds himself in a situation where his preferred leader in South Korea, President Moon…”

고스 국장은 이번 한국 공무원 사살이 중앙정부 차원이 아닌 지역 부대 차원에서 내려진 결정으로 보인다며, 모호한 행동수칙에 대한 해석 문제가 주 원인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이번 사건으로 자신이 선호하는 한국의 지도자인 문재인 대통령이 국내적으로 많은 압박을 받는다는 점을 알게 됐고, 이 때문에 그와의 관계를 계속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고스 국장은 따라서 북한은 이번 사건이 더욱 확대되지 않게 하기 위해 다소 극적인 행동을 취해야 한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런 관점에서 김 위원장의 사과가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북한 해역에서 사살된 후 불태워진 한국 공무원이 탑승했던 어업지도선 무궁화 10호.
북한 해역에서 사살된 후 불태워진 한국 공무원이 탑승했던 어업지도선 무궁화 10호.

해리 카지아니스 미국 국익연구소 한국담당국장도 이번 사과가 나온 배경에 주목했습니다.

[녹취: 카지아니스 국장] “We have to remember, North Korea is going through massive internal crisis…”

북한은 태풍 피해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인한 주민들의 굶주림 등 내부적으로 대형 악재에 직면한 상황이라는 겁니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은 남북관계의 위기라는 또 하나의 문제를 추가하길 원치 않았고, 이에 따라 사과가 나왔다고, 카지아니스 국장은 지적했습니다.

따라서 카지아니스 국장은 이번 북한의 사과는 ‘전략’과 ‘계산적’ 측면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전직 미 당국자들은 북한이 사과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적’ 측면을 강조했습니다.

크리스토퍼 힐 전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는 북한이 전 세계적 비난을 피하려 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녹취: 힐 전 차관보] “I suspect that the North Koreans didn't want to engender a kind of worldwide backlash on this…”

북한은 이번 사건으로 인한 자신들에 대한 일종의 세계적 역풍을 원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한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한국인을 사살한 뒤 코로나바이러스 방역을 이유로 추가 조치를 취한 데 대한 국제사회의 비난을 우려했고, 이 것이 사과의 근원이 됐다고, 힐 전 차관보는 지적했습니다.

조셉 디트라니 전 6자회담 차석대표는 과거 북한이 한국 정부에 사과나 유감 표명을 했던 사례를 언급하면서, 북한의 이번 사과는 옳은 일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녹취: 디트라니 전 차석대표] “So why now? Well, one because the South Korean citizen was killed and, and it's been reported by the media, it was a very brutal act of disposing the body, the way they did apparently…”

그러면서, 왜 지금이냐는 질문을 해 볼 수 있지만 한국인이 사살됐고, 이것이 언론에 보도됐으며, 또 시신을 처리하는 방식이 매우 잔인한 점이 분명한 만큼 북한은 해야 할 사과를 했을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브루스 클링너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은 북한이 과거 유감 표명을 하면서도 여전히 한국을 비난하는 행태를 보였다며, 그런 관점에서 이번 사과는 이례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이번 사건의 경우 명백히 공개적으로 드러났고, 그런 점에서 아무런 일이 없었던 것처럼 감추는 건 북한 입장에서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클링너 연구원은 지적했습니다.

[녹취: 클링너 연구원] “When all the facts are clearly outlined in public it's harder for North Korea to claim the event hasn't happened…”

전문가들은 이번 북한의 사과가 한반도 상황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지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디트라니 전 차석대사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북한이 남북대화의 필요성을 인식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디트라니 전 차석대사] “There has to be some sort of communications between the North and South after the killing of this South Korean…”

비록 북한이 개성연락사무소를 폭파했지만, 이번 사건은 연락망이 계속 가동돼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는 겁니다.

디트라니 전 차석대사는 이번 비극적 사건이 앞으로 몇 달 안에 남과 북, 그리고 미국과 북한이 대화를 재개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반면, 고스 국장은 이번 김 위원장의 사과가 남북관계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해석에는 무리가 따른다고 지적했습니다.

[녹취: 고스 국장] “I don't think that North Korea is willing to engage with South Korea, until they know what the United States is going to do…”

미국으로부터 원하는 것을 얻을 때까지 북한은 한국과의 관여를 할 의지가 없어 보인다는 겁니다.

고스 국장은 북한은 한국이 미국과 자신들 사이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이 많지 않다는 걸 알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북한이 한국과 대화를 하려 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클링너 연구원은 남북한 정상이 최근 친서를 교환하는 등 북한이 대화 재개의 의지를 일부 보인 건 사실이지만, 올해 북한이 여러 차례 엇갈린 신호를 보내왔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북한 내 다른 기관과 인물 등이 한국의 대화 제안을 거절해 왔고, 심지어 강경한 것은 물론 문 대통령을 모욕하는 일까지 서슴지 않았다는 겁니다.

따라서 최근 남북 정상의 친서 교환이 긍정적인 신호일 수 있지만 과도하게 해석해선 안 된다고, 클링너 연구원은 덧붙였습니다.

카지아니스 국장은 다음달 10일 노동당 창건 75주년 기념식과 미국 대선까진 모든 게 멈춘 상태라며, 이 모든 게 지나가야 한반도에 어떤 상황이 펼쳐질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은 북한의 사과나, 남북한 정상의 친서 교환 등이 미-북 대화 재개에 별다른 돌파구를 만들 것으로 보진 않았습니다.

고스 국장은 미-북간 대화 재개는 미국이 얼마나 유연성을 보이는지에 달린 문제라며, 대선을 약 40일 앞둔 상황에서 미국이 대북 제재 완화를 의제로 제시하거나, 북한에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지 않는 식의 입장 변화를 보일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고스 국장] “But given the fact that we're going into, you know the last 40 days of the election…”

힐 전 차관보는 북한의 비핵화 의지에 강한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녹취: 힐 전 차관보] “I think North Korea feels a progress because they broke it out of a diplomatic isolation…”

북한은 외교적 고립에서 벗어났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진전을 이뤘다고 느끼고 있으며, 앞으로도 서방세계가 자신들을 핵 보유국으로 인정할 때까지 시간이 흐르길 바라고 있을 것이라는 겁니다.

힐 전 차관보는 북한이 미국과 대화 재개 의지를 보인다고 해도 놀랄 일은 아니라며, 문제는 현 시점에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할 의지가 없다는 점이라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