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영변 핵 시설, 특수 궤도차 등 일부 움직임 관측"


지난해 10월 영변 핵 시설을 촬영한 위성사진. 강변에서의 굴착작업과 일부 차량들의 움직임이 확인된다. 사진제공: CNES / Airbus (Google Earth).
지난해 10월 영변 핵 시설을 촬영한 위성사진. 강변에서의 굴착작업과 일부 차량들의 움직임이 확인된다. 사진제공: CNES / Airbus (Google Earth).

북한 영변의 핵 시설에서 특수 궤도차가 사라지고 차량들이 이동하는 등 일부 움직임이 관측됐습니다. 시설이 계속 가동 중이라는 의혹이 일고 있지만, 위성사진만으로 상황을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전문매체인 ‘38 노스’는 최근 촬영된 위성사진을 통해 영변 핵 시설에서 움직임이 포착됐다고 전했습니다.

공개된 위성사진은 지난달 19일과 26일 촬영된 것으로, 가장 주목되는 변화는 19일까지 선로에 있던 특수 궤도차가 26일 사진에선 사라진 점입니다.

특수 궤도차가 사라진 곳은 영변 내 방사화학실험실에서 약 0.5km 떨어진 지점으로, 주변에는 작은 건물 2채와 증기 파이프로 연결된 여러 개의 수직형 탱크가 있었습니다.

38 노스는 이들 궤도차의 용도가 분명하지 않다면서도, 핵 연료나 폐기물 처리 등에 사용되는 물질을 운반하고 있을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다만, 이들 궤도차들이 영변에서 화물을 적재했는지, 혹은 이미 출발지에서 화물을 싣고 왔는지는 불분명하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이들이 방사성 물질을 운반한다는 증거는 없는 상태라고 덧붙였습니다.

38노스에 따르면 궤도차들은 2002년부터 주기적으로 포착돼 왔습니다.

영변 핵 시설 내 다른 곳에서도 일부 활동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위성사진에는 눈이 쌓인 우라늄 농축공장 지붕 일부분이 녹아 있는 모습도 촬영됐는데, 38노스는 이들 건물 내에서 활동이 있음을 암시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지붕의 눈이 녹지 않은 건물이라 하더라도 지속적인 활동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연료 부족 등으로 건물의 내부 온도가 낮을 수 있고, 열을 생성하는 기계들이 눈을 녹일 만큼의 열을 내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는 설명입니다.

그밖에 5메가와트(mw) 원자로 주변을 비롯해 영변 핵 시설 곳곳에서 몇몇 트럭이 포착되는 등 이 시설이 여전히 가동 중인 흔적들이 위성사진에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38노스는 영변에서 최소한 낮은 수준의 활동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영변 핵 시설에서 활동이 감지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지난해 발표한 보고서에서 2018년 영변 핵 연료봉 제조공장에서 냉각장치 가동과 차량 이동 등 원심분리 농축 시설이 사용된 징후가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주요 원자로 부품이 원자로 건물로 이전된 징후들과, 구룡강 인근에서 추가적인 건설 활동이 관측됐다고, IAEA는 지적한 바 있습니다.

38 노스 이외에 다른 여러 매체들도 영변 핵 시설에서 차량과 트레일러들의 움직임을 포착해 여러 차례 전했었습니다.

영변 핵 시설의 움직임과 관련한 정황은 민간위성을 통해서도 볼 수 있습니다.

VOA가 위성사진 서비스인 ‘구글 어스’를 확인한 결과, 지난해 10월 핵 시설 인근 강변에서 대규모 굴착작업이 벌어지고, 특수 궤도차들이 한 지점에 모여 있는 장면도 볼 수 있었습니다.

위성사진 분석가인 닉 한센 스탠포드대학 안보협력센터 객원연구원은 영변 핵 시설이 계속 가동 중인 상황에서, 이 같은 움직임들만으로는 농축우라늄 생산 등 정확한 배경을 파악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한센 연구원] “I mean just to say that there is...”

영변 핵 시설 내 특수 궤도차의 움직임을 관측하는 건 필요한 일이지만, 더 중요한 건 이들이 어디에서 오는지와, 실린 물질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라는 지적입니다.

한센 연구원은 영변 핵 시설에 필요한 물질을 옮길 때 선로를 이용하는 만큼, 정확한 상황을 알기 위해 궤도차의 이동을 따라가는 등의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