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 'DMZ 평화공원, 기본계획 마련'

한국 박근혜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북한에 비무장지대(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을 정식 제의한 가운데, 16일 경기도 파주시 임진각에서 평화공원 후보지 가운데 한 곳인 장단반도 일대가 보이고 있다.

한국 정부는 박근혜 대통령이 제안한 비무장지대 세계평화공원 조성 방안에 대한 기본계획을 마련했다고 밝혔습니다. 세부적인 보완을 거쳐 적절한 시점에 북한에 협의를 제안할 방침입니다. 서울에서 김환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16일 정례 기자설명회에서 비무장지대, 즉 DMZ 평화공원 구상에 대한 정부 차원의 기본계획은 이미 어느 정도 만들어진 상태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 “지난 5월8일 대통령께서 방미 중에 구상을 처음 제안하신 이후에 통일부에 전담기획단을 구성해서 범정부적으로 DMZ 세계평화공원 구상의 구체화 작업을 진행해왔고 현재 개략적인 마스터 플랜을 수립했으며 이를 보완 중에 있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또 공원 입지 등에 대해 관계 부처와 전문가들과 함께 평화의 상징성과 환경 영향성 그리고 접근성 등을 기준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비무장지대는 관리 권한이 남북한과 유엔군사령부에 있기 때문에 공원 조성을 추진하는 데 유엔사와도 협의를 거쳐야 합니다.

군사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남북으로 각각 2㎞씩 설정된 비무장지대에는 현재 한국 측 소초가 80~90개, 그리고 북한측 소초는 150~160개가 설치돼 있습니다. 특히 북한은 이 곳에 방사포와 장사정포를 밀집 배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통일부 당국자는 유엔사도 한국 정부와 큰 틀에서 인식을 같이 하고 있다며 한반도의 대결과 긴장 구조를 평화와 통일의 방향으로 바꾸자는 데 국제사회가 반대할 이유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지난 2007년 노무현 당시 한국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 자리에서 비무장지대에 있는 군사시설을 철수하고 평화적으로 이용하자고 제안했지만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은 아직 때가 아니라며 거부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박 대통령이 지난 5월 미국 의회에서 평화공원 구상을 밝혔을 때도 북한은 민족에 대한 참을 수 없는 모독이라며 냉담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그러나 개성공단 정상화 합의가 이뤄진 뒤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며 북한이 어떻게 나올 지는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따라 조성 계획에 대한 보완을 거쳐 가장 실현 가능성이 큰 방안을 갖고 적절한 시점에 북한측에 협의를 제안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김양건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이 개성공단이 잘되면 비무장지대 평화공원도 잘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한 점을 들어, 북한이 협상에 응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김환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