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가 확인되지 않은 무인항공기 한 대가 어제 (31일) 서해 백령도에서 추락해 한국 군 당국이 정밀감식에 들어갔습니다. 북한의 무인항공기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한상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군 당국이 지난 달 31일 오후 4시쯤 백령도에 추락한 무인항공기 1대를 수거해 정밀감식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무인항공기는 지난 달 24일 경기도 파주시 봉일천의 한 야산에서 발견된 것과 유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국 군과 정보당국은 북한의 무인정찰기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정밀감식을 벌이고 있습니다.
지난 달 파주 야산에서 소형카메라를 장착한 무인항공기가 추락했을 때만 해도 관계당국은 민간인이 취미용 무인기를 띄웠을 가능성에 무게를 뒀습니다.
군용으로 보기에는 카메라에 찍힌 사진의 화질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무인항공기의 모형이 군용 스텔스기 형태를 본떴고 하늘색에 흰색 구름무늬를 덧씌워 위장하려 했다는 점, 그리고 촬영된 사진에 청와대 등이 포함됐다는 점에서 대공 용의점을 배제하지 않았습니다.
엔진을 동력으로 사용한 점도 배터리를 연료로 쓰는 동호인용 무인기와는 차이가 있었습니다.
특히 북한 군의 포탄이 NLL 이남 해상에 떨어진 직후 백령도에 비슷한 형식의 무인기가 추락했다는 점 때문에 대공 용의점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북한 군의 NLL 이남 사격과 한국 군의 대응사격은 모두 백령도 동북방 해상에서 이뤄졌습니다.
따라서 북측이 해상사격을 하면서 한국 군의 동향을 감시하기 위해 무인정찰기를 띄웠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양욱 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입니다.
[녹취: 양욱 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 “가능성이 충분히 있죠. 왜냐하면 해상사격 하면 요즘은 그냥 안 해요. 제대로 떨어졌는지 안 떨어졌는지 누군가 봐야 할 거 아니에요. 그러면 무인기 띄워서 봐야죠. 제가 사진을 보니까 색깔이 북한 애들이 무인기 칠해 놓는 색으로 칠해 놨더라고요.”
북한은 지난 2010년 8월9일 서해 NLL에 해안포 110여 발을 발사한 뒤 저녁 무렵 무인항공기를 띄워 백령도와 연평도 인근을 정찰했습니다.
특히 군사시설이 밀집한 백령도에서 무인항공기를 띄우려면 한국 군 당국의 승인이 필요하지만 추락한 무인항공기는 승인을 받지 않았습니다.
한국 정부 소식통은 어느 나라에서 제작됐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북한 것일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중국의 무인비행기 ‘D-4’를 도입해 자체 개조한 무인항공기 ‘방현’을 최전방 부대에 배치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무인항공기 ‘방현’의 길이는 3.23m, 최대 시속 162km, 작전반경이 4km입니다.
유사시 20~25kg의 폭약도 장착할 수 있으며 휘발유 엔진으로 낙하산을 펼쳐 지상에 착륙하도록 개발됐습니다.
한국 군 관계자는 북한의 무인기는 레이더로 포착하기 어렵지만 육안으로 식별되면 발칸포 등의 대공화기로 격추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한상미입니다.
한국 군 당국이 지난 달 31일 오후 4시쯤 백령도에 추락한 무인항공기 1대를 수거해 정밀감식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무인항공기는 지난 달 24일 경기도 파주시 봉일천의 한 야산에서 발견된 것과 유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국 군과 정보당국은 북한의 무인정찰기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정밀감식을 벌이고 있습니다.
지난 달 파주 야산에서 소형카메라를 장착한 무인항공기가 추락했을 때만 해도 관계당국은 민간인이 취미용 무인기를 띄웠을 가능성에 무게를 뒀습니다.
군용으로 보기에는 카메라에 찍힌 사진의 화질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무인항공기의 모형이 군용 스텔스기 형태를 본떴고 하늘색에 흰색 구름무늬를 덧씌워 위장하려 했다는 점, 그리고 촬영된 사진에 청와대 등이 포함됐다는 점에서 대공 용의점을 배제하지 않았습니다.
엔진을 동력으로 사용한 점도 배터리를 연료로 쓰는 동호인용 무인기와는 차이가 있었습니다.
특히 북한 군의 포탄이 NLL 이남 해상에 떨어진 직후 백령도에 비슷한 형식의 무인기가 추락했다는 점 때문에 대공 용의점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북한 군의 NLL 이남 사격과 한국 군의 대응사격은 모두 백령도 동북방 해상에서 이뤄졌습니다.
따라서 북측이 해상사격을 하면서 한국 군의 동향을 감시하기 위해 무인정찰기를 띄웠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양욱 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입니다.
[녹취: 양욱 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 “가능성이 충분히 있죠. 왜냐하면 해상사격 하면 요즘은 그냥 안 해요. 제대로 떨어졌는지 안 떨어졌는지 누군가 봐야 할 거 아니에요. 그러면 무인기 띄워서 봐야죠. 제가 사진을 보니까 색깔이 북한 애들이 무인기 칠해 놓는 색으로 칠해 놨더라고요.”
북한은 지난 2010년 8월9일 서해 NLL에 해안포 110여 발을 발사한 뒤 저녁 무렵 무인항공기를 띄워 백령도와 연평도 인근을 정찰했습니다.
특히 군사시설이 밀집한 백령도에서 무인항공기를 띄우려면 한국 군 당국의 승인이 필요하지만 추락한 무인항공기는 승인을 받지 않았습니다.
한국 정부 소식통은 어느 나라에서 제작됐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북한 것일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중국의 무인비행기 ‘D-4’를 도입해 자체 개조한 무인항공기 ‘방현’을 최전방 부대에 배치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무인항공기 ‘방현’의 길이는 3.23m, 최대 시속 162km, 작전반경이 4km입니다.
유사시 20~25kg의 폭약도 장착할 수 있으며 휘발유 엔진으로 낙하산을 펼쳐 지상에 착륙하도록 개발됐습니다.
한국 군 관계자는 북한의 무인기는 레이더로 포착하기 어렵지만 육안으로 식별되면 발칸포 등의 대공화기로 격추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한상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