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 11월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곡물이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크게 증가했습니다. 밀가루 수입은 올 들어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김현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지난 11월 중국으로부터 총 1만8천714t의 곡물을 수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의 북한농업 전문가인 권태진 GS&J 인스티튜트 북한 동북아연구원장이 중국 해관총서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는 전년도 같은 기간 3천385t의 곡물을 수입했던 것에 비해 5.5배 증가한 규모입니다.
특히 전달인 10월 1만3천267t의 곡물을 수입했던 것에 비해서도 41% 증가한 규모입니다.
곡물 별로는 밀가루가 전체 곡물수입량의 94%인 1만7천505t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쌀 672t, 전분 437t, 옥수수 100t 순이었습니다.
특히 11월 밀가루 수입량은 올 들어 최대 규모로, 전년도 같은 기간 712t을 수입했던 것에 비해서도 25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북한이 지난해 초부터 11월까지 수입한 총 곡물량은 15만2천586t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 4만8천805t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11월까지 누적 곡물 수입액은 5천8백만 달러로 전년도 같은 기간의 2배 이상입니다.
곡물 별로는 밀가루가 6만1천190t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옥수수 5만218t, 쌀 3만4천393t, 전분 6천700여t 순이었습니다.
이는 쌀이 4만2천여t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밀가루 7천여t, 옥수수 3천여 t을 수입했던 2016년과는 대조적입니다.
권태진 원장은 이같은 변화는 긍정적으로 볼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권태진 원장] “쌀을 구입해서 섭취할 만한 충분한 소득이 되지 않는다. 특히 유엔 대북 제재가 강화되면서 시장을 중심으로 경제활동을 하던 주민들의 소득이 준 것으로 보입니다. 쌀을 소비하고 싶지만 쌀을 구입할 여력이 안되기 때문에 값싼 옥수수나 밀가루를 구매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밀가루 수입이 급증한 것은 가공식품의 수요가 증가했을 수도 있다고 권 원장은 설명했습니다.
권 원장은 북한이 지난해 중국으로부터 지속적으로 곡물을 수입한 것운 무엇보다 이모작 작황과 가을 작황이 부진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강화되고 군사적 위협도 커지면서 곡물 비축 수요가 자연히 증가했고, 중국의 국경 감시 강화 등도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유엔 산하 식량농업기구 FAO는 지난달 발표한 ‘식량전망 보고서 (Food Outlook)’에서 북한이 올 가을 추수에서 140만t의 쌀을 생산한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지난 2016년 170만t을 생산한 것에 비해 18%가량 감소한 규모입니다.
FAO에 따르면 북한의 지난해 이모작 작물 수확량도 전년에 비해 30% 이상 감소했습니다.
권 원장은 올해 (2018년) 식량 수급 상황은 비관적인 수준은 아니지만 북한의 중국산 곡물 수입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권태진 원장] “이런 곡물 생산의 저조 상황은 2018년 식량 수급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당분간 중국으로부터의 곡물 수입을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북한은 지난 11월 총 426t의 비료를 수입했습니다. 북한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수입한 총 비료량은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10% 감소한 14만1천711t 이었습니다.
VOA 뉴스 김현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