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A 뉴스] “김정은 ‘억압·공포 정치’ 답습…‘북한인권결의안’ 채택”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10년을 맞아 국제 인권단체들이 북한의 인권 상황을 지적하는 성명을 잇달아 발표했습니다. 김정은 정권이 선대의 억압과 감시를 통한 잔혹한 공포 정치를 이어가면서 주민들의 자유와 인권을 박탈하고 있다는 비판이 이어졌습니다. 유엔총회에서는 17년 연속으로 북한인권결의안이 채택됐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훈)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10년을 맞아 국제 인권단체들이 북한의 인권 상황을 지적하는 성명을 잇달아 발표했습니다. 김정은 정권이 선대의 억압과 감시를 통한 잔혹한 공포 정치를 이어가면서 주민들의 자유와 인권을 박탈하고 있다는 비판이 이어졌습니다. 유엔총회에서는 17년 연속으로 북한인권결의안이 채택됐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훈)

국제 인권단체인 휴먼라이츠워치는 16일 홈페이지에 올린 기고문을 통해, 북한 김정일 사후 집권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난 10년간 이어진 잔혹한 통치를 비판했습니다.

이 단체는 2011년 12월 17일 김정일 사망 이후 그의 아들 김정은이 정권 세습을 통해 지난 10년 동안 주민에 대한 감시와 억압의 수위를 높이고 국내외 이동의 자유를 박탈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리나 윤 휴먼라이츠워치 북한전문 선임연구원은 기고문에서, 김정일이 유산으로 남긴 것은 1990년대 수백만 명의 죽음뿐이라며, 김정은 역시 잔혹성과 두려움, 억압을 이용한 공포 정치로 인권을 탄압하고 경제난과 굶주림을 부추겼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김정은이 모든 공식, 비공식 교역을 차단하고 정보와 사람들의 북한 입출국을 막기 위한 감시를 강화하면서 인위적으로 식량난과 인도주의 위기를 조장하고 있다면서 국제사회는 북한이 면밀한 감시 아래 인도적 지원을 수용하고 국제 원조 활동가들의 입국을 허용하며 반인도주의적 범죄 피해자들을 위해 정의를 바로 세우도록 북한을 설득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워싱턴의 민간 연구단체인 북한인권위원회 HRNK도 이날 성명을 통해 북한의 인권 상황을 규탄했습니다.

10년 전 권력 세습 당시 해외에서 교육을 받은 김정은이 북한 주민에게 희망을 가져다줄 것이라는 추측이 있었지만 김정일 사망 후에도 김정은은 선대의 각본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김정은 위원장이 시장과 탈북, 외부세계로부터의 정보를 철저히 막고 있으며 정권에 반하는 행동을 한 것으로 의심되는 가족과 관리 등 수백 명을 숙청하는 등 인권유린을 자행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린지 로이드 조지 W 부시센터 인권담당 국장도 16일 VOA에, 김정일 사망 이후 지난 10년간 북한 내 인권 상황이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에는 인권 상황과 관련해 어떤 실질적 진전이나 변화가 없었으며 김정은 체제 아래 북한 정권은 주민들보다 군과 지배 엘리트 계층의 필요를 계속 우선시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유엔총회에서 북한의 인권침해를 규탄하고 개선을 촉구하는 내용의 북한인권결의안이 17년 연속 채택됐습니다.

유엔총회는 16일 본회의를 열어 북한의 조직적이고 광범위한 인권침해를 규탄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백신 협력을 당부하는 결의안을 표결 없이 컨센서스, 합의 형식으로 채택했습니다.

압둘라 샤히드 / 유엔총회 의장

“우리는 먼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상황'이라는 제목의 결의안 1번 초안을 상정합니다. 제3 위원회는 투표 없이 결의안 1번 초안을 채택했습니다. 본회의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채택하는 것으로 결정해도 되겠습니까? 그렇게 결정됐습니다.”

이번 결의안은 북한에 의한 장기간의 조직적이고 광범위한 인권침해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하면서 유엔 안보리가 북한 인권 문제를 국제형사재판소에 제소하고 가장 책임 있는 자들을 겨냥한 추가 제재를 고려할 것을 촉구했으며, 또 북한에서 송환되지 않은 한국전쟁 국군포로와 그 후손들이 겪는 인권 침해를 새로 추가했습니다.

한국은 이번 컨센서스에는 동참했지만2019년 이후 3년 연속 북한인권결의안 공동제안국에서 빠졌으며, 북한은 이번 결의안에 언급된 인권 침해가 존재하지 않는다며 반발했습니다.

VOA뉴스 조상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