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오늘] 트럼프, 파나마에 운하 소유권 반환 요구…시리아 수장 “모든 무기, 국가가 통제할 것”

대형 화물선이 파나마 운하를 통과하기 위해 대기 중이다. (자료화면)

세계 여러 나라의 주요 소식을 전해 드리는 ‘지구촌 오늘’입니다. 지금 이 시각 어떤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지 김정우 기자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기자) 네. 안녕하십니까?

진행자) 오늘은 어떤 소식이 있습니까?

기자) 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파나마 운하 소유권을 돌려달라고 파나마 정부에 요구할 수 있다고 위협했습니다. 시리아 과도정부 수장이 모든 무기를 국가 통제 아래 둘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필리핀이 미군의 ‘타이폰(Typhon)’ 중거리 미사일체계 도입을 결정했습니다. 다음 달 퇴임을 앞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연방 사형수 37명에 대해 감형을 단행했는데요. 이 소식 이어서 전해드리겠습니다.

진행자) 지구촌 오늘 첫 소식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주말 파나마 운하 소유권을 언급해서 눈길을 끌었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은 22일 애리조나주에서 한 연설에서 파나마 정부가 파나마 운하 통행료를 내리지 않으면 운하 소유권을 미국에 반환하라고 요구할 수 있다고 위협했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22일) 보수 단체인 ‘터닝포인트 U.S.A.’가 주최한 행사에 나와 그렇게 말했습니다.

진행자) 트럼프 당선인이 운하 통행료를 문제 삼았군요?

기자) 네. 트럼프 당선인은 통행료가 너무 비싸다고 비난했습니다. 트럼프 당선인 말을 들어보죠.

[녹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Our Navy and commerce have been treated in a very unfair and injudicious way. The fees being charged by Panama are ridiculous, highly unfair, especially knowing the extraordinary generosity that has been bestowed to Panama.”

기자) 네. 파나마 운하를 이용하는 미국 해군과 해운 회사들 선박이 불공정하고 부당한 대우를 받아 왔다는 겁니다. 그는 파나마 정부가 물리는 통행료가 터무니 없고 매우 공정하지 않다면서, 파나마에 부여됐던 관대함을 생각하면 더 그렇다고 말했습니다.

진행자) 파나마에 부여됐던 관대함이란 게 뭡니까?

기자) 네. 운하 통제권을 미국이 파나마에 넘긴 것을 말합니다. 이 운하는 20세기 초에 만들었고, 1977년까지 운하 지역 통제권을 미국이 유지했습니다. 이후 두 나라가 함께 운하를 관리하다가 1999년에 통제권이 완전하게 파나마로 넘어갔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은 22일 연설에서 "이 관대한 나눔의 제스처가 가진 도덕적, 법적 원칙들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우리는 반드시 파나마 운하를 전면적으로 반환하라고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진행자) 파나마 운하가 미국뿐 아니라 세계 무역에서 아주 중요한 항로죠?

기자) 그렇습니다. 국제 해상 무역 가운데 약 2.5%가 이 운하를 지나갑니다. 또 미국이 화물선을 이용해 아시아에서 자동차와 상품을 수입하거나, 액화천연가스(LNG)를 포함한 원자재를 수출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파나마 운하에서는 매년 최대 1만4천 척의 배가 통과할 수 있습니다.

진행자) 트럼프 대통령 발언을 두고 파나마 정부에서 나온 반응이 있습니까?

기자) 네.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이 이날(22일) 영상 메시지를 통해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물리노 대통령이 무슨 말을 했는지 들어보죠.

[녹취: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
“Every square meter of the Panama Canal and its surroundings belongs to Panama and will continue to belong to Panama. The sovereignty and independence of our country are non-negotiable."

기자) 네. 운하와 주변 모든 곳이 파나마에 속해 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물리노 대통령은 강조했습니다. 또 그는 파나마의 주권과 독립이 협상할 수 없는 것이라고 못 박았습니다.

진행자) 앞서 트럼프 당선인이 첫 번째 임기 중에 영토 확장을 시사하는 말을 해서 논란이 됐죠?

기자) 그렇습니다. 그는 대통령 재임 기간 그린란드 매입에 관심을 보였습니다. 얼음으로 뒤덮인 그린란드가 덴마크 영토입니다. 덴마크 정부는 그린란드를 사겠다는 당시 트럼프 대통령 발언을 일축했습니다.

진행자) 트럼프 당선인이 이날(22일) 연설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언급했군요?

기자) 네. 트럼프 당선인은 “푸틴 대통령은 가능한 한 빨리 나를 만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그래서 그것을 기다려야 하지만, 끔찍한 전쟁을 끝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당선인은 선거 운동 과정에서 자신이 내년(2025년) 1월에 백악관으로 복귀하면 우크라이나 전쟁을 24시간 안에 끝낼 수 있다고 공언했습니다.

진행자) 우크라이나는 트럼프 당선인의 백악관 복귀에 바짝 긴장하고 있죠?

기자) 그렇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은 우크라이나 전쟁을 빨리 끝내야 한다고 강조해 왔습니다. 우크라이나는 트럼프 당선인이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을 줄이거나, 현재 상태에서 휴전할 것으로 강권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진행자) 최근에 트럼프 당선인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만났죠?

기자) 네. 이달 초 트럼프 당선인은 프랑스 파리에 있는 노트르담 대성당 재개관에 앞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함께 젤렌스키 대통령을 만났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 만남 뒤에 즉각 휴전을 촉구했습니다.

23일 시리아 다마스쿠스에서 아메드 알샤라 하야트타흐리르알샴(HTS) 수장이 기자회견 중 발언을 하고 있다.

진행자) 지구촌 오늘, 다음 소식입니다. 시리아 과도정부 수장이 정부가 무기를 통제할 것이라고 말했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시리아 과도정부를 이끄는 반군 하야트타흐리르알샴(HTS) 수장 아메드 알샤라가 22일 하칸 피단 튀르키예 외무부 장관을 만난 뒤 기자회견에서 쿠르드 반군이 가진 무기를 포함해 시리아에 있는 모든 무기를 국가가 통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알샤라 수장은 이 자리에서 시리아 내 반군 분파들이 무장을 해제하고 육군에 편입될 것임을 선언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알샤라는 이날(22일) 회담에서 군복이 아닌 정장과 넥타이를 매고 나와 눈길을 끌었습니다.

진행자) HTS가 바샤르 알아사다 대통령 체제를 무너뜨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죠?

기자) 네. HTS가 이끄는 반군 연합이 지난 8일 수도 다마스쿠스를 점령하고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을 무너뜨렸습니다. 특히 이 과정에서 튀르키예가 돕는 반군들이 HTS를 지원하는 데 있어 핵심 역할을 했습니다.

진행자) 피단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무슨 말을 했습니까?

기자) 네. 시리아에 부과된 제재를 가능한 한 빨리 풀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시리아가 다시 일어서고, 피난민들이 돌아올 수 있도록 국제사회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진행자) 알샤라가 피단 장관을 만나기 전에 레바논 유명 정치인도 만났군요?

기자) 네. 알샤라는 이날(22일) 다마스쿠스를 찾은 레바논 드루즈파 지도자 왈리드 줌블라트를 만났습니다. 드루즈파는 이슬람 소수 종파로 시리아와 요르단, 이스라엘, 레바논 등지에서 삽니다. 알샤라는 줌블라트를 만나 시리아가 더 이상 레바논에 대한 부정적인 간섭에 관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그는 시리아가 그간 레바논 내 공포와 불안의 원천이었음을 인정하고, 모든 세력으로부터 같은 거리를 유지할 것이라고 약속했습니다.

진행자) 과거 시리아가 레바논 정치에 깊숙하게 관여했죠?

기자) 그렇습니다. 시리아군이 지난 1976년에 레바논에 진입했습니다. 이후 라픽 하리리 전 레바논 총리가 암살되고 국제사회의 거센 압박과 대규모 시위에 직면하자 2005년에 철군했습니다. 하리리 전 총리 암살에는 시리아 정부와 레바논에 근거한 이슬람 시아파 무장 조직 헤즈볼라가 관여했습니다. 참고로 HTS는 이슬람 수니파 조직입니다.

진행자) 많은 나라가 시리아에 들어선 새 정부를 우려하는 눈길로 보고 있죠?

기자) 네. 미국 등 많은 나라 HTS를 테러 조직으로 간주해 왔습니다. 그래서 HTS가 시리아 집권 세력으로 등장한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최근 HTS는 테러 조직이란 인상을 순화하려고 노력해 왔습니다. 현재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시리아 새 정부와 접촉하고 있습니다. 이들 나라는 알샤라 정부에 여성과 소수파 보호, 그리고 테러리즘과 극단주의와 싸우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진행자) HTS가 무너뜨린 아사드 정부를 그동안 이란이 지원해 왔는데요. 이란이 23일 새 시리아 정부에 관해 언급했군요?

기자) 네. 에스마일 바가이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23일 주간 언론 브리핑에서 시리아 주권을 존중하고, 시리아가 테러리즘의 안식처가 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바가이 대변인은 이란이 시리아의 새 통치자와 직접 접촉하지는 않았다고 전했습니다.

진행자) 이란 외무부가 시리아 주권을 존중한다고 했지만, 이란 최고지도자인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는 맥락이 다른 말을 했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하메네이는 22일 연설에서 젊은 시리아인들이 아사드 정권이 무너진 뒤에 새로 들어선 정부에 저항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또 그는 미국과 이스라엘이 시리아 안의 혼란을 유포한다고 다시 비난했습니다.

진행자) 시리아는 그동안 이른바 이란의 ‘저항의 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죠?

기자) 네. 이스라엘에 대항하고, 헤즈볼라에 무기를 공급하는 등 이란이 주도하는 느슨한 연합인 저항의 축에서 시리아가 큰 역할을 했습니다. 저항의 축은 지난해 10월 가자 전쟁이 시작된 뒤 이스라엘의 대대적인 공격으로 세력이 크게 약해졌습니다.

2024년 9월 18일 필리핀 라오아그 국제공항에 배치된 미군의 타이폰 미사일 시스템을 촬영한 플래닛 랩스 위성 사진.

진행자) 지구촌 오늘, 이번에는 필리핀으로 가보겠습니다. 필리핀이 미군의 미사일 체계를 도입하는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필리핀이 23일 미국의 장거리 미사일 체계, ‘타이폰’을 인수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필리핀은 현재 중국과 남중국해에서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데요. 필리핀은 자국의 해양 이익을 확보하기 위해 미군의 미사일 시스템을 도입한다고 밝혔습니다.

진행자) 필리핀군 측의 발표 내용 좀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기자) 네, 로이 갈리도 필리핀 육군참모총장은 이날(23일) 기자회견에서 미군의 미사일 시스템은 “우리의 군도 방어 구상 개념에 있어 실현성과 기능성을 확인했기 때문에” 타이폰 도입을 결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갈리도 참모총장은 이어 “필리핀군이 주권을 보호하기 위한 역량이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국민에게 알리게 돼 기쁘다”며 총도입 비용은 “경제적 측면”에 달려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진행자) 그런데 타이폰 미사일 체계가 이미 필리핀에 와 있다고요?

기자) 네, 미 육군은 지난 4월 타이폰을 필리핀 북부 지역에 배치했습니다. 당시 미국과 필리핀의 연례 합동훈련을 위해 배치된 건데 미군이 이후 타이폰을 철수하지 않고 유지해 왔던 겁니다. 타이폰은 미국 최신 중거리 미사일 체계인데요. 토마호크 순항미사일과 SM-6 신형 요격 미사일 등을 탑재할 수 있습니다.

진행자) 필리핀은 미국의 오랜 우방으로 합동 군사훈련도 꾸준히 실시해 오고 있죠?

기자) 네, 지난 2022년 필리핀의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대통령이 취임한 후 남중국해에 대한 중국의 영유권 주장에 맞서기 시작하면서 양국의 방위 협력은 강화됐습니다. 미국은 남중국해와 거리상 떨어져 있고, 영유권 분쟁 당사국은 아니지만, 우방인 필리핀에 대한 방어 의무가 있다는 입장이고요. 또한, 국제법에 따라 남중국해에서 항행의 자유 보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진행자) 하지만 중국은 남중국해에서 점점 더 공격적으로 영유권 주장을 하고 있지 않습니까?

기자) 맞습니다. 특히 작년부터 중국과 필리핀 양국의 해안경비대가 물리적으로 충돌하는 일이 여러 차례 있었습니다. 중국은 또 미국의 미사일 시스템이 몇 달 동안 필리핀에 배치돼 있는 데 대해 역내 불안정을 초래한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내왔습니다.

진행자) 필리핀이 타이폰을 도입한다는 발표에 대해서는 중국이 어떤 반응을 보였습니까?

기자) 중국은 필리핀군 발표에 “도발적이고 위험한 움직임”이라고 지적하며 이로 인해 “군비 경쟁”이 촉발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3일 정례 브리핑에서 필리핀의 이번 결정은 “자국민과 동남아인들의 역사는 물론 역내 안보 면에서도 극도로 무책임한 선택”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이 지역에는 미사일과 대립이 아니라 평화와 번영이 필요하다”고 덧붙이며 “필리핀이 가능한 한 빨리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을 것”을 촉구했습니다.

진행자) 그런데 필리핀이 타이폰 도입을 결정했다고 해서 바로 확보할 수 있는 건 아니라고요?

기자) 네, 갈리도 참모총장은 필리핀군이 새로운 무기 시스템을 도입 계획 단계에서 확보하는 데까지 일반적으로 2년 이상이 걸린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2025년 예산은 아직 책정되지 않았다고 덧붙였습니다. 갈리도 총장은 그러면서 작년에 필리핀이 브라모스 순항 미사일을 인도하는 데 5년이 걸렸다고 밝혔는데요. 브라모스 미사일은 러시아와 인도가 공동 개발한 미사일입니다.

2018년 피츠버그 유대교 회당에서 11명의 신도를 학살한 총격범 로버트 바워스(왼쪽부터), 사우스 캐롤라이나 흑인 교인 9명을 인종 차별적으로 살해한 딜런 루프, 2013년 4월 15일 보스턴 마라톤 폭탄 테러를 저지른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조카르 차르나예프 등 연방 사형수들. 이들은 이번 감형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진행자) 지구촌 오늘, 마지막 소식은 미국으로 갑니다. 이제 곧 퇴임하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사형수들에 대한 대대적인 감형을 발표했네요?

기자) 그렇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이 23일 성명을 내고 연방 사형수 40명 가운데 37명에 대해 가석방 없는 종신형으로 감형한다고 밝혔습니다. 감형 대상은 경찰이나 군인을 살해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 연방 정부 소유지에서 일어난 살인, 은행 강도, 마약 밀매에 연루된 사람, 연방 시설에서 교도관이나 다른 수감자를 살해한 죄로 사형 선고를 받은 죄수들입니다.

진행자) 바이든 대통령은 바로 몇 주 후면 퇴임하지 않나요?

기자) 맞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내년 1월 20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과 함께 자리에서 물러나게 됩니다. 사형에 반대하는 바이든 대통령과는 달리 트럼프 당선인은 사형을 공개적으로 지지해 왔는데요. 따라서 트럼프 당선인 취임 전에 바이든 대통령이 서둘러 사형수에 대한 감형에 나섰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진행자) 바이든 대통령이 감형 조처를 내리며 어떤 생각을 밝혔습니까?

기자)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23일) 성명에서 “나는 폭력 범죄를 줄이고 공정하고 효과적인 사법제도를 확립하는 데 헌신해 왔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사형수에 대한 감형 조처를 하는 데 대해 “오해하지 말라”며 “나는 살인범들을 규탄하고 그들의 비열한 행위로 인한 희생자들을 애도하며, 상상할 수도, 돌이킬 수도 없는 상실을 경험한 가족들을 애도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나의 양심과 국선 변호사, 상원 법사위원장, 부통령, 그리고 현재 대통령으로서 나의 경험에 따라 연방 차원의 사형제를 중단해야 한다는 것을 그 어느 때보다 확신한다”며 감형의 이유를 밝혔습니다.

진행자) 바이든 대통령 재임 기간 연방 사형은 한 건도 없었나요?

기자) 네, 없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2020년 대선 당시 사형제 폐지를 공약으로 내걸고 연방 차원에서 사형제를 폐지하는 법안을 지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바이든 행정부는 실제로 이를 다루기 위한 조처를 거의 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난달 대선에서 승리하면서, 사형 반대 운동가들은 다시 우려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진행자) 트럼프 당선인은 첫 임기 때 사형을 집행했나 보군요?

기자) 네, 17년간 중단됐던 연방 사형을 되살린 사람이 트럼프 당선인입니다. 트럼프 당선인 첫 임기 때인 지난 2019년 7월 연방 사형 집행이 재개돼 임기 말까지 총 13건의 사형이 집행됐는데요. 이는 현대 역사상 그 어떤 대통령 때보다 많은 숫자입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성명에서 “내가 중단한 사형 집행을 새로운 행정부가 재개하도록 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진행자) 반면 바이든 행정부는 재임 기간 감형 조처를 많이 하지 않았나요?

기자) 맞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2일에도 비폭력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39명을 사면하고 약 1천500명을 감형한 바 있습니다. 단 하루에 이뤄진 사면과 감형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였습니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은 이달 1일에는 자신의 기존 입장을 뒤집고, 총기 소지와 탈세 등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자신의 아들 헌터 바이든 씨를 사면해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

진행자) 지구촌 오늘 마칩니다. 김현숙 기자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