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정치범수용소 계속 진화…체제에 필수적 요소”

국제 인권단체 앰네스티 인터내셔널이 지난 2013년 11월 공개한 북한 최대 정치범 수용소, 16호 관리소의 위성사진.

북한의 정치범수용소가 계속 진화하고 있다고, 데이비드 호크 전 국제 앰네스티 미국지부장이 말했습니다. 정치범수용소가 북한 체제 안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입니다. 김영교 기자가 보도합니다.

데이비드 호크 전 국제 앰네스티 미국지부장은 19일 워싱턴의 대북 인권단체 ‘북한인권위원회’가 개최한 인터넷 화상 간담회에서 북한의 정치범수용소가 끊임없이 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호크 전 지부장] “It's always evolving, because the prison camp system is an integral part of the socio economic, political system of North Korea. So, it's a constantly evolving political organism.”

수용소 제도는 북한의 사회, 경제, 정치 체제의 필수불가결한 부분이기에 언제나 진화하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수용소는 끊임없이 진화하는 정치적 유기체와 같다는 설명입니다.

북한의 강제 수용소에 대해 상세히 밝힌 ‘감춰진 수용소’의 저자인 호크 전 지부장은 북한이 오래된 수용소를 닫고 새 수용소를 열곤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일부 수용소가 닫히는 이유와 관련해서는 북한 내 광산과 연관을 지었습니다.

[녹취: 호크 전 지부장] “Some of the prison camps are built around particular mines. And the prisoners do force labor in mining and that particular mine is exhausted. So, it no longer makes economic sense to have all this forced labor in that particular mine.”

수용소 중 일부는 특정 광산 근처에 있어 재소자들이 광산에서 강제 노역을 하게 되는데, 만약 그 광산이 고갈된다면 그 곳에서 강제 노역을 시킬 경제적인 이유가 없어진다는 설명입니다.

또 일부 수용소는 재소자들이 목재나 동물 농장, 경공업을 위한 강제 노역에 동원되기도 한다며, 수용 인구가 줄어 수용소의 통합이 일어나기도 하고 수용소가 이동을 하기도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호크 전 지부장은 하지만 국가보위성과 인민보안성에 의해서 운용되는 수용소의 기본적인 역할은 체제에 충성하지 않는 주민들을 처벌하고 사회에서 제거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주민들은 일반적으로 이런 수용소의 존재에 대해서 잘 알고 있으며 그곳에 들어가게 될 가능성에 대해 늘 두려워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수용소 내에서 재소자들에게 충분한 음식이 제공되지 않아 대부분 굶주리고 영양 실조를 겪고 있다며, 이는 결과적으로 수감자들의 높은 사망률로 이어지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호크 전 지부장은 또 수용소 내에 성범죄가 널리 퍼져 있다면서, 교도관들이 여성 재소자들과 성관계를 하면 법으로 처벌 받게 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런 일이 만연해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 국무부는 올해 발표한 ‘2020 인신매매 보고서’에서, 북한 수용소 등에서의 강제 노역 등을 북한 정권의 정치적 압박과 재원 마련 수단으로 지적하며 이를 ‘인신매매’ 범주에 포함시켰습니다.

보고서는 북한의 정치범수용소에 약 8만에서 12만 명이 수용된 것으로 추산하며, 정당한 사법적 절차 없이 수용된 경우가 상당수라고 지적했습니다.

또 어린이를 포함한 수감자들이 혹독한 환경에서 장시간 강제 노동에 시달리고 있으며, 구타와 고문, 강간, 식량 부족 상황에 놓여있다고 덧붙였습니다.

VOA뉴스 김영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