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북한 해외 노동자 5만여 명…한 해 3억 달러 외화벌이"

"북한 해외 노동자 5만여 명…한 해 3억 달러 외화벌이"


2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북한 밖의 북한' 폴란드, 몽골 지역 북한 해외노동자 현황과 인권실태 세미나가 열렸다.
2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북한 밖의 북한' 폴란드, 몽골 지역 북한 해외노동자 현황과 인권실태 세미나가 열렸다.

북한 당국이 외화벌이를 위해 해외에 파견한 노동자 수는 5만여 명이며, 이들은 한 해 3억 달러 정도를 벌어들이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습니다. 이들 노동자들은 임금의 90% 가량을 북한 당국에 상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서울에서 김환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민간 연구기관인 북한인권정보센터의 이승주 연구원은 현재 20여 개 국가에서 5만 명 이상의 북한 노동자가 외화벌이를 위해 일하고 있다고 추정했습니다.

이 연구원은 23일 서울에서 열린 국제회의 주제발표에서 이같이 말하고 이들이 연간 벌어들이는 돈은 2억 달러에서 3억 달러 가량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이 연구원은 이와 함께 폴란드와 몽골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들의 경우 임금의 90% 이상을 북한 당국에 상납한다는 조사 결과도 발표했습니다.

북한인권정보센터는 북한 해외노동자 현황 파악을 위해 올해 하반기 몽골에서 두 차례, 폴란드에서 한 차례 현장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이 연구원은 폴란드 내 북한 노동자의 소득은 북한 당국이 공제하는 금액과 중간 관리자의 착복으로 급여의 10분의 1인 월 100 달러 이하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몽골에 있는 북한 노동자들도 급여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약 650 달러를 매달 상납한다며 이는 다른 국가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들과 큰 차이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원은 특히 몽골에선 최근 경기가 나빠지면서 일자리가 줄었지만 북한 노동자들은 상납금을 채워야 하기 때문에 아르바이트 즉, 청부업에 내몰리기도 한다고 전했습니다.

[녹취: 이승주 연구원 / 이승주 북한인권정보센터] “한 달에 납입금 650 달러 이상을 요구하며 개개인이 회사 내에서 그것을 벌어들이지 못한다면 아르바이트 즉, 청부업을 진행해서라도 이 돈을 국가에 반드시 납입하도록 강요하고 있었습니다.”

이 연구원은 폴란드와 몽골의 북한 노동자들이 하루 12시간 안팎으로 일하면서 건설 현장에서 숙식을 해결하는 등 매우 열악한 조건에서 생활하고 있다며 임금 체불로 그나마 100 달러도 안 되는 자기 몫 조차 못 받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인권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현재 몽골에는 울란바토르 지역을 중심으로 약 1천700 명에서 1천800 명, 폴란드엔 약 800 명의 북한 노동자가 파견돼 있습니다.

북한인권정보센터 부설 북한인권기록보존소 윤여상 소장은 주제발표에서 폴란드와 몽골 정부가 현지 채용기업을 대상으로 노동자 계약사항을 점검해 불법 또는 인권 침해 사항 여부를 확인하고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윤 소장은 자신의 의지에 반한 강제송환이나 임금 미지급, 산업재해 보상금 착복, 과도한 강제노동 등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폴란드와 몽골 정부가 나서야 하지만 이들 정부들이 꺼리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윤여상 소장 / 북한인권기록보존소] “정부를 움직이려면 유엔이나 국제노동기구 (ILO)나 한국 정부가 매우 강력하게 몽골과 폴란드 정부에 이런 사실을 해결하도록 촉구하는 게 가장 1차적인 방법이겠다는 것이고요”

한편 북한인권정보센터는 이날 회의에서 북한 노동자를 고용한 17개 국가의 126개 기업들의 명단을 공개했습니다.

윤 소장은 언론보도와 그밖에 다양한 경로로 수집한 명단이라며 대부분 기업이 북한 노동자의 채용 사실 확인을 거부하거나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북한 당국도 노동자의 외부 접촉을 차단하고 필요하면 육탄으로 저지하라는 명령도 내려왔다는 말을 들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윤 소장은 명단 공개를 통해 북한 노동자를 고용한 기업들이 노동자 인권 개선 조치를 취하도록 압박하는 효과를 기대했습니다.

회의 토론자로 나온 유엔 인권 서울사무소의 타렉 체니티 부소장은 지난 2011년 유엔이 공표한 ‘기업과 인권이행 원칙’을 언급하며 노동자들의 인권 존중은 국가는 물론 기업의 의무라고 강조했습니다.

체니티 부소장은 북한인권센터의 활동 내용을 토대로 국제사회에 북한 해외노동자의 인권 실태를 널리 알리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김환용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