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다음달 초 7차 노동당 대회에 중국을 초청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한국 정부 관계자가 밝혔습니다. 한국 정부는 북한이 이번 당 대회를 국내 행사로 치르려는 움직임을 포착하고 5차 핵실험과 같은 대형 도발을 염두에 두고 있을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김환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 관계자는 19일 ‘VOA’와의 전화통화에서 북한이 다음달 초 열리는 7차 노동당 대회를 앞두고 중국 측 인사를 초청하려는 움직임이 없다며 사실상 초청할 뜻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북한이 지난 2월 중국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가 방북했을 당시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중국 측에 통보함으로써 망신을 줬다며 금이 간 북-중 관계가 당 대회를 계기로 한 일회성 고위급 접촉으로 회복될 상황이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따라서 북한으로서도 굳이 중국 측 인사를 초청하려 하지 않겠다는 입장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또 중국 이외의 다른 나라들에 대해서도 초청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대북 소식통은 지난 2월 북한 김영철 노동당 대남담당 비서 등이 라오스 등 동남아 우방국을 방문했지만 현재까지 뚜렷한 초청외교 동향이 파악되고 있지 않다며 이는 다보스 포럼 참석이 무산되는 등 핵실험 이후 대북 제재 국면에서 북한의 외교적 입지가 축소됐기 때문으로 판단된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1980년 6차 당 대회 때는 118개국에서 177개 대표단이 참여했습니다. 당시엔 리셴녠 중국 부주석을 비롯해 그리쉰 러시아 정치국 위원, 세쿠투레 기니 대통령, 무가베 짐바브웨 총리 등 정상급 외빈이 참석했습니다.
한국 정부 안팎에선 36년 만에 치러지는 이번 당 대회를 북한이 외빈 없이 치르겠다고 마음 먹었다면 당 대회 전에 핵실험과 같은 대형 도발을 일으키려는 계산된 조치일 수 있다는 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 관계자는 북한이 중국을 행사에 부르지 않는 것은 중국 입장을 신경 쓰지 않고 자기 길을 가겠다는 메시지일 수 있다며 북한의 도발 조짐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국책연구기관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박병광 박사도 북한이 초청외교를 포기했다면 국제사회에 도전하는 무력시위 가능성은 더 커졌다고 볼 수 있다며 당 대회를 내부 결속에 최대한 활용하는 차원에서 당 대회 전 핵이나 미사일 도발에 나설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녹취: 박병광 박사 /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만약 김정은이 그게 아니라 대내적인 것에만 초점을 두겠다면 그러기 위해선 이것을 김정은 개인의 권위를 강화하는 계기로 활용해야 하고 그 다음에 어떤 도발 행위를 통해서 국내적 통합을 강화하는 계기로 활용해야 되거든요. 그러기 위해선 뭔가 이벤트가 필요한 거죠.”
한편 한국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의 당 대회 준비 동향과 관련해 당 대회를 위한 대규모 행사를 준비하는 움직임이 관찰되지 않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그 이유에 대해 대북 제재의 영향으로 대외무역과 외화벌이 여건이 악화하면서 김정은 국방위 제1 위원장의 통치자금과 당 대회 자금 조달에 차질이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지난 6차 당 대회 때는 100만 명이 참가한 군중시위와 5만 명이 참여한 집단체조 등 성대한 행사를 개최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또 ‘70일 전투’ 등 노력동원과 충성자금 상납 강요, 휴대전화 단속 등 사회통제 강화로 북한 주민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며 일부 접경지역에선 물가가 다소 상승하는 경향이 있고 대북 제재가 장기화하면 외화와 물자 부족으로 경제 회생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김 제1위원장이 이번 당 대회에서 국가주석이나 당 총비서로 추대될 가능성에 대해선 북한 헌법에 김일성과 김정일을 영원한 국가주석과 총비서로 명시했기 때문에 그럴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다만 김 제1위원장의 권한 강화를 위해 당 조직을 개편할 가능성은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서울에서 VOA 뉴스 김환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