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북한 선박 20여척 중국 석탄항 포착...일제히 운항 재개


광물을 취급하는 항구로 알려진 중국 룽커우 항의 26일 선박 위치가 점으로 표시되어 있다. 붉은색 원 안에 든 점들이 ‘장진강’ 호 등 북한 선박이다. '마린트래픽' 이미지 캡쳐.
광물을 취급하는 항구로 알려진 중국 룽커우 항의 26일 선박 위치가 점으로 표시되어 있다. 붉은색 원 안에 든 점들이 ‘장진강’ 호 등 북한 선박이다. '마린트래픽' 이미지 캡쳐.

중국의 북한산 석탄 수입 금지 조치로 움직임이 크게 둔화됐던 북한 선박들이 최근 상당수 운항을 재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석탄을 실은 북한 선박들이 자주 드나들었던 중국 항구들에서 북한 선박 20여 척이 포착됐습니다.

선박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보여주는 ‘마린 트래픽(MarineTraffic)’에 따르면 26일 현재 북한 선적의 ‘장진강’ 호와 ‘금송 7’ 호, ‘금강산’ 호, ‘민흥’ 호 등 6척이 지난 23일부터 중국 룽커우 항에서 약 10km 떨어진 지점에 머물고 있습니다.

중국 펑라이 항에 정박한 북한 선박 ‘해방산' 호(붉은원) 위치. '마린트래픽' 이미지 캡처.
중국 펑라이 항에 정박한 북한 선박 ‘해방산' 호(붉은원) 위치. '마린트래픽' 이미지 캡처.

또 다른 항구인 얀타이 항에서 10여km 떨어진 곳을 비롯해, 인근 바다에도 ‘태송’ 호와 ‘강안 1’ 호, ‘강남 1’ 호 등 10척이 적어도 사흘 째 공해상에 떠 있는 것이 확인됐고, 펑라이 항에는 25일을 전후해 ‘해방산’ 호와 ‘자모산’ 호가 머물다가 돌아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 항구는 공통적으로 석탄을 비롯한 광물을 취급해 왔고, 지난 2월 북한산 석탄에 대한 중국 정부의 수입금지 조치가 이뤄지기 이전까지 북한 선박이 수시로 드나들던 곳입니다.

그러나 지난 3월 중순 공해상에 약 3주 간 머물던 북한 선박 10척이 일제히 룽커우 항에 입항했던 사실을 제외하곤, 이들 항구에서 북한 선박은 사실상 찾아보기 힘들었습니다.

이 때문에 중국의 북한산 석탄에 대한 금지 조치가 비교적 잘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했습니다.

북한 선박의 움직임이 다시 활발해진 정황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선박을 관리·감시하는 기구인 ‘아태지역 항만국통제위원회’ 자료에서도 확인됩니다.

26일을 기준으로 5월 한 달 간 위원회가 무작위로 안전검사를 진행한 북한 선적 선박은 모두 23척으로, 이 중 4척을 제외한 19척이 중국 얀타이와 르자오 항 등에서 검사를 받았습니다.

반면 지난 4월의 경우 모두 18척의 북한 선적 선박이 검사를 받았지만 중국에서 검사가 이뤄진 선박은 단 5척에 불과했습니다. 나머지 13척은 러시아 항구에서 검사 기록을 남겼습니다.

당시 이례적으로 중국에서보다 러시아에서 더 검사를 많이 받으면서, 중국으로 향하는 북한 선박이 크게 줄어들었음을 추정해 볼 수 있었지만, 5월이 되면서 다시 이전 수준으로 회복된 상황입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