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2375호의 이행보고서를 가장 먼저 제출했던 바레인의 보고서가 공개됐습니다. 미국의 대북 압박 캠페인에 맞춰 이행보고서를 제출하는 나라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바레인은 대북제재 이행보고서에서 확고한 조치를 취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안보리가 24일 공개한 바레인의 이행보고서에 따르면 바레인 정부는 모든 항공사를 포함해 자국 영공과 해상, 육상을 횡단하는 교통편이 여행 금지 대상자를 찾아내고, 금수 품목을 몰수하도록 한 대북제재 결의의 모든 관련 조항을 이행하도록 지시했습니다.
또 바레인 산업통상부와 국립 석유가스공사 등은 물론 모든 은행과 금융 기관들도 결의 내용을 숙지할 것을 정부로부터 통보 받았다고 이행보고서는 명시했습니다.
아울러 대북제재 결의의 모든 조항들이 포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정부차원에서 주기적으로 감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바레인은 지난 11일 2270호와 2371호 등 기존 결의를 하나로 묶은 이행보고서를 제출하면서 2375호에 대한 내용도 포함시켰습니다.
안보리가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대응해 지난달 11일 채택한 대북제재 결의 2375호의 제출 시한은 결의 채택일로부터 90일인 12월 중순이지만 바레인은 약 50일 앞서 보고서를 제출했습니다.
24일 현재 2375호 이행보고서 제출국은 바레인이 유일합니다.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 위원회는 16일을 기준으로 지난해 채택된 2321호와 2270호 이행보고서는 각각 83개와 99개 나라가 제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기존의 대북제재 결의 이행보고서와 비교할 때 제출 속도와 참여도에 있어서 크게 개선된 것입니다.
실제로 지난 2013년 채택된 2087호와 2094호는 제출국이 각각 20여개와 50여개에 불과했습니다. 또 1718호 이행보고서의 경우 역대 가장 많은 104개 나라가 참여했지만, 대부분 지난 10여년 간 꾸준히 접수된 것들로 단시간에 100개에 가까운 이행보고서가 모인 2321호와 2270호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런 분위기는 미국이 유엔 회원국들의 대북 압박 동참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강화한 것이 크게 작용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녹취: 고든 창 변호사] “The Trump administration has a consistent policy of applying pressure…”
동북아시아 전문가인 고든 창 변호사는 24일 ‘VOA’와의 통화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 문제에 있어) 다른 나라들에 압박을 가하는 일관된 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쓰이는 자금을 끊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는 점이 명확해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지난 15일 미국 ‘CNN’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첫 번째 폭탄을 투하할 때까지” 외교적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같은 발언은 미국이 북한에 대한 군사옵션을 실행에 옮기기 전까지는 다른 나라와 협력해 대북 압박 수위를 최대로 끌어올리는 외교적 노력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풀이됐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