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트럼프 대통령 집권 첫 해인 올해 북한 핵 문제 해결을 위해 최대 압박과 제재에 집중했습니다. 반면 북한은 핵 무력 완성을 목표로 과거 어느 때보다 많은 미사일 도발을 감행했습니다. 한반도 현안을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리는 `뉴스 해설,’ 윤국한 기자와 함께 합니다.
진행자) 2017년 한 해도 오늘로 마지막 주말을 맞았습니다. 올해는 북한이 그야말로 세계 뉴스의 중심이 된 한 해였지요?
기자) 네, 그렇게 된 이유는 미국에서 새로 출범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목표가 첨예하게 충돌했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 핵 해결, 김정은 위원장은 핵 무력 완성이 목표였지요. 결국 2017년 북한 뉴스의 키워드는 `트럼프,’ `김정은,’ 그리고 `제재’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진행자) 트럼프 대통령은 그 자신이 북 핵 문제의 전면에서 `맹활약’ 했지요?
기자) 그렇습니다. 어제(28일) 만 해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트위터에 북한 관련 글과 영상을 올렸습니다. 중국이 북한으로의 유류 반입을 허용하고 있다는 언론보도를 가리켜 ‘현행범으로 잡혔다’며 중국에 경고한 겁니다.
진행자) 그러고 보면 미국의 대북 정책이나 발언의 전면에는 늘 트럼프 대통령이 있었던 것 같네요.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뿐 아니라 각종 연설과 회견 등을 통해 북한과 관련한 발언을 이어갔습니다. 특히 북한을 겨냥한 `화염과 분노’ 발언, `북한을 완전히 파괴시킬 수밖에 없다’ 는 유엔총회 연설, 그리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로켓맨’으로 비하하는 등으로 대북정책의 주역 자리를 지켰습니다.
진행자) 그렇다고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에 대해 일관되게 비판적이었던 건 아니지 않습니까?
기자) 맞습니다.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는 김정은 위원장과 햄버거를 먹으며 대화할 수 있다고 했었고, 또 한 때는 `김 위원장을 만난다면 영광’이라는 말도 했었습니다. 그러다가 북한의 도발과 위협이 계속되자 강경일변도로 돌아선 겁니다.
진행자) 트럼프 대통령이 외교사령탑인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을 공개적으로 면박한 것도 이례적인 일이었지요?
기자) 네, 북한과 2-3개 대화채널을 갖고 있고, 대화 중이라는 틸러슨 장관의 발언에 대해 트위터를 통해 `시간 낭비’라고 비판하는 매우 드문 행보를 보였습니다. 북한에 대한 `군사 옵션’이 트럼프 행정부의 주요 전략 수단으로 줄곧 유지돼 온 데는 트럼프 대통령의 역할이 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진행자) 두 번째 키워드는 김정은 위원장인데요. 사실 미국의 움직임은 기본적으로 김 위원장의 행위에 대한 반응이었다고 할 수 있지요?
기자) 네, 김 위원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핵 무력 완성을 일찌감치 목표로 제시했습니다. 그리고는 무려 17차례에 걸쳐 20발이 넘는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 여기에는 세 차례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 발사도 포함됐고요, 미국령 괌에 대한 포위사격을 위협하기도 했습니다.
진행자) 올해 북한이 발사한 탄도미사일은 전임 김정일 국방위원장 집권 기간에 쏘아 올린 미사일 수 보다 많았지요?
기자) 네, 그 만큼 김 위원장이 핵 무력 완성에 매진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김 위원장은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유엔총회 연설에 대응해 북한 정권 사상 처음으로 개인 명의의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이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늙다리’ `깡패’ 등으로 부르면서 사상 최고의 조치를 위협했습니다.
진행자) 미국과 북한의 최고 지도자가 직접 전면에 나서 말 폭탄을 주고 받는 전례 없는 일이 벌어진 건데요. 핵 문제 해결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면서, 한반도 위기지수만 높였다는 비판이 일었지요?
기자) 네, 김 위원장으로서는 미국 대통령과 직접 맞섰으니 손해 날 게 없는 일이었습니다. 오히려 내부적으로 자신의 위상을 높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진행자) 세 번째 키워드는 `제재’ 인데요. 결국 유엔과 개별국가 차원에서 유례없이 강도 높은 대북 제재가 진행 중이지요?
기자) 네, 유엔 안보리는 지난 2006년 북한의 1차 핵실험에 맞선 1718호를 시작으로 지난 11년 간 모두 10건의 대북 제재 결의를 채택했는데요, 그 중 4건이 올해 채택됐습니다. 또 미국이 주도하는 대북 경제적, 외교적 제재와 압박에 동참하는 나라가 늘어나면서 북한의 고립은 더욱 깊어가는 형국입니다. 결국 한반도 정세에 특별한 변화가 없는 한 새해에도 트럼프와 김정은, 제재는 북한 뉴스의 키워드가 될 전망입니다.
한반도 현안을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리는 `뉴스 해설’ 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