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어제(31일) 발사는 ‘성명’과 ‘행동’을 번갈아 사용하는 대미 압박의 일환으로, 이를 통해 미국과의 추가 정상회담을 얻으려는 것이라고 미국의 전문가들이 분석했습니다. 점점 강도를 높여 ‘레드라인’을 넘길 수 있다는 위협의 메시지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안소영 기자입니다.
게리 세이모어 전 백악관 대량살상무기 조정관은 31일 이뤄진 북한의 발사에 대해, 장거리 탄도미사일과 핵 실험을 재개할 수 있다는 심각한 위협으로 풀이했습니다.
[녹취: 세이모어 전 조정관] “This is to illustrate that they’re serious about their threats to resume nuclear and missile testing. If the US doesn’t accept North Korea’s proposal for sanctions relief.”
세이모어 전 조정관은 VOA와의 전화통화에서, 미국이 북한의 제재 완화 제안을 수용하지 않으면 위협 수위를 높여나갈 것임을 분명히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트럼프 대통령이 ‘싱가포르 합의’를 위배하지 않고, 미국에 직접적 위협이 아니라고 여기는 단거리 미사일 발사가 효과적인 압박 수단이 아니라고 여길 수 있다는 겁니다.
수전 손튼 전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대행은 북한의 잇따른 발사는 연말이 다가올수록 우려할 만한 수준의 실험까지 감행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습니다.
손튼 전 대행은 북한의 연쇄 도발은 예상된 일로, 이번 발사도 이미 수 차례 했던 단거리라는 점을 감안하면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관심은 연말 시한까지 북한이 도발 수위를 어디까지 높이느냐에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녹취: 손튼 전 대행] “I think people are more interested in looking at is sort of what is the North Korean regime building up toward the end of the year.”
북한은 과거와 같은 방식으로 일종의 ‘위기’를 만들어 미 행정부가 고위급 회담 요청으로 대응하길 바라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녹취: 손튼 전 대행] “So seems that what Kim Jong Un wants is another summit meeting with Donald Trump and maybe this is some plan to try to, you know, in the North Korean mind, stimulate that kind of a of an outcome.”
손튼 전 대행은 김정은 위원장이 미사일 발사를 통해 양보를 얻지 못하는 실무 협상 대신 트럼프 대통령과의 또다른 만남으로 이어지길 원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조셉 디트라니 전 6자회담 차석대표는 북한의 이번 발사 소식에 놀란 사람은 없을 것이라며, 지난 수 개월 간 해 오던 대미 압박의 일환으로 풀이했습니다.
[녹취: 디트라니 전 차석대표] “We’re coming close to the year end. So this is further to Kim Young Chul’s comments and Kim Gye Gwan’s comments and what North Korea has been doing over the last months.”
연말 시한을 거듭 강조하며 미국의 입장 변화를 촉구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과 김계관 외무성 고문 담화의 연장선이라는 설명입니다.
디트라니 전 차석대표는 다만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가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임에도 안보리가 추가 제재를 가하지 않고 있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용인함으로써, 이미 상당한 유연성을 발휘하고 있는 미국에 더 많은 것을 바라고 있다는 겁니다.
[녹취: 디트라니 전 차석대표] “They’re in violation of the UNSC resolution, but the UNSC has not moved with further sanctions. So they are looking for greater flexibility on the part of the US. I think the US has been pretty flexible all along with North Korea.”
데이비드 맥스웰 미국 민주주의수호재단 선임연구원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원하면 언제든 실험할 수 있는 ‘새로운 기준,’ 이른바 ‘뉴 노멀’ 현상으로 자리잡았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맥스웰 연구원] “So this is new normal has given them an ability to continue to develop their missile program without any kind of action by US or South Korea to hold their testing.”
미국과 한국의 저지 없이 북한이 계속 미사일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맥스웰 선임연구원은 또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는 대미, 대남 압박용일 뿐 아니라 북한 엘리트층과 군부의 결속을 다지기 위한 것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안소영입니다.
독자 제보: VOA는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기사화를 원하는 내용을 연락처와 함께 Koreanewsdesk@voanews.com 이메일로 보내주시면 뉴스 제작에 적극 반영하겠습니다. 제공하신 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되며, 제보자의 신분은 철저히 보호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