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4일은 유엔이 지정한 ‘세계 결핵의 날’입니다. 북한은 중국 등 30개국과 함께 ‘결핵 고위험국’으로 분류돼 있는데,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여파로 북한 내 결핵 환자 치료에도 어려움이 가중될 전망입니다. 안소영 기자입니다. (영상취재: 이상훈 / 영상편집: 조명수)
세계보건기구 WHO가 세계 결핵의 날을 맞아 내건 캠페인 문구는 ‘이제는 행동에 나서고 결핵을 종식할 때’ 입니다.
2030년까지 전 세계 결핵을 퇴치하자는 유엔의 지속가능 개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각국의 행동을 촉구한 겁니다.
최근 WHO가 공개한 ‘2019 결핵보고서’를 보면, 결핵 고위험국으로 분류된 북한에서 결핵으로 사망한 사람은 2만여 명으로 추산됐습니다.
주민 10만 명당 80명 수준으로 세계 평균에 4배, 한국보다는 16배나 높은 수준입니다.
세계보건기구 WHO 산하 국제기구인 스톱 TB 파트너십은 특히 결핵 치료가 중단된 북한 주민은 4만 천 61명으로, 2010년보다 39% 늘어난 데 주목했습니다.
결핵 치료를 중간에서 멈추면 약물 내성이 생겨 완치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루시아 디티우 / 스톱 TB 파트너십 사무총장
“보다 중요한 것은 치료 중에 사라진 사람을 찾는 겁니다. 그들을 추적하고 있는데 목표는 오는 2022년까지 모두 찾아내는 겁니다.”
국제기구와 대북 민간단체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는 북한 내 결핵 치료를 더 어렵게 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미국 내 한 대북 지원단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여파로 지원 단체의 북한 방문이 연기되면서 결핵 치료제 등 의약품 공급이 막혀 북한 내 결핵 환자 치료에 공백이 생겼다고 우려했습니다.
국경없는의사회는 신종 전염병이 창궐해도 결핵 치료를 경시해서는 안 된다면서 지난 2014년 에볼라 사태 당시 기니 당국의 사례를 들었습니다.
당기 기니는 에볼라 치료에 전념하면서 결핵 관련 의료 활동을 53% 줄여 결핵 사망률이 2배 이상 증가했다는 것입니다.
국제기구들은 또 결핵에 취약한 국가일수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에도 쉽게 노출된다면서, 두 전염병의 전파 경로가 비슷한 만큼 더 강력한 대응 방식이 필요하다고 경고했습니다.
VOA 뉴스 안소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