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NSC가 한국과 일본 등 35개국과 함께 랜섬웨어 대응을 위한 협력을 모색하는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미국은 최근 러시아 등의 랜섬웨어 공격에 연이어 노출되자 이에 대한 대응을 위한 국제 협력을 강조하고 있는데, 북한도 미국 정부의 대응 범주에 포함돼 있습니다. 박형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김선명 / 영상편집: 이상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NSC가 랜섬웨어 대응 분야에서 동맹국 그리고 파트너국과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2일 열린 이번 회의는 국가안보회의의 앤 뉴버거 사이버·신기술 담당 부보좌관과 국무부의 빅토리아 눌런드 정무차관이 주재하고, 한국과 일본을 비롯해 유럽연합 EU와 영국, 프랑스, 독일, 이스라엘 등 미국의 주요 동맹국들과 파트너 등 35개 국가의 대사와 대표들이 참석했다고 백악관은 밝혔습니다.
지난달 13~14일 화상으로 개최된 랜섬웨어 대응 회의에 이은 첫 대면 회의입니다.
미국 정부는 이번 회의에서 ‘랜섬웨어 대응 이니셔티브’, CRI를 비롯해 랜섬웨어 대응 협력을 가속화하기 위한 바이든 행정부의 노력을 설명했습니다.
특히 바이든 행정부의 4개 전략인 ‘랜섬웨어 공격에 대한 회복력 강화’, ‘랜섬, 즉 몸값 지급을 위한 가상화폐 돈세탁 대응’, ‘랜섬웨어 관련 수사와 처벌 지원’, ‘외교적 협력’ 등에서 파트너 국가들과 협력 분야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NSC는 밝혔습니다.
이날 회의에서 눌런드 정무차관은 국무부가 기존 역량과 전문성을 통합하고 증대하는 역할을 할 ‘사이버공간 디지털 정책국’을 신설한 사실을 소개하는 한편 각국이 랜섬웨어 대응에 사이버범죄협약, 일명 ‘부다페스트조약’과 ‘초국가적 조직범죄 방지에 관한 유엔협약’ 등 국제 체계를 활용할 것을 권장했습니다.
또 NSC의 뉴버거 사이버·신기술 담당 부보좌관은 법 집행과 사이버 안보, 금융 규제, 외교 당국 등 각국 전문가 집단의 통합 대응의 중요성을 확인한 지난달 화상회의 결과를 상기했습니다.
랜섬웨어는 생태계가 매우 복잡한 ‘초국가적 위협’인 만큼 국제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것입니다.
앤 뉴버거 / 미국 국가안보회의 NSC 부보좌관 (지난 10월)
“어느 한 국가에서 행위자 개인이 랜섬웨어 공격을 단행할 수 있지만, 몸값 지급을 위한 돈세탁이나 불법 거래는 다른 나라에서 이뤄질 겁니다. 또 제3국에 등록된 거래소가 제4국 등 다른 국가에서 운영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초국가적인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합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연방정부 기관과 민간 인프라 시설 등이 러시아발로 추정되는 랜섬웨어 공격에 잇따라 노출되자 백악관이 나서 대응을 주도하고 있는데, 북한 역시 미국의 사이버 대응 정책 범주 안에 포함돼 있습니다.
앞서 미국 연방수사국 FBI는 지난 9월 북한의 증대된 사이버 역량은 특히 금융기관에 위협을 가하고 사이버 간첩행위의 위험도 높이고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의회에 제출했습니다.
한국에서는 지난 9월부터 10월 사이 북한의 범행으로 의심되는 랜섬웨어 사건이 포착돼 현재 사법 당국이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VOA 뉴스 박형주입니다.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NSC가 랜섬웨어 대응 분야에서 동맹국 그리고 파트너국과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2일 열린 이번 회의는 국가안보회의의 앤 뉴버거 사이버·신기술 담당 부보좌관과 국무부의 빅토리아 눌런드 정무차관이 주재하고, 한국과 일본을 비롯해 유럽연합 EU와 영국, 프랑스, 독일, 이스라엘 등 미국의 주요 동맹국들과 파트너 등 35개 국가의 대사와 대표들이 참석했다고 백악관은 밝혔습니다.
지난달 13~14일 화상으로 개최된 랜섬웨어 대응 회의에 이은 첫 대면 회의입니다.
미국 정부는 이번 회의에서 ‘랜섬웨어 대응 이니셔티브’, CRI를 비롯해 랜섬웨어 대응 협력을 가속화하기 위한 바이든 행정부의 노력을 설명했습니다.
특히 바이든 행정부의 4개 전략인 ‘랜섬웨어 공격에 대한 회복력 강화’, ‘랜섬, 즉 몸값 지급을 위한 가상화폐 돈세탁 대응’, ‘랜섬웨어 관련 수사와 처벌 지원’, ‘외교적 협력’ 등에서 파트너 국가들과 협력 분야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NSC는 밝혔습니다.
이날 회의에서 눌런드 정무차관은 국무부가 기존 역량과 전문성을 통합하고 증대하는 역할을 할 ‘사이버공간 디지털 정책국’을 신설한 사실을 소개하는 한편 각국이 랜섬웨어 대응에 사이버범죄협약, 일명 ‘부다페스트조약’과 ‘초국가적 조직범죄 방지에 관한 유엔협약’ 등 국제 체계를 활용할 것을 권장했습니다.
또 NSC의 뉴버거 사이버·신기술 담당 부보좌관은 법 집행과 사이버 안보, 금융 규제, 외교 당국 등 각국 전문가 집단의 통합 대응의 중요성을 확인한 지난달 화상회의 결과를 상기했습니다.
랜섬웨어는 생태계가 매우 복잡한 ‘초국가적 위협’인 만큼 국제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것입니다.
앤 뉴버거 / 미국 국가안보회의 NSC 부보좌관 (지난 10월)
“어느 한 국가에서 행위자 개인이 랜섬웨어 공격을 단행할 수 있지만, 몸값 지급을 위한 돈세탁이나 불법 거래는 다른 나라에서 이뤄질 겁니다. 또 제3국에 등록된 거래소가 제4국 등 다른 국가에서 운영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초국가적인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합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연방정부 기관과 민간 인프라 시설 등이 러시아발로 추정되는 랜섬웨어 공격에 잇따라 노출되자 백악관이 나서 대응을 주도하고 있는데, 북한 역시 미국의 사이버 대응 정책 범주 안에 포함돼 있습니다.
앞서 미국 연방수사국 FBI는 지난 9월 북한의 증대된 사이버 역량은 특히 금융기관에 위협을 가하고 사이버 간첩행위의 위험도 높이고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의회에 제출했습니다.
한국에서는 지난 9월부터 10월 사이 북한의 범행으로 의심되는 랜섬웨어 사건이 포착돼 현재 사법 당국이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VOA 뉴스 박형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