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한국 '누리호' 발사 성공...실용급 위성발사체 보유 7번째 나라 돼


한국이 자체 개발한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1일 전라남도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한국이 자체 개발한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1일 전라남도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한국이 21일 자체 기술로 개발한 위성발사체 발사에 성공했습니다. 이로써 세계에서 실용급 위성을 자력으로 발사할 수 있는 7번째 나라가 됐습니다. 서울에서 김환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이 자체 개발한 위성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1일 2차 발사에서 목표한 고도 700㎞에 도달하고 위성을 계획했던 궤도에 안착시키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종호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대한민국 과학기술사뿐 아니라 대한민국 역사의 기념비적인 순간에 섰다”며 “누리호가 목표궤도에 투입돼 성능검증위성 성공적으로 분리하고 궤도에 안착시켰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이종호 장관] “대한민국 우주의 하늘이 활짝 열렸습니다. 대한민국 과학기술이 위대한 전진을 이뤘습니다.”

한국 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누리호는 이날 오후 4시께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돼 오후 4시 2분께 1단을 분리하고 2단을 성공적으로 분리했습니다.

오후 4시 3분께 위성 덮개(페어링)를 분리하고 고도 200㎞를 통과했습니다.

누리호는 이후로도 정상비행을 이어 갔으며, 오후 4시 13분께 3단 엔진이 정지되며 목표궤도에 도달했습니다.

이어 오후 4시 14분께 성능검증위성, 4시 16분께 위성모사체를 각각 분리했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발사 이후 남극 세종기지 안테나를 통해 성능검증위성의 초기 지상국 교신에 성공하고 위성의 위치를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21일 한국 전라남도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 발사 성공을 지켜본 시민들이 환호하고 있다.
21일 한국 전라남도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 발사 성공을 지켜본 시민들이 환호하고 있다.

그러면서 위성의 최종적인 성공 여부 확인을 위해 22일 오전 3시께부터 대전 항공우주연구원 지상국과의 양방향 교신을 실시해 위성의 상태를 세부적으로 확인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누리호’는 총 길이 47.2m, 중량 200t 규모의 발사체입니다.

2010년 3월부터 개발돼 온 ‘누리호’는 1.5t급 실용위성을 고도 600~800km 사이 지구 저궤도에 투입할 능력을 갖추도록 설계됐습니다.

12년 3개월 동안 250여명의 연구개발 인력을 투입해 설계와 제작, 시험, 발사 운용 등 전 과정을 한국 기술로 진행했습니다.

이를 위해 투입된 예산은 약 1조9천572억원, 미화로 약 15억 달러입니다.

누리호의 가장 핵심적인 부품은 ‘발사체의 심장’이라고도 불리는 75t급 액체엔진입니다.

1단에서 75t급 액체엔진은 4개가 한데 묶여 1개의 300t급 엔진처럼 동시에 점화하며, 2단에도 1개가 달려있습니다.

이번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한국은 실용급 위성을 발사하는 능력을 갖춘 7번째 나라가 됐습니다.

그러나 지난해 10월 1차 발사 때는 3단 엔진의 조기연소 문제로 실패를 맛보기도 했습니다.

이번 성공으로 한국은 다양한 우주 개발사업에 주도적으로 나설 수 있게 됐다는 평가입니다.

한국 정부 산하 국책연구기관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이춘근 명예연구위원입니다.

[녹취: 이춘근 명예연구위원] “1t 이상의 대형 위성을 저궤도에 올릴 수 있는 나라가 많지 않아요. 7위권에 진입해서 당당하게 우주 개발에서 자기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고 또 국제협력을 통한 우주협력 분야에서도 한국이 어느 정도 기여하면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그렇게 보거든요.”

군사적 측면에서도 한국 군이 외국의 도움을 받지 않고 군사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됐습니다.

한국은 군 정찰위성사업인 일명 ‘425사업’에 약 1조2천억원, 미화로 10억 달러 정도를 들여 고성능 영상레이더(SAR) 탑재 위성 4기와 전자광학(EO)·적외선장비(IR) 탑재 위성 1기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는 핵심 전력인 한국형 3축 체계 구축을 위한 핵심 사업입니다.

민간 연구기관인 한국국방안보포럼 신종우 사무국장입니다.

[녹취: 신종우 사무국장] “한국이 쏘아 올리려고 하는 중형급 위성 5기와 소형 위성 여러 기를 한국 기술로 개발한 발사체로 쏘아 올린다면 그만큼 군사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북한의 정찰위성 개발을 명분으로 한 연이은 미사일 시험발사에 견줘 한국도 사실상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술을 확보한 게 아니냐는 관측도 있습니다.

위성 발사용 우주로켓과 ICBM 기술이 대동소이한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남북한 위성발사체가 모두 액체연료를 쓰고 있지만 누리호는 발사 준비 시간이 길고 전용 발사대를 필요로 하는 영하 183도 초저온 액체산소를 산화제로 사용하기 때문에 ICBM에는 부적합하다고 말합니다.

한국 항공대학교 장영근 교수입니다.

[녹취: 장영근 교수] “ICBM을 위해서 군사용 액체 로켓을 개발한다면 그렇게 액체 산소 같은 그런 산화제를 안 쓰죠. 왜냐하면 극저온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군사용으로 쓸 수 없는 거죠.”

하지만 북한의 위성발사체는 사산화질소 같은 상온 추진제를 쓰고 있고 이는 ICBM에서 사용하는 추진제입니다.

북한은 우주의 평화적 이용을 명분으로 그동안 은하와 광명성 등 인공위성을 발사해왔지만 미-한 등 국제사회는 이를 ICBM을 개발하기 위한 위장으로 평가해왔습니다.

지난 3월 24일엔 ‘화성-15형’으로 추정되는 ICBM을 시험발사해 국제사회의 규탄을 받았습니다.

서울에서 VOA 뉴스 김환용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