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터너 특사 “북한 인권 침해 책임 물을 것… 납북자 문제 해결 한국 정부와 협력”


줄리 터너(왼쪽)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가 지난 16일 박진 한국 외교부 장관과 서울 시내 청사에서 회동하고 있다. (자료사진=한국 외교부)
줄리 터너(왼쪽)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가 지난 16일 박진 한국 외교부 장관과 서울 시내 청사에서 회동하고 있다. (자료사진=한국 외교부)

방한 중인 줄리 터너 신임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북한의 끔찍한 인권 상황에 대해 책임 있는 자들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납북자 문제 해결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한국 정부와 긴밀히 협조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김환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줄리 터너 신임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18일 서울에서 한국 언론들과 간담회를 갖고 “북한의 끔찍한 인권 상황에 대해 책임있는 자들에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며 자신이 임기 중 집중할 분야 가운데 하나라고 밝혔습니다.

책임을 묻기 위한 구체적 방법의 일환으로 “미국 정부는 북한 내 인권 침해의 여러 가지 증거들을 수집해 문서화하는 노력을 가속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터너 특사는 앞서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김영호 한국 통일부 장관을 만나 북한 인권 실태 전반에 관해 “세계 최악 수준”이라고 비판하면서 인권 침해에 대한 문책 의지를 보였습니다.

[녹취: 터너 특사] “I very much look forward to working with your ministry, in particular to pursue accountability for those responsible for North Korea's egregious human rights record."

터너 특사는 “한국 정부와 북한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을 고대하고 있다”며 “특히 북한 내 인권 침해 책임자들을 문책하기 위해 통일부와 긴밀하게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터너 특사는 또 언론간담회에서 최근 우려가 커진 중국 내 탈북민 강제북송 문제에 대해 “앞으로 있을 추가적 북송을 막는 데 집중하고자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우리는 계속해서 중국 정부에 강제송환 금지 원칙을 준수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며 중국이 이 원칙을 명기한 유엔난민협약과 고문방지협약에 모두 서명한 국가라는 점을 상기했습니다.

중국 정부를 압박하는 방안과 관련해선 “중국과의 양자 차원 관계 속에서 직접적으로 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터너 특사는 이와 함께 “납북자 문제는 북한 정권이 자행하는 인권 침해를 잘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라며 “최선의 노력을 다해 해결책을 찾기 위해 애쓸 것이고 그 과정에서 한국 정부와 긴밀히 협조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터너 특사는 납북자 문제는 “강제실종이나 자의적 구금, 이동의 자유 제한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북한 정권이 자행하는 좀 더 체계적인 인권 침해의 한 부분”이라고 말했습니다.

터너 특사는 간담회에 앞서 최성룡 전후납북자피해가족연합회 대표, 손명화 6·25국군포로가족회 대표, 황인철 대한항공(KAL) 여객기 납치피해자가족회 대표, 북한에 10년째 억류된 김정욱 선교사의 형 김정삼 씨 등을 만나 납북자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최성룡 대표는 ‘VOA’와의 전화통화에서 터너 특사가 참석자들의 이야기를 들은 뒤 오는 23일부터 이틀간 유엔총회 3위원회에서 진행되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과의 상호대화에서 이 문제를 강력히 제기하겠다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최 대표는 터너 특사에게 미국이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지정한 사유에 북한의 일본인 납치 사실을 포함시킨 것처럼 한국인 납북 사실도 넣어 줄 것을 촉구했다고 말했습니다.

최 대표는 터너 특사에게 전후 납북자 516명의 명단과 함께 자체적으로 입수한 평양시민 명부도 전달했습니다.

해당 명부에 따르면 전후 납북자 가운데 최소 21명이 평양에 거주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최성룡 대표입니다.

[녹취: 최성룡 대표]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지정했는데 거기를 보니까 테러지원국 사유에 일본 납북자가 들어가 있다, 그래서 그 뒤에 한국 납북자를 넣어달라, 내가 준 자료는 북한 사람들이 만든 자료다 그 얘기를 했고.”

최 대표는 또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에게 보내는 한국인 납북자 문제 해결 촉구 서한을 터너 특사에게 전달했습니다.

터너 특사는 납북자들의 이름을 미국 국무부 보고서에 넣을 것이라는 이야기도 했다고 최 대표는 전했습니다.

납북자 가족 대표들은 이 문제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환기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고, 터너 특사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최 대표는 밝혔습니다.

한편 터너 특사는 17일 전영희 한국 외교부 평화외교기획단장을 만나 북한 인권 문제를 논의하는 ‘북한인권협의체’를 이른 시일 내에 재개하기로 합의했습니다.

한국 외교부에 따르면 전 단장이 미한 간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평가를 포함해 구체적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북한인권협의체 개최 추진을 제안했고 터너 특사는 “협의체 개최의 유용성에 공감한다”고 답했습니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입니다.

[녹취: 임수석 대변인] “줄리 터너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의 이번 방한을 계기로 양국은 이른 시일 내에 한미 북한인권협의체 개최를 추진하는 것에 공감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이르면 연내에 서울 또는 워싱턴에서 회의가 열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협의체에선 미한이 책임 규명 강화와 인권 개선 방안, 유엔 등 국제사회에서의 공론화 등 북한 인권 문제에 관한 거의 모든 것을 논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 정부 산하 국책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 이규창 인권연구실장입니다.

[녹취: 임수석 대변인] “유엔에서 북한 인권 문제를 미국이 주도하는 측면이 있을 것 같고 한미 양국의 인권 문제 협의를 통해서, 한미 연대를 통해서 국제연대를 해 보려고 하는 그런 의도가 있을 것 같습니다.”

미한 두 나라 정부는 지난 2016~2017년 3차례에 걸쳐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와 한국 외교부 평화외교기획단장을 수석대표로 하는 북한인권협의체를 개최했지만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엔 이 협의체가 가동되지 않았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김환용입니다.

Forum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