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이산가족 특별기획] 3. 세대를 뛰어넘는 노력∙∙∙ “정체성 찾아가는 여정”


재미 이산가족들의 애끊는 사연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이산가족들(Divided Families)'을 제작한 제이슨 안 씨 등 한인 2세들 (자료사진)
재미 이산가족들의 애끊는 사연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이산가족들(Divided Families)'을 제작한 제이슨 안 씨 등 한인 2세들 (자료사진)

한국전쟁의 포성이 멈춘 지 70년이 넘었지만 이산가족들의 아픔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남북한의 이산가족들은 지금까지 여러 차례 대면 상봉과 화상 상봉을 했지만 미국 내 한인 이산가족들은 기회조차 얻지 못했습니다. VOA는 한인 이산가족들의 아픔과 상봉 노력을 주도하는 선구자들, 미국 의회의 관련 입법 활동과 도전 과제 등을 조명하는 특별기획을 마련했습니다. 오늘은 세 번째 순서로 이산의 아픔을 끌어안고 자신의 뿌리와 정체성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젊은 세대들의 이야기를 안준호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이산가족 특별기획] 3. 세대를 뛰어넘는 노력∙∙∙ “정체성 찾아가는 여정”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11:17 0:00

재미 이산가족들의 애끊는 사연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이산가족들(Divided Families∙ https://www.youtube.com/watch?v=FzsHURiTadA)’을 만든 제이슨 안 씨는 10일 VOA와의 화상 인터뷰에서 “시간적 압박감을 느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제이슨 안 씨] “I felt the time pressure because I mean, that was over 10 years ago, 10 plus years ago and even then I felt like time was running out for this generation. So you know, I felt the sense of urgency. I felt that the stories that of the Korean American divided families need to be recorded and told and that we didn't have much time left.”

안 씨는 “10년도 더 전의 일이지만, 그때도 한인 이산가족들의 이야기를 기록하고 전해야 하는데 시간이 별로 없다는 생각을 했었다”고 말했습니다.

한인 2세 제이슨 안 씨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 ‘이산가족’의 한 장면.
한인 2세 제이슨 안 씨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 ‘이산가족’의 한 장면.

외할머니가 함경북도 회령 출신의 이산가족인 안 씨는 하버드 의대생이었던 지난 2008년에 영화 제작을 시작해 2013년에 완성했고, 2014년엔 미 의회에서 연방 의원들과 정부 관계자들을 초청해 상영회를 열었습니다.

미국 정치권 등 주류 사회와 시민 사회가 관심을 보인 가운데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이산가족들의 고통과 슬픔을 해결해야 한다는 폭넓은 공감대가 형성됐습니다.

안 씨는 “지극히 개인적인 이야기였지만 그 당시 10만 명에 가까운 많은 한국계 미국인들의 이야기라는 것을 깨달았다”며 “제게 영감을 준 것은 외할머니의 이야기뿐 아니라 더 넓은 의미의 한국계 미국인의 이야기였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동시에 우리도 미국인이기 때문에 더 넓은 의미의 미국인 이야기이기도 하다”면서 “그래서 이산가족 영화를 만들기로 결심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녹취: 안 씨] “It was certainly a very personal story to me but I realize that it's not just her story that it's the story of many at that time almost 100,000 Korean Americans, US citizens with a very similar story. So it wasn't just her story that inspired me but it was the broader Korean American story.”

안 씨는 영화를 만들 때 인터뷰했던 재미 한인 이산가족 등 17명 가운데 많은 사람들이 세상을 떠났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10여 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까지도 남북 간 이산가족 상봉이나 서신 왕래, 생사 확인 등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조부모 세대의 슬픔과 고통을 자신의 것으로 끌어안은 젊은이들은 언젠가 얼어붙은 북녘 땅에 해빙이 찾아올 때를 대비하고 있습니다.

폴 리 ‘이산가족 USA’ 대표가 '이산가족' 팟캐스트에서 2차대전 당시 가족과 헤어진 일본인 할머니를 인터뷰하고 있다.
폴 리 ‘이산가족 USA’ 대표가 '이산가족' 팟캐스트에서 2차대전 당시 가족과 헤어진 일본인 할머니를 인터뷰하고 있다.

폴 리 ‘이산가족 USA’ 대표는 예일대 학생 시절 안 씨의 다큐멘터리 영화를 본 뒤 2016년부터 이산가족 운동에 뛰어들었습니다.

리 대표는 2018년부터는 이 단체의 대표를 맡아 이산가족 관련 법안의 의회 발의와 통과 등을 촉구하는 등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해 다방면에서 노력해 오고 있습니다.

지난해부터는 80~90세를 훌쩍 넘긴 재미 한인 이산가족들이 북녘 고향에 전하는 메시지를 영상 기록물로 제작하는 ‘고향에 보내는 편지’라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뉴욕과 뉴저지를 시작으로 보스턴, 샌프란시스코, LA, 워싱턴 DC, 필라델피아 등 미 전역을 돌며 한인 26명을 인터뷰하고, 이들의 북녘 고향에 대한 기억과 그곳에 남은 가족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를 영상으로 담았습니다.

친할아버지와 외할아버지가 모두 한국전쟁 중 이산가족이 됐다는 리 대표는 “친할아버지는 한국전쟁 중 형과 헤어졌는데 형님을 그리워하면서도 생사조차 모른 채 돌아가셨다”면서 “할아버지의 기억에 대해 물어볼 기회와 용기가 없었던 것이 깊이 후회돼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리 대표] “And the reason I started that is because my second grandfather, the one who was separated from his older brother, he had passed away without knowing what happened to his older brother. And I really regretted that I didn't have the opportunity and the courage to ask him about those memories.”

리 대표는 지난 8년간 만났던 고령의 이산가족 1세대들 가운데 많은 사람들이 이미 세상을 떠났거나 건강이 상당히 안 좋아졌지만 미국 내 정확한 이산가족 수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더 늦기 전에 1세대들의 이야기를 기록으로 남겨 다음 세대의 한인들, 그리고 북한의 다음 세대 이산가족들에게 전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일이란 것을 깨달았다”고 말했습니다.

또 “이 문제를 계속 다루는 이유는 저 스스로도 한국계 미국인이라는 정체성을 파악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유명하고 성공한 한국계 미국인들이 이런 목소리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주류 토론과 소셜미디어에 더 많이 이들의 이야기를 포함시켜서 미국인들도 이 문제가 미국인에 관한 문제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고 말했습니다.

리 대표는 ‘고향에 보내는 편지’ 프로젝트는 두 가지 목적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나는 실제로 북녘 고향 땅에 이산가족들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다음 세대에게 분단과 전쟁으로 인한 이산가족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교육적 목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미국을 위한 외교정책(Foreign Policy for America)’의 에스더 임 평화안보정책 선임고문. 사진 = 미국을 위한 외교정책 제공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미국을 위한 외교정책(Foreign Policy for America)’의 에스더 임 평화안보정책 선임고문. 사진 = 미국을 위한 외교정책 제공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미국을 위한 외교정책(Foreign Policy for America)’의 에스더 임 평화안보정책 선임고문도 아버지가 황해도 사리원 출신의 실향민입니다.

미 의회에서 이산가족 관련 법안이 발의되고 통과되도록 노력해 온 임 고문은 “한반도의 지속적인 분단과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은 한국전쟁은 이산가족이든, 전쟁에 참전했다가 돌아오지 못한 가족이 있는 가족이든, 유해 송환이나 신원 확인이 안 된 가족이든 개인에게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이는 미국인의 문제이며, 한반도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미국인 전쟁포로와 실종자 가족들에게도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습니다.

[녹취: 임 선임고문] “The continued division of the peninsula, the unresolved Korean war has had lasting impacts on individuals whether they be divided family members or families whose, you know, family with family members who served in, you know, fought in the Korean War and never came home and there's been no resolution for the return of their remains or accounting.”

또 “안타깝게도 매우 빠르게 세상을 떠나는 많은 이산가족을 위해 이제 젊은 세대가 나서서 이를 이어가야 할 책임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현재 가장 큰 걸림돌은 미국과 북한, 남북한의 관계 경색”이라며 “국가 간 대화가 없고, 대화 없이는 이 문제를 제기하고 이산가족 상봉을 압박하기가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영향력 있는 일 중 하나는 이산가족 이야기를 수집하고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들을 찾기 위한 등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임 선임고문] “I think one of the most, I think impactful things that we can do is to try and build registry to collect stories and to find other ways to provide some resolution for these families.”

특히 이산가족 상봉이 합의만 하면 하룻밤 새 이뤄지는 것이 아닌 만큼 지금부터 계획을 세워 준비를 하면 상봉이 실제 가능해질 경우 대면이든 화상 상봉이든 즉시 준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습니다.

또 “우리의 주요 목표는 ‘이산가족 국가등록 법안’이 통과되도록 노력하는 것”이라며 “케인 상원의원실과 웩스턴 하원의원실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제20차 이산가족 상봉행사 2회차 마지막인 2015년 10월26일 금강산호텔에서 작별상봉을 마친 북측 구송옥(71)씨가 남측에서 온 아버지 구상연(98) 할아버지에게 손을 흔들며 인사하고 있다.
제20차 이산가족 상봉행사 2회차 마지막인 2015년 10월26일 금강산호텔에서 작별상봉을 마친 북측 구송옥(71)씨가 남측에서 온 아버지 구상연(98) 할아버지에게 손을 흔들며 인사하고 있다.

현재 상원과 하원에서는 민주당 팀 케인 상원의원과 제니퍼 웩스턴 하원의원 등이 각각 ‘이산가족 국가등록 법안(Divided Families National Registry Act)’을 발의했습니다.

임 선임고문은 “이 법안에는 이산가족들이 의회에서 의원들과 만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면서 “이번 의회 회기가 끝나기 전 이 법안이 통과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존 제이 칼리지에서 프로그램 매니저로 일하는 테레사 이 씨는 ‘이산가족 USA’에서 이산가족 관련 법안이 의회에서 발의되고 통과될 수 있도록 로비하고 홍보하는 역할을 맡았었습니다.

이 씨 역시 친할머니와 외할머니 모두 북녘이 고향인 이산가족입니다.

이 씨는 재미 한인 이산가족의 사연을 모으고 기록하는 한편 젊은이들에게 이산가족의 문제와 한국의 역사를 알리는 데 힘썼습니다.

이 씨는 “많은 젊은이들은 이 역사에 대해 모르고 있다가 알게 되면 충격을 받는다”며 “그들은 충격을 받고, 이것이 우리 조부모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 일이라는 사실에 감정이 격해진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이 씨] “Whenever many young people first of all, don't even know about this history and when they find out, they're shocked, they're shocked and there's something emotional, very emotional about it and the fact that this is something that has impacted all of our grandparents.”

이어 분단과 이산의 역사를 알면 “나를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면서 “부모님을 조금 더 이해하고 한국의 오늘날의 모습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습니다.

결국 이산가족의 역사를 수집하고 기록하는 일이 한국계 미국인으로서의 나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여정이며 나와 세상을 이해하는 통로가 된다는 설명입니다.

이차희 재미이산가족상봉 추진위원회 사무총장이 VOA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자료사진)
이차희 재미이산가족상봉 추진위원회 사무총장이 VOA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자료사진)

재미 이산가족 운동의 개척자인 이차희 재미 이산가족상봉추진위원회 사무총장은 이 같은 노력을 하는 젊은이들을 ‘영웅’이라고 했습니다.

[녹취: 이 사무총장] “우리 젊은이들이 와서 저희들 대신 말하자면 저희 짐을, 저희들의 십자가를 대신 지고 저희들과 함께 그 어려운 시기에 걸어갔다는 거, 그건 영웅이 되고도 남습니다.”

젊은 세대들이 미국 대선 후보 등 정치권에 이산가족 문제 관련 서한을 지속적으로 보내고 미국 주류 언론과 국제적십자사 등에도 관련 문제를 제기하는 등 미국과 국제사회에 이산가족 문제를 효과적으로 제기했다는 평가입니다.

이 사무총장은 “이민 1세대들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우리 아이들이 이 나라에서 좋은 교육을 받고 성공해서 아메리칸 드림을 성취하는 것이었다”면서 “자녀들만큼은 우리 세대의 비극과 아픔, 고통에서 벗어나 행복하게 사는 것을 바랐는데 젊은이들이 자신들의 뿌리와 유산을 찾아 조부모와 부모의 아픈 역사 속으로 스스로 걸어 들어와 저희 짐을 나눠졌다”고 말했습니다.

다큐멘터리 영화를 만든 안 씨는 젊은이들의 이 같은 노력이 계속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안 씨는 “미국에 이민 온 조부모님들은 우리가 아무런 부담 없이 백지 상태에서 시작하길 원했을 것”이라며 “많은 고통과 고난, 그리고 그분들이 이어온 기억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하고 싶어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안 씨는 그러나 “기성 세대가 젊은 세대에게 이런 이야기를 식탁에서라도 들려줘야 한다”며 “이산가족 문제는 우리 이야기이고, 우리 집단 정체성이며, 우리가 누구인지에 관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그것을 기억하고 존중하며 상황을 해결하고 평생 동안 많은 고통과 죄책감, 정서적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온 1세대들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안 씨] “So I do think it's really important to remember and honor that and do whatever we can to help resolve the situation and bring closure to these folks who've lived with so much pain and guilt and emotional kind of trauma for most of their lives. So I do think we have a responsibility to our parents or grandparents to keep that memory alive and to never forget how we got here.”

안 씨는 “우리는 그 기억을 생생하게 간직하고 우리가 어떻게 여기까지 왔는지 잊지 말아야 할 책임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안준호입니다.

아웃트로: VOA 이산가족 특별 기획, 내일은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미국 의회에서의 입법 노력에 대한 소식을 전해 드립니다.

Forum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