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VOA 뉴스] 하마스 ‘북한 무기’ 사용…희생자 측 ‘북한에 소송’


[VOA 뉴스] 하마스 ‘북한 무기’ 사용…희생자 측 ‘북한에 소송’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04:07 0:00

지난해 10월 7일 이스라엘에 대한 하마스의 공격으로 사망하거나 다친 미국인과 유족 등이 북한을 상대로 10억 달러에 달하는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하마스와 관련한 두 번째 대북 소송인데, 소송인단은 하마스에 대한 북한의 물질과 훈련 제공 등을 문제 삼았습니다. 김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도)

지난해 10월 7일 이스라엘에 대한 하마스의 공격으로 사망하거나 다친 미국인과 유족 등이 북한을 상대로 10억 달러에 달하는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하마스와 관련한 두 번째 대북 소송인데, 소송인단은 하마스에 대한 북한의 물질과 훈련 제공 등을 문제 삼았습니다. 김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도)

지난해 10월 7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이스라엘에 대해 기습공격을 감행했습니다.

1천2백여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고, 250여 명이 인질로 붙잡혔으며, 소녀 등 수많은 여성들이 강간 등 성폭행을 당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국 연방법원 전자기록시스템에 따르면 이스라엘계 미국인 사망자인 아옐렛 아르닌의 유족 등은 지난 17일 워싱턴 DC 연방법원에 북한이 이스라엘에서 이뤄진 공격과 관련해 하마스를 지원했다며, 북한의 배상 책임을 주장했습니다.

원고는 아르닌 등 희생자 10명의 직계 가족과 당시 공격에 따른 부상자 혹은 정신적 충격 피해자 25명과 그 가족 등 약 90명입니다.

이들은 소송 신청서에 배상액을 10억 달러로 명시했습니다.

소송인단은 북한이 지난해 10월 7일 사건을 포함해 하마스의 테러 공격에 물질적 지원과 재원, 자금, 지시, 독려, 안전한 피난처, 테러 활동에 대한 훈련 등을 제공했고, 이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살해당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특히 10월 7일 공격에 대한 북한의 지원이 공개된 언론 보도로 확인됐다며 북한의 유탄발사기인 F-7이 다량으로 사용된 사실도 소장에 명시했습니다.

또 한국 국가정보원은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상대로 북한산 무기를 보유하고 사용하는 것을 확인하고 10월 7일 공격에서 사용된 북한산 F-7의 사진을 공개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VOA는 이스라엘 현장 취재를 통해 하마스가 북한산 유탄발사기를 살상력이 더 큰 대전차 무기로 개조한 사실과 F-7 내부 부품에 적힌 한글을 발견해 보도했는데, 한국 국정원도 이 같은 VOA 보도가 사실이라고 밝혔습니다.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과 관련해 북한이 피소된 건 이번이 두 번째입니다.

지난 1일 하마스의 공격으로 사망한 미국인 에이드리언 앤 네타의 유족 등 130여 명은 당시 하마스의 공격에 북한과 이란, 시리아 정권이 직간접적으로 연관됐다며 이들 나라가 10억 달러의 배상금에 더해 징벌적 손해배상 30억 달러를 별도로 배상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이스라엘의 한 변호사는 지난해 말 VOA에 북한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닛사나 다르샨-라이트너 / 이스라엘 변호사
“안타깝게도 하마스는 10월 7일에 1천200명을 죽였습니다. 그중에는 미국인도 포함돼 있습니다. 이들에겐 북한을 고소할 권리가 있습니다. 북한은 하마스에게 무기를 제공했습니다. 그들은 하마스의 이번 학살에 따른 피해에 책임이 있습니다.”

미국 법원은 과거 여러 차례 북한의 손해배상 판결을 명령한 바 있습니다.

1972년 이스라엘에서 발생한 적군파 테러 희생자의 가족, 지난 1968년 북한에 납치된 미국 해군 정보수집함 푸에블로호 승조원과 가족, 유족들, 북한에서 억류됐다가 혼수상태로 돌아와 숨진 미국인 오토 웜비어의 부모도 북한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 수억 달러 이상의 승포 판결을 받았습니다.

VOA는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에 이번 소송에 대한 입장을 문의하고 답변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앞서 김성 유엔주재 북한대사는 지난해 10월 유엔총회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관련 회의에서 일부 서방 국가들이 중동 위기를 우리와 억지로 연결하려는 대북 비방 책동을 벌이고 있는 것은 간과할 수 없는 문제라고 관련 주장을 부인했습니다.

VOA 뉴스 김시영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