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중국과 한국의 서로 다른 대응 방식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초기 대응과 관련해선 양국 모두 과실이 있다는 지적이 나오지만, 이후 정부의 투명성과 시민사회 참여가 결합된 한국의 대응 방식이 훨씬 더 효과적이었다는 평가가 잇따랐습니다. 김카니 기자가 보도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해 최고 경보단계인 ‘팬데믹(pandemic)’ 즉 세계적 대유행을 선언한 가운데, 최초 발병지인 중국과 확산 초기에 두번째로 가장 많은 확진자가 나왔던 한국이 보여준 서로 다른 대응 방식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먼저 중국의 초기 대응과 관련해선, 중국의 관료적 비밀주의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홍콩 언론에 따르면, 지난해12월 첫 환자가 발생할 당시 중국 당국은 이를 인지하고 연구팀을 파견해 화난수산시장이 발병 근원지임을 밝혀냈습니다.
하지만 1월 들어서야 감염자 정보를 확인하는 등 초기에 발병 사실을 부인하고 은폐했다는 비난이 이어졌습니다.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은 중국 후베이성과 우한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발병한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초, 내부 고발자들에 대한 처벌과 관료적 비밀주의가 바이러스를 증폭시켰다고 지적했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중국은 신종 코로나와의 싸움이 공산당 통치 체제의 강점을 보여준다고 주장하지만, 이를 믿는 것은 수개월 간의 부인과 은폐, 실책을 눈감아 주는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정부에 대한 비판을 잠재우기 위해 정보를 통제하고 있다며, “전염병 발병으로 시진핑 주석과 중국 공산당의 비밀주의가 시험을 받게 됐다”고 비판했습니다.
한국도 초기 대응과 관련해선 대한의사협회 등으로부터 중국인들에 대한 입국 금지를 시행하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외교협회’ 스콧 스나이더 선임연구원은 11일 VOA에, 초기에 그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던 문재인 정부의 결정에는 정치적인 이유가 있었던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녹취: 스나이더 연구원] “There's a little bit of a difference in terms of the assessment of the technical or specialist response in South Korea, compared to the political response. There's a lot of speculation that the Moon administration wasn't willing to go that far because of the desire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China and the desire to have Xi Jinping come to Seoul.”
한국의 기술적 혹은 전문적 반응과 정치적 반응에 대한 평가에는 약간 차이가 있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가 중국과의 관계 개선과 시 주석의 한국 방문에 대한 기대 때문에 중국인 입국 금지를 원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많은 추측이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가 발병한 이후 이에 대응한 한국의 개방적이고 투명한 방역체계, 빠른 진단 속도는 놀랍다는 평가가 이어졌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특히 최근 “한국은 민주주의가 코로나바이러스에 맞서 성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라는 제목의 컬럼을 통해, 민주주의 국가가 공중 보건 보호에 더 적합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주장했습니다.
시사주간지 ‘타임’은 어떤 면에서는 한국의 확진 사례가 많아 보이겠지만, 이는 한국의 높은 진단 역량과 언론의 자유, 민주적이고 책임있는 체제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영국 ‘BBC’는 한국의 의료시설들이 수 주 동안 비상대기하고 있으며, 질병관리본부가 하루에 두 차례 브리핑을 하는 등 적극적인 대화와 투명한 소통이 지속됐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외신들이 공통적으로 한국 정부의 투명성과 시민사회의 참여 등 민주적인 조치로 신종 코로나의 확산을 억제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대규모 행사들이 취소되고 교회들이 미사나 예배를 온라인으로 대체하고 있으며, 발병자가 많이 나온 대구 방문을 자제하도록 시민들을 설득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는 신종 코로나가 처음 확산된 우한을 물리적으로 봉쇄하고 주민들의 외출을 금지시킨 중국 정부의 방법과는 다르다고 지적했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수 백만 명을 가택연금하거나 소수자들에게 공장 강제노역을 시키며 정부 조치를 비판하면 누구든 없애버리는 중국 정부의 방식이 아니다”라고 보도했습니다.
리나 웬 조지워싱턴대학교 공중보건학 교수는 VOA에, 중국이 시행한 많은 조치들이 다른 국가나 사회에도 적합한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습니다.
[녹취: 웬 교수] “Now, I realized that many of the interventions in China that were able to be implemented are not appropriate for all societies and are not able to be implemented in other places.”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주로 사람들 간의 밀접한 접촉에 의해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타인과의 접촉을 줄이는 이른바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조되고 있습니다.
의료 전문가들은 신종 코로나 확산세가 진정될 때가지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일정 규모 이상 모임 금지와 재택 근무 확대 등의 방안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스나이더 연구원도 격리 조치 보다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됐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스나이더 연구원] “Quarantine measures are not necessarily that effective and contributing to mitigation of the virus, but the social distancing measures that were taken were effective. And so I think that what we can see in terms of the global response, especially in democratic countries, is that there is more emphasis on social distancing than there is on quarantines.”
스나이더 연구원은 전 세계적으로 특히 민주주의 국가들은 격리 조치보다 사회적 거리두기에 더 중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VOA 뉴스 김카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