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응과 회복 능력에 대한 국가별 격차가 상당하다고 유엔개발계획(UNDP)이 밝혔습니다. 특히 개발도상국의 사회 불평등과 교육, 디지털 정보 격차 문제가 대응을 더 어렵게 한다고 밝혔는데, 전문가들은 북한도 취약하다고 지적합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개발계획(UNDP)은 29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능력이 국가들 사이에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189개 국가의 대응 역량을 조사한 결과, 개발도상국의 대응과 회복 능력이 선진국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는 겁니다.
보고서는 선진국의 경우 평균적으로 인구 1만 명 당 침상 55개, 의사 30명, 간호사 81명 이상을 보유하고 있지만, 최저개발국은 병상 7개, 의사 2.5명, 간호사는 6명에 불과하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광범위한 봉쇄가 이뤄지면서 디지털 정보 격차는 어느 때보다 더 심각해지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전 세계 인구의 85.5%에 해당하는 65억 명이 신뢰할 수 있는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하지 못해, 일과 교육을 계속할 수 있는 능력을 제한받고 있다는 겁니다.
아울러 빈곤층의 취약성을 지적하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지구촌 인구 4명 중 1명이 다차원적 빈곤에 시달리거나 취약하며, 세계 인구의 40%는 사회적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UNDP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여파로 경제가 큰 타격을 입으면서 여러 나라들이 경기 부양안과 지원책을 발표하고 있지만, 가난한 개발도상국들은 이런 역량과 노력도 제한적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가장 가난한 나라가 전염병에도 가장 취약하다는 의미는 아니며, 소득 수준보다는 보건과 교육제도, 불평등, 복지 등이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전염병 대응 준비와 역량을 잘 갖추고 있어도 관광 수입 의존도가 큰 크로아티아 같은 국가들은 타격을 피할 수 없었고, 해외 이주노동자의 송금 의존 비율이 높은 키르기스스탄 같은 나라들도 타격을 받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습니다.
UNDP는 지난 2018년 기준 인간개발지수(HDI)를 통해 189개 국가의 상황을 조사했지만, 북한은 통계 부족 등의 이유로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북한도 사회 불평등과 보건, 인터넷 정보접속 능력 등에서 모두 취약하다고 지적합니다.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인도주의 보건센터’의 코틀랜드 로빈슨 교수는 앞서 VOA에, 갈수록 커지는 평양과 지방에 대한 지원과 영양 격차로 지방 주민들이 전염병 감염에 훨씬 더 취약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로빈슨 교수] “Now there's more regional disparity, we're looking at some of the data health data and we're seeing ways in which whether it's vaccine coverage or other measures of malnutrition, that there's more disparities between Pyongyang and the rural area.”
북한에 대한 건강 자료들을 보면 백신 제공이나 영양 결핍 모두 평양과 지방(농촌) 간 격차가 과거보다 더 크기 때문에 정권에 충성하는 핵심계층에 보건·의료 지원을 집중하고, 동요나 적대 계층은 소외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위험이 훨씬 더 크다는 지적입니다.
아울러 국무부는 지난 달에 발표한 국가별 인권보고서에서 북한은 “인터넷 자유를 고위 관리와 특별히 선별된 대학생 등 일부 엘리트 계층에 국한해 허용하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이어 내부 인트라넷이 존재하지만 엄격한 통제를 받으며, 손전화기와 태블릿(판형컴퓨터)에 감시 프로그램을 설치해 모든 방문 사이트를 기록해 검열한다고 밝혔습니다.
유엔개발계획(UNDP)은 각국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여파로부터 빠른 회복을 위해 공공 보건과 경기 부양, 사회 안전망 확충에 적극 투자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VOA 뉴스 김영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