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미국의 외교안보 수장들이 잇달아 미한일 삼각 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움직임은 한반도 문제에서 일본의 참여 확대와 함께 대중국 공조 정책에서 한국의 적극적인 참여를 동시에 유도하고 있다고 미국 내 안보전문가들은 분석했습니다. 김동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영상취재: 김선명 / 영상편집: 조명수)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최근 한국의 강경화 외교장관과 첫 전화통화에서 지속적인 미한일 삼각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도 일본의 기시 노부오 방위상, 한국의 서욱 국방장관과 차례로 통화를 하면서 미한일 3국 협력을 강조했습니다.
미국의 안보 전문가들은 바이든 행정부의 이 같은 움직임은 인도태평양 역내 한국과 일본의 역할 확대와 관련돼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한반도 문제에서 일본의 참여 확대와 함께 대중국 공조 정책에서 한국의 적극적인 참여를 동시에 유도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게리 세이모어 전 백악관 대량살상무기 조정관은 특히 커트 캠벨 신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NSC 인도태평양조정관 등 최근 실무 인선 등은 한일 관계에 매우 정통한 전문가들로 구성됐다며, 양국의 과거사 문제가 중국, 북한에 초점을 맞추는 정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행동을 취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게리 세이모어 / 전 백악관 대량살상무기 조정관
“바이든 행정부의 실무진들은 매우 유능한 아시아 전문가들인데 한일 과거사 문제에 대해서도 깊이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과거사 문제가 중국 북한에 초점 맞춘 공동 목표에 방해되지 않길 원합니다.”
실제로 오바마 행정부 당시 한일 간 정보공유협정 지소미아가 체결되고 위안부 합의가 타결된 배경에 북한의 핵과 미사일 고도화 우려에 따른 미국 정부의 관여가 있었다는 관측이 줄곧 제기됐습니다.
리처드 아미티지 전 국무부 부장관은 지난 2019년 9월 한일 정보공유협정 파기 움직임이 일자, 위안부 합의 타결 뒤에는 미국의 정부 관리 뿐 아니라, 자신을 포함한 전직 관리들과 민간전문가들도 한국과 일본 사이를 오가며 적극 관여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주한미국대사를 지낸 크리스토퍼 힐 전 국무부 동아태차관보 역시 바이든 행정부는 한일 간 긴장완화를 매우 기대한다는 점은 분명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크리스토퍼 힐 / 전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미국 정부는 한국, 일본 사이에 긴장 완화를 매우 기대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월러스 그렉슨 전 국방부 동아태 차관보는 한일정보공유협정 체결 배경과 마찬가지로 양국을 모두 방위해야 하는 미국의 입장에서는 한일 간 갈등 완화는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북한의 미사일 사거리 확장으로 더 이상 유엔군 후방기지들은 안전하지 않다며 한반도 안보 문제에서 일본을 배제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VOA 뉴스 김동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