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국제농업개발기금 “북한 미상환 대출금 4천만 달러”


지난해 2월 이탈리아 로마에서 국제농업개발기금(IFAD) 이사회가 열렸다.
지난해 2월 이탈리아 로마에서 국제농업개발기금(IFAD) 이사회가 열렸다.

북한이 농민과 저소득층 여성을 돕기 위한 소액대출 사업을 위해 유엔 산하 기구에서 빌린 돈 가운데 80% 정도를 아직 갚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한이 농업 개발을 위해 시작한 이 사업은 2008년 중단된 후 재개되지 않고 있습니다. 안소영 기자입니다.

북한이 유엔 산한 국제농업개발기금(IFAD)으로부터 받은 대출금 5천 50만 달러 가운데 미상환자금이 4천만 달러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IFAD는 21일 발표한 ‘2019년 연례보고서’에서,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북한의 상환 액수가 1천 50만 달러라며 이같이 전했습니다.

IFAD는 지난 1996년부터 2008년 6월 까지 북한의 가난한 농민과 저소득층 여성을 돕기 위한 소액대출 사업을 벌였습니다.

북한 주민의 비단 원단 생산을 위한 양잠 개발, 고지대 식량 안보, 농축산 사업 개발 등이 주요 3대 사업이었습니다.

북한의 조선중앙은행이 기금을 받아 선정된 협동 농장과 북한 주민에게 군 단위의 지방 은행을 통해 대출을 해주는 겁니다.

이후 대출금으로 가축과 영농 기구 등을 마련해 농업 생산을 향상시킨 후 빌린 돈을 은행에 갚는 방식으로 기금이 운영됐습니다. .

브래들리 뱁슨 전 세계은행 동아시아태평양 지역 담당 부총재 고문은 21일 VOA에, 북한이 대기근 이후 농업 회복기에 국제농업개발기금으로부터 자금을 대출받았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뱁슨 고문] “North Korea borrowed from IFAD for during that period of agricultural recovery after the famine. And they needed development assistance, not just food aid to get agriculture functioning again and so it was a logical thing to do. “

북한은 단지 식량 원조가 아니라 농업이 다시 제 기능을 하도록 하기 위해서 개발 지원이 필요했으며, 따라서 대출을 받는 것은 타당한 일이었다는 설명입니다.

벱슨 전 고문은 북한이 빌린 돈을 갚지 않고 있는 것과 관련해, 앞으로 북한이 세계은행이나 국제통화기금(IMF) 등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도 이 같은 채무 불이행 기록이 상황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IFAD의 대북 소액대출 사업은 지난 2008년에 무기한 중단됐습니다.

길버트 호응보 IFAD 총재는 지난해 국제농업협력 포럼이 열린 서울에서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북한 핵 실험에 따른 국제사회의 대북 제제와 투자금 회수 어려움 등으로 대북 사업을 중단할 수 밖에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사업 재개 가능성에 대해서는 상황이 허락하면 국제 규칙에 따라 가능하다면서, IFAD가 유엔 산하 기관인 만큼 유엔의 의결에 따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IFAD의 소액 대출 사업은 지난 1976년, 방글라데시 모하메드 유누스 교수가 아시아와 중남미 빈곤 퇴치를 위해 만든 모델로 담보 없이 적은 돈을 빌려주는 제도입니다.

VOA 뉴스 안소영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