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킹 전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가 재임 기간 어떻게 북한 인권 개선 활동을 펼쳤는지를 민간단체 동영상을 통해 자세히 소개했습니다. 다양한 관계자들을 만나 인권 개선을 위한 대북 압박 활동을 펼쳤고, 북한 정부와 인도적 지원 논의를 하며 억류된 미국인 석방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운영하는 한반도전문 웹사이트 ‘분단을 넘어서’(Beyond Parallel)가 18일 로버트 킹 전 국무부 북한인권특사의 회고를 담은 두 번째 동영상을 공개했습니다.
킹 전 특사는 이 단체의 ‘살아있는 역사’(Living History) 동영상 시리즈의 일환으로 제작된 이 동영상에서 대사급 정규직인 북한인권특사의 독특한 역할과 지명 배경을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녹취: 킹 전 특사] “The Special Envoy was to have the rank of Ambassador which required Senate confirmation. And this is an effort to upgrade the importance of the human rights issues that we were trying to focus on.”
바락 오바마 행정부는 2009년 출범 전, 미 의회가 북한인권법을 재승인하며 북한인권특사를 상원의 인준이 필요한 대사급으로 격상하자 인권뿐 아니라 의회를 잘 아는 적임자가 필요했다는 겁니다.
이에 따라 의회에서 25년 간 톰 란토스 하원 외교위원장의 비서실장 등으로 일하며 북한인권법안 작성과 승인에 관여한 자신이 이상적인 후보로 뽑혔다고, 킹 전 특사는 밝혔습니다.
미 의회는 앞서 2008년 10월, 북한의 열악한 인권 상황 개선과 인도주의 지원의 투명성 확보, 탈북민 보호 노력을 더욱 강화하는 내용의 북한인권법 재승인 법안을 만장일치로 의결했었습니다.
킹 전 특사는 상원의 인준을 받은 대사급 특사는 국무부는 물론 미 행정부 내 누구와도 접촉할 수 있는 지위와 위상을 자신에게 주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킹 전 특사] “Having the rank of Ambassador with Senate confirmation gave me enough status and stature, that I can sort of reach out anywhere in the State Department and also anywhere outside the state department with US government agencies.”
아울러 민간단체들과 활발히 접촉하며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한 협력 방안을 조율할 수 있었고, 미 정부의 기금으로 운영하는 대북방송을 고무하기 위해 국무부 차관 등과 함께 노력했으며, 국무부 국제국과 협력해 유엔을 통한 대북 인권 개선 압박도 활발히 펼쳤다는 겁니다.
킹 전 특사는 특히 북한인권특사는 대북 인권 압박 노력에서 매우 중요한 자리라며, 국무부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북한을 상대하고 대북 사안을 논의하는 다른 나라 고위 관리들과 접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킹 전 특사는 인권 사안뿐 아니라 미-북 관계에서도 특사가 역할을 했다며 자신의 2011년 방북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녹취: 킹 전 특사] “ I was able to go to North Korea in 2011, the United States had been asked by North Korea to provide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북한 당국은 당시 미국에 인도적 지원을 요청했고, 오바마 행정부는 지원 의지가 있지만 먼저 지방의 식량 상황을 검토하고 지원이 가장 취약한 계층에 전달되는지 확인할 수 있는 분배감시 체계 확보가 필요했다는 겁니다.
킹 전 특사는 그러나 북한 당국은 자신을 초청하는 데 대해 미심쩍어했다며, 그들은 자신을 좋아하지만, 북한인권특사란 직책은 북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 때문에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북한 당국은 국내 상징적인 중요성 때문에 미국의 인도적 지원을 갈망했다며, 자신은 미국의 대북 지원에 대한 미 의회에 투명성 요구 의무를 설명하며 북한 측과 매우 긍정적인 대화를 가질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킹 전 특사는 특히 당시 북한에 억류 중이던 한국계 미국인 에디 전(전용수) 씨 석방 협상을 성공적으로 이끈 것은 “가장 만족스러운 경험”이자 “큰 영광”이었다고 회고했습니다.
미 정부는 당시 킹 특사의 방북을 계기로 2011년 10월, 북한과 대북 식량 지원 대화와 미-북 고위급 회담, 6자회담 재개를 위한 합의를 했으며, 이후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으로 잠시 우려가 나왔지만, 2012년 2·29 합의를 성사시키기도 했었습니다.
2009년부터 2017년 1월까지 재직한 킹 전 특사는 앞서 이 영상다큐 1편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인권특사를 3년 반째 지명하지 않고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었습니다.
VOA 뉴스 김영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