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북한, 일주일 만에 또 단거리 발사체 수 발 발사… 한국 정부 “도움 안돼”


북한이 지난 2일 "전선 장거리포병구분대의 화력타격훈련을 실시했다"며 관영매체를 통해 공개한 사진.
북한이 지난 2일 "전선 장거리포병구분대의 화력타격훈련을 실시했다"며 관영매체를 통해 공개한 사진.

북한이 일주일 만에 또 다시 신형 방사포 등으로 추정되는 단거리 발사체들을 동해상으로 발사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동계훈련의 일환으로 평가하면서도 한반도 평화 정착 노력에 도움이 되지 않는 행위라고 유감을 나타냈습니다. 서울에서 김환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또 다시 단거리 발사체 수 발을 동해상에 발사했습니다.

지난 2일 원산 인근에서 초대형 방사포로 추정되는 단거리 발사체 2발을 발사한 지 일주일 만이고, 올해 들어 두 번째 ‘저강도 도발’ 입니다.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9일 오전 7시36분쯤 함경남도 선덕 일대에서 북동쪽 동해상으로 발사된 여러 종류의 단거리 발사체 3발을 포착했다”고 밝혔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발사체 3발의 최대 비행거리가 200㎞, 고도는 약 50㎞로 탐지됐고 미-한 정보 당국이 세부 제원을 정밀분석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 `CNN' 방송은 발사체가 4발이라고 보도해 발사체가 3발 이상일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일단 3발이 포착됐고 정확한 발사체 수는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발사체 3발 중 첫 번째와 두 번째 발사 간격은 20초, 두 번째와 세 번째 발사 간격은 1분이 넘었습니다..

한국 군 당국은 북한이 초대형 방사포와 300㎜ 신형 방사포, 240㎜ 방사포 등을 섞어 발사했을 것으로 판단하고 분석 중입니다.

앞서 지난 2일 북한이 발사한 초대형 방사포로 추정되는 2발의 발사체는 35㎞의 저고도로 240㎞를 비행했고 연발 사격 간격은 20초로 분석됐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번 발사가 지난달 28일과 이달 2일에 이은 동계훈련의 일환으로 다종의 방사포가 포함된 합동타격훈련을 실시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의 군사전문가들도 연례 동계훈련을 계기로 한 저강도 도발로 보고 있습니다.

김진무 숙명여대 교수입니다.

“훈련 자체는 11월부터 2월이면 끝나고 3월은 보통 그동안 훈련했던 것에 대한 검열을 실시하거든요. 그 검열 과정에서 포병부대는 포사격을 실시합니다. 물론 이번에 방사탄 같은 (사실상의) 미사일을 쐈고 그것은 이례적이긴 하지만 어쨌든 판정 검열이 지금 진행 중이고 과거에도 포병부대는 포사격을 했다, 그런 점도 이번에 고려돼야 할 사항이 아니겠느냐 생각을 합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연이은 발사 행위가 한반도에서의 군사적 긴장 완화와 신뢰 구축을 위해 노력하기로 한 ‘9·19 군사 합의’의 기본정신에 배치된다고 강한 유감을 표시했습니다.

청와대도 발사 직후인 9일 오전 8시 15분부터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긴급 관계부처 장관회의를 화상으로 개최하고 대규모 합동타격훈련이 한반도 평화 정착 노력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다시 지적한다고 밝혔습니다.

청와대는 다만 지난 2일 북한의 발사 때와 달리 ‘강한 우려’나 ‘중단 촉구’ 등의 표현은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청와대는 북한의 지난 2일 발사 당시엔 긴급 관계부처 장관회의 직후 계속해서 군사적 긴장을 초래하는 북한의 행동에 강한 우려를 표명하고 중단을 촉구한 바 있습니다.

북한은 청와대의 이 같은 입장 표명 하루만인 3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 명의로 청와대를 원색적으로 비난하는 담화를 발표했습니다.

이어 이튿날인 4일엔 김 위원장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한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극복을 응원하는 친서를 전달했고, 문 대통령도 5일 감사 답신을 보내면서 남북관계 반전의 기대감을 낳았습니다.

청와대가 이번에 입장 표명에 수위를 조절한 것도 정상 간 친서 교환을 감안해 상황 관리에 신경을 쓴 때문이라는 관측입니다.

한국 내 북한 전문가들은 북한의 잇단 저강도 도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속에서도 김 위원장의 지도력에 흔들림이 없다는 점을 대외적으로 과시하면서 내부 결속을 다지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김동엽 교수입니다.

“코로나 국면에서 이를 중단하면 코로나 확산을 내부적으로나 대외적으로 인정하는 꼴이 돼버리거든요. 그래서 코로나 국면이 극복하기 어렵거나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확산되거나 하면 다르겠지만 아직은 어느 정도 관리가 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그런 차원에서 관리를 해나가면서 자신들의 계획은 계획대로 가는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남북 정상 간 친서 교환 닷새만에 또 다시 단거리 발사체를 쏜 행위는 앞으로도 비슷한 도발을 계속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지난 7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유럽 지역 5개국이 발표한 대북 규탄 성명에 맞서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자위적 행동을 문제시하면 자국의 방위를 포기하라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반발하기도 했습니다.

북한의 단거리 발사체 발사에 대해선 반응하지 않겠다고 밝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입장도 이같은 관측에 무게를 실어주고 있습니다.

김진무 숙명여대 교수는 북한이 동계훈련이 끝난 이후에도 자위적 행동이라는 명분으로 신무기 개발을 위한 도발 행위를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며, 미국의 태도 변화를 압박하는 메시지가 기본적으로 깔려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김환용입니다.

XS
SM
MD
LG